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거킹 인종차별 광고 논란
美, EU에 관세 폭탄 경고장
도시화 카드 꺼내든 中정부

미국 10대들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이 작지 않다.[사진=뉴시스]
미국 10대들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이 작지 않다.[사진=뉴시스]

[美 10대 소비행태 분석]
젊은 큰손들도 ‘나이키!’


미국의 10대들은 연간 2600달러(약 300만원)가량을 음식과 의류를 소비하는 데 썼다. 미국 CNBC에 따르면 금융회사 파이퍼 제프리가 10대(평균 연령 16세) 소년ㆍ소녀 8000명의 소비 습관을 분석한 결과다.

파이퍼 제프리는 ‘Z세대(1990년대 후반~2000년대 초반 출생)’의 소비 행태를 알아보기 위해 이같은 연구를 진행했다. Z세대가 미국 인구의 4분의 1가량을 차지하는 만큼 시장은 이들의 선택에 민감할 수밖에 없어서다. 실제로 지난해 이들이 연간 소비한 총 금액은 약 750억 달러(약 86조원)로 적지 않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소년들은 음식에, 소녀들은 의류 구매에 가장 많은 돈을 썼다. 이들이 가장 즐겨 찾는 쇼핑 채널은 아마존이었다. 품목별로 선호하는 브랜드도 달랐다. 의류 브랜드는 ‘나이키’ ‘아메리칸 이글’ ‘아디다스’ ‘포에버21’ ‘홀리스터’ 순으로 선호했다.

스니커즈는 나이키와 ‘반스’ 제품을 많이 샀다. 패스트푸드 브랜드 중에선 치킨 전문점 ‘칙필레’와 멕시코음식 전문점 ‘치폴레’를 가장 좋아했다. 화장품 전문 매장 선호도에선 지난해 처음으로 ‘울타’가 ‘세포라’를 제쳤다.    

[버거킹 광고 논란]
큰 젓가락으로 햄버거… ‘인종차별’


글로벌 패스트푸드 업체 버거킹이 최근 뉴질랜드에서 젓가락으로 햄버거를 집는 장면을 담은 광고를 내보내 인종차별 논란에 휩싸였다. 지난 8일(현지시간) 폭스뉴스에 따르면 버거킹 뉴질랜드는 신제품 ‘베트남 스위트 칠리 텐더크리스프’ 광고에 모델들이 커다란 젓가락을 이용해 우스꽝스러운 모습으로 햄버거를 먹는 장면을 담아 방영했다. 

버거킹은 광고에 “‘세계의 맛’ 제품 중 하나인 베트남 스위트 칠리 텐터크리스프와 함께 호찌민까지 당신의 입맛을 살려보세요”라는 문구를 넣고 “제한된 시간에만 이용 가능합니다”는 멘트를 게재했다. 이 광고는 방영되자마자 온라인상에서 인종차별 논란을 일으켰다. 200만명 이상이 광고 영상을 시청했고, 수백건의 비난 댓글이 달렸다. 버거킹은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젓가락이 인종차별 도구로 사용된 건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해 11월 패션업체 돌체앤가바나는 중국 여성이 젓가락을 이용해 피자를 먹는 홍보영상을 내보냈다가 비판에 시달렸다. 이후 중국에서는 돌체앤가바나 불매운동이 벌어졌고, 돌체앤가바나는 중국에서 퇴출 위기를 겪었다.

[세계 석유 수급 빨간불]
리비아까지 내전에 빠지면…


아프리카 최대의 산유국 리비아가 내전 위기에 놓이면서 세계 석유 수급에 차질이 생기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난해 리비아의 원유 생산량은 일일 평균 130만 달러로, 세계 11~12위 수준이다. 리비아는 8년 전 시민혁명으로 독재정권이 무너졌음에도 혼란이 계속되고 있다.

 

리비아 사태가 세계 석유 공급에 차질을 줄 것으로 보인다.[사진=뉴시스]
리비아 사태가 세계 석유 공급에 차질을 줄 것으로 보인다.[사진=뉴시스]

7일(현지시간)에는 리비아 동부를 장악한 군벌이 수도 트리폴리를 장악하기 위해 정부군과 교전을 벌였다. 이로 인해 30여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교전이 장기화되면 ‘석유 수급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는 현실이 될 가능성이 높다. 미국이 베네수엘라와 이란을 제재하는 강도를 높이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더욱 그렇다.

지난 1월 미국은 베네수엘라의 니콜라스 마두로 대통령을 쫓아내기 위해 국영 석유기업 PDVSA에 제재를 단행했다. 이란을 압박하는 수위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에너지정보 컨설팅업체 JTD 에너지서비스의 존 드리스컬 수석 전략가는 CNBC와의 인터뷰를 통해 “베네수엘라의 경우 석유 생산량이 곤두박질치고, 정전 사태로 수출은 반으로 줄었다”면서 “이런 상황에서 리비아까지 혼란에 빠지면 시장의 공급 여력이 줄어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미국, EU와도 무역전쟁]
“EU에도 13조 관세 물리겠다”


미국이 유럽연합(EU)에 막대한 관세를 물리겠다고 경고했다. 8일(현지시간) 미 무역대표부(USTR)는 성명을 통해 “무역법 301조에 따라 EU산 수입품에 추가 관세를 물리기 위한 절차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유럽 항공기 제작사 에어버스에 부당한 보조금을 지급해 미국업체인 보잉이 피해를 입었다는 게 근거다.

앞서 미국은 2004년 프랑스ㆍ독일ㆍ스페인ㆍ영국 등 4개국이 에어버스에 보조금을 지원, 미국 항공업계가 피해를 입고 있다며 WTO에 제소하기도 했다. 미국은 이에 따른 피해액을 연간 112억 달러(약 12조8000억원)로 추정했다. USTR은 보복관세를 물릴 같은 규모의 EU산 수입품 예비 목록을 공개했다. 여기엔 여객기ㆍ유럽산 치즈ㆍ와인ㆍ스키복ㆍ여객용 헬리콥터ㆍ특수 오토바이 등이 포함됐다.

로버트 라이트하이저 USTR 대표는 “이번 조치는 1974년 마련된 무역법 301조에 따른 것으로 EU가 보조금을 없앨 때까지 관세를 추가할 제품을 식별하는 절차를 시작할 것”이라면서 “우리의 궁극적인 목표는 WTO 규정에 위배되는 항공기 보조금을 두고 EU와 합의에 이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국의 도시화 플랜]
인구이동 막는 호적제 ‘아웃’


중국 정부가 경기 둔화 해결책으로 ‘도시화 카드’를 꺼내들었다. 인구 이동을 제한하는 ‘호적제도’를 완화하는 게 핵심이다. 8일 중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도시인구비율인 도시화율을 지난해보다 1%포인트 높인 60.6% 이상 끌어올리겠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중국 정부가 경기 둔화 처방으로 도시인구 늘리기에 나섰다.[사진=뉴시스]
중국 정부가 경기 둔화 처방으로 도시인구 늘리기에 나섰다.[사진=뉴시스]

핵심정책은 호적제도 완화다. 중국 정부는 그간 호적제도를 인구이동을 관리하기 위해 시행해왔다. 호적이 없으면 도시에 살더라도 인구로 집계될 수 없는데다 교육ㆍ의료 등 공공서비스 혜택을 대부분 받지 못하기 때문이다. 

중국 국가발전개혁위는 향후 인구 500만명 이상인 초대형 도시에는 호적 부여를 대폭 늘려 사회보험 납부 연수와 거주 연수 비중을 높일 계획이다. 인구 100만~300만명이 거주하는 중형 도시의 경우엔 외부 전직 희망자의 호적제도를 철폐할 방침이다. 중국의 100만명 이하 도시는 이미 호적제도를 철폐했다.

[SC은행 벌금 내는 이유]
이란 제재 위반했다가 ‘적발’


영국의 스탠다드차타드(SC)은행이 미국의 이란 제재를 위반한 혐의로 두번째 벌금을 물게 됐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9일(현지시간) 미국과 영국의 조사를 받은 SC은행이 이같은 혐의를 이유로 11억 달러(약 1조2500억원)의 벌금을 지불하는 데 합의했다고 보도했다. SC은행은 2012년 이란ㆍ쿠바 등 제재 대상국과 금융거래를 한 혐의로 6억6700만 달러의 벌금을 납부한 경험이 있다.   

WSJ는 “SC은행이 미국과 영국이 확인한 위반 행위의 책임을 인정했다”면서도 “일부 혐의는 전직 직원 2명의 소행이라고 주장했다”고 전했다. 미국 법무부는 SC은행이 2007~2011년 두바이 지점을 통해 이란과 관계가 있는 고객에게 금융서비스를 제공했다고 밝혔다. 
고준영 더스쿠프 기자 shamandn2@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