CJ CGV | 수익성 왜 떨어질까

CJ CGV는 ‘극장 공룡’이다. 극장 수는 150개, 스크린 수는 1000개를 넘어선 지 오래다. 국내 연간 입장료 매출액의 49.3%도 CGV의 몫이다. 하지만 어찌된 일인지 CGV의 영업이익은 감소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영화관 수를 과하게 늘린 탓에 임차료·투자비 등 고정비가 증가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CGV는 고육지책으로 티켓값을 올리고, ‘히트가 될 만한’ 상업영화를 내세우고 있지만 부메랑만 맞고 있다. 더스쿠프(The SCOOP)가 CGV의 현주소를 냉정하게 짚어봤다. 

CJ CGV는 국내 연간 입장료 매출액의 49.3%를 차지하는 극장 공룡이다. [사진=연합뉴스]
CJ CGV는 국내 연간 입장료 매출액의 49.3%를 차지하는 극장 공룡이다. [사진=연합뉴스]

‘극장 공룡’ CJ CGV의 몸집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극장 수는 2014년 125개에서 지난해 156개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스크린 수는 949개에서 1148개로 늘었다.  극장과 스크린의 시장점유율(2018년 기준)은 각각 32.3%, 39.1%에 이른다. 매출도 증가했다. CGV의 지난해 매출은 1조7694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550억원 늘어난 수치로, 경쟁사인 롯데시네마(롯데컬처웍스ㆍ7740억원), 메가박스(3304억원ㆍ대신증권 추정)보다 각각 2.3배 5.35배 많다. 이뿐만이 아니다. CGV는 상영시장 시장 집중도(입장권 매출액ㆍ49.3%), 관람객 수(47.1%) 면에서도 경쟁업체를 압도하고 있다.

하지만 CGV의 요즘 속내는 편치 않다. 외형적 성장을 일궜음에도 수익성이 떨어지고 있어서다. CGV의 국내 영업이익이 2015년 715억원에서 지난해 361억원으로 3년새 반토막 난 것은 이를 잘 보여주는 사례다. 이유는 ‘몸집 불리기’에 있다. 매년 새로운 지점을 확보하고 기존 극장을 리모델링하면서 고정비가 불어났다. 

임차료는 2017년 992억원대에서 지난해 1125억원대로, 건물관리비는 634억원대에서 689억원대로 증가했다.  CGV가 영화관람료를 인상할 때마다 늘어난 비용 부담을 영화관람료를 인상해 메우려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CJ CGV는 티켓값을 인상하고 흥행영화 위주로 상영배정했지만 국내 영업이익은 연이어 감소했다. [사진=연합뉴스]
CJ CGV는 티켓값을 인상하고 흥행영화 위주로 상영배정했지만 국내 영업이익은 연이어 감소했다. [사진=연합뉴스]

CGV는 지난해 4월 티켓값을 1000원 인상했다. CGV가 가격을 올리자 롯데시네마와 메가박스도 1000원씩 연달아 인상했다. 가장 저렴한 2D 상영관은 평균 1만원, ‘골드클래스’ 같은 특수 상영관의 경우 3만~4만원을 웃돈다. 관객 입장에선 좌석별ㆍ시간대별 차등제로 체감 가격이 높아진 상황에서 실제 가격까지 높아진 셈이다. CGV 관계자는 “티켓값은 배급사·투자사·제작사에도 분배되기 때문에 물가와 임대료에 따라 오른다”며 “관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시설 투자를 안 할 수는 없는 노릇”이라고 말했다.

문제는 티켓값 인상만이 아니다. CGV가 떨어진 수익성을 만회하기 위해 흥행 영화 위주로 상영 배정하는 것도 문제점으로 꼽힌다. CGV 관계자는 “개봉하기 전에 사전 인지도와 관람의사를 조사해 관객이 많이 볼 작품 위주로 배정한다”고 설명했지만 이런 배정 방식이 관객의 영화 선택지를 줄이고 다양성을 해친다는 비판도 많다. 

그렇다고 수익성에 도움이 되는 것도 아니다. ‘어벤져스’ ‘부산행’ ‘신과함께’ 등 히트작이 포진했던 2015~2018년에도 CGV 관객은 감소세를 면치 못했다(1억5867만명(2015년)→1억1955억명(2018년)). 영업이익률도 2015년 8%에서 지난해 3.7%로 4.3%포인트나 떨어졌다.

CGV는 업계 1위 자리를 지키기 위해 극장 수를 지속적으로 늘린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전국 영화 관객이 2억1000만명대로 수년째 정체된 상황에서 극장을 늘릴 경우 출혈경쟁은 불가피하다. 이런 상황에서 OTTㆍVOD 등 대체제의 인기가 치솟고 있다는 점도 CGV엔 부담요인이다. 박정엽 미래에셋대우 애널리스트는 “현재로선 비용을 통제하는 게 실적 개선의 대안이 될 수 있다”고 꼬집었다.
심지영 더스쿠프 기자 jeeyeong.shim@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