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스쿠프 세꼭지 뉴스
日 보복에 맞서는 경제 민초
삼성전자 씁쓸한 2분기 성적
학교 비정규직의 파업 속사정

중소상인‧자영업단체가 지난 5일 기자회견을 열고, 일본 제품 판매 중단을 선언했다.[사진=한국마트협회 제공]
중소상인‧자영업단체가 지난 5일 기자회견을 열고, 일본 제품 판매 중단을 선언했다.[사진=한국마트협회 제공]

“일본 제품 안 팔아” 
경제 민초의 저항


한국 대법원의 강제징용 판결 이후 일본 정부가 지난 4일 경제 보복 조치를 단행했다. 국내에선 시민ㆍ사회단체를 중심으로 일본을 규탄하는 목소리가 높아지는 한편, 일본 제품 불매운동이 확산할 조짐도 나타나고 있다. 

여기에 발맞춰 중소상인ㆍ자영업단체는 일본 제품 판매를 중단하겠다고 밝혔다. 중소상인ㆍ자영업단체는 지난 5일 일본대사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 자리에서 중소상인ㆍ자영업단체 관계자는 “과거사에 일고의 반성도 없이 무역 보복을 하는 일본을 규탄한다”면서 “일본 제품 판매중지에 돌입하겠다”고 밝혔다. 한국경제의 밑단을 책임지는 중소ㆍ자영업자가 먼저 날을 세웠다는 얘기다. 경제 민초民草의 항거다.

판매 중단 품목은 일본 담배, 아사히ㆍ기린ㆍ삿포로를 비롯한 일본 맥주, 일본커피류 등이다. 앞서 한국마트협회 회원사 200여곳은 이들 제품을 전량 반품 처리하고, 발주 중단에 돌입했다. 일본 제품 판매 중지 캠페인은 소매점뿐만 아니라 편의점ㆍ슈퍼마켓 등 다른 업종으로 확산할 가능성도 적지 않다. 

중소상인ㆍ자영업단체 관계자는 “소비자들이 다소 불편하겠지만, 일본 제품 판매 중단에 대해 화답해 줄 것이라고 생각한다”면서 “국내 유통시장에 만연한 일본 제품이 한순간에 사라질 수는 없겠지만 이번 캠페인이 일본 정부에 던지는 작은 돌멩이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이지원 더스쿠프 기자 jwle11@thescoop.co.kr

삼성전자의 2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절반가량 감소했다.[사진=뉴시스]
삼성전자의 2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절반가량 감소했다.[사진=뉴시스]

나름 선방했지만…        
영업이익 반토막


삼성전자가 올 2분기 영업이익 6조원대를 사수했다.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거둔 실적이기 때문에 ‘선방했다’는 평가도 있지만, 1년 전과 비교하면 영업이익이 반토막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지난 5일 삼성전자는 매출 56조원, 영업이익 6조5000억원의 2019년 2분기 잠정 실적을 발표했다. 영업이익은 1분기(6조2300억원) 대비 4.3% 늘었지만, 2018년 2분기(14조8700억원)와 비교하면 56.2% 감소한 수치다. 

다만, 업계 전망치를 뛰어넘는 실적을 기록한 건 위안거리다. 삼성전자의 올해 2분기 컨센서스(증권사 전망치 평균)는 매출 54조702억원, 영업이익 6조296억원이었다. 업계는 “메모리 반도체 가격 하락, 스마트폰 경쟁 심화 등 리스크가 산적한 데도 영업이익 6조원대를 지켜내며 삼성전자의 저력을 보여줬다”는 평가다.

하반기엔 주력 사업인 반도체 업황의 반등으로 매출과 영업이익에서 회복세를 보일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하지만 낙관하기엔 이르다. 삼성전자는 “이번 실적에는 디스플레이 관련 1회성 수익이 포함돼 있다”고 밝혔다. 

이 수익을 제외하면 2분기 실적이 시장 전망치를 밑돌 수도 있다는 얘기다. 반도체 사업 역시 최근 일본 정부가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공정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소재의 수출 규제를 강화하면서 시장 회복을 확신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김다린 더스쿠프 기자 quill@thescoop.co.kr

급식 조리사를 포함한 공공부문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3일 공동 파업에 돌입했다.[사진=뉴시스]
급식 조리사를 포함한 공공부문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3일 공동 파업에 돌입했다.[사진=뉴시스]

학교 비정규직
파업에 숨은 이유


공공부문 비정규직 노동자들이 최초로 공동파업에 돌입했다. 3일 시작된 파업에는 교육 공무직 노동자들이 참여했다. 교육부와 민주노총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는 2일 협상을 진행했지만 합의점에 이르지 못했다. 양측은 9일 재교섭에 나선다.

학교 내 직원은 교직원과 교육 공무직으로 나뉜다. 교사와 행정 직원은 교직원으로 정규직이다. 교육 공무직에는 도서관 사서, 급식 조리사 등이 포함되며 비정규직이다. 파업에 참여한 교육 공무직 노동자들이 요구하는 것은 정규직과의 차별 대우 철폐, 교육 공무직의 법제화와 최저임금을 기준으로 한 기본급 지급이다. 교육부에서는 일반 공무원의 임금 인상률인 1.8%를 제시한 상태다.

학비연대 측은 “정규직 9급 공무원과 비교하면 평균 임금은 64% 수준”이라며 “기본급을 최저임금 기준에 맞춰 6.24% 인상해 정규직 임금의 80%로 끌어올려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같은 기간 일한 정규직과 비교하면 근속 수당 상한제 등의 차별이 있다”고 설명했다. 일부에서는 “이미 정부가 교육 공무직 중 일부 직종을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해 고용 안정성을 높였는데, 비정규직이라고 주장하는 건 지나친 것 아니냐”고 쏴붙인다. 하지만 교육 공무직은 신분을 규정하는 법적 근거가 없다. 일부 시ㆍ도의 조례로만 규정돼 있다.
최아름 더스쿠프 기자 eggpuma@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