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조정 공포 감도는 중소기업계

▲ 중소기업에 불어닥칠 구조조정 소식에 직장인들의 어깨는 벌써 처져 있다.
신용위험 세부평가 대상에 속하는 중소기업이 급격히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침체로 매출이 줄면서 자금난을 겪게 된 게 주된 이유다. 여름이 채 지나기도 전에 한파寒波가 불어 닥친 중소기업 업계는 벌써 춥다. 뿌리가 깊지 않은 중소기업이 위태롭다.

구조조정이 필요한 중소기업이 사상 최대 규모인 것으로 나타났다. 각 시중은행이 금융감독원에 보고한 올해 ‘신용위험 세부평가’ 대상 중소기업 수는 1335개로 추정됐다. 2010년 1290개에서 약 3% 늘었다.

신용위험 세부평가는 금융권의 신용자금을 50억〜500억원 끌어다 쓴 중소기업 가운데 위험한 곳을 추려 구조조정 여부를 결정하는 제도다. 이 평가가 정례화된 2009년 1차 평가 당시의 대상 기업은 861개였다. 3년 동안 무려 35%나 늘어난 셈이다.

은행들은 10월 말까지 외감법인과 비외감법인에 대한 세부평가 후, 중소기업을 A~D까지 4등급으로 분류한다. C등급은 워크아웃, D등급은 법정관리에 해당한다. B등급은 패스트트랙(신속 금융지원 제도)으로 회생 가능성을 타진한다.

 
구조조정 대상 중소기업이 늘어난 가장 큰 이유는 업황이 좋지 않아서다. 한국은행의 기업경기실사지수(BSI)를 보면 올 8월 전체 제조업 업황 BSI는 72였다. 기준치인 100보다 훨씬 낮았다. 특히 중소 제조기업 업황 BSI는 넉 달째 하락해 69까지 떨어졌다.

글로벌 금융위기가 한창이었던 2009년 5월 이후 최저치다. 대기업의 74보다도 5포인트 낮다. 자금 사정이 나빠진 것도 구조조정 대상 중소기업이 늘어난 이유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중소제조업 151개를 대상으로 실시한 ‘중소기업 자금사정 긴급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기업 중 39.9%의 자금 사정이 곤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통인 곳은 42.6%, 원활한 곳은 17.6%에 그쳤다. 자금 사정이 나빠진 이유로는 매출감소(29.9%)가 가장 많았다. 

높은 금리, 중기 압박

높은 금리도 중소기업의 원활한 자금회전을 방해했다. 중소기업이 주로 발행하는 ‘BBB-’ 등급 회사채의 올해 상반기 평균 금리는 9.87%(3년물 기준)였다. 대기업이 주로 발행하는 ‘AA-’ 등급 회사채 평균 금리(4.16%)보다 약 2배 높다. 대출 연체율도 늘었다. 지난해 12월 1.34%에서 올해 7월 1.76%로 올랐다.

 
중소기업이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자 금융당국과 금융권은 다양한 방안을 내놓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회생 가능한 기업에 유동성을 지원하는 ‘중소기업 패스트트랙(신속지원제도)’을 내년 말까지 1년 연장하기로 했다. 금융감독원은 중소기업이 기계와 원자재 등 동산動産을 맡기고 은행에서 돈을 빌릴 수 있는 ‘동산담보대출’ 제도를 도입했다.

금융권도 나섰다. 산업은행과 기업은행은 신규 설비투자 수요가 있는 중소•중견기업에 1조5000억원씩 총 3조원 규모의 설비투자펀드를 지원한다. 신용보증기금(신보)은 태풍 ‘볼라벤’으로 풍수해를 입은 중소기업에 재해 특례보증을 하기로 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기업 실적이 개선되지 않은 상황에서 금융당국과 금융권의 유동성 지원책은 언 발에 오줌 누기”라며 “중소기업의 자금난을 해결할 수 있는 근본대책이 필요한 때”라고 지적했다.

김정덕 기자 juckys@thescoop.co.kr|@itvfm.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