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지 조선소 안녕하지 않은 이유들  

10여년 전 국내 조선업계에는 해외진출 붐이 일었다. 비좁고 비싼 국내만 벗어나면 싼값에 넓은 부지를 활용하고, 인건비도 낮출 수 있을 것 같았다. 그렇게 만들어진 해외조선소 중 대표적인 곳은 산둥조선소(대우조선해양), 수빅조선소(한진중공업), 다롄조선소(STX조선해양) 등 3곳이다. 하지만 이들 조선소는 지금 안녕하지 않다. 조선업 종사자들을 속칭 ‘막일’로 치부한 게 ‘안녕하지 않은 이유’다. 더스쿠프(The SCOOP)가 현지 조선소가 안녕하지 않은 이유를 취재했다. 

해외에 지어진 대형 조선소들은 대부분 성공하지 못했다. 사진은 한창 운영되던 다롄조선소 모습.[사진=연합뉴스]
해외에 지어진 대형 조선소들은 대부분 성공하지 못했다. 사진은 한창 운영되던 다롄조선소 모습.[사진=연합뉴스]

# 2005년 대우조선해양은 중국 산둥山東에 1억9000만 달러(당시 환율로 약 2000억원)를 투자해서 대규모 조선소 하나를 지었다. 규모는 120만㎡(약 36만평). 당시 남상태 대우조선해양 사장은 이렇게 말했다. “중국이 한국 조선업계를 추월한다는 우려가 많지만 중국에 진출해서 이곳의 경쟁력을 역으로 이용한다면 우리나라 조선산업이 세계 1등을 유지하는 기간은 더 길어질 것이다.”

쉽게 말해 호랑이굴에 들어가 호랑이를 잡겠다는 거였다. 하지만 산둥조선소는 2016년부터 매각절차를 밟고 있다. 주인은 아직도 나타나지 않았다.

# 2005년말 한진그룹에서 계열분리한 한진중공업. 조남호 회장은 신사업 발굴과 사업 확장을 강조하더니 이듬해 외국에 조선소를 짓기로 결정했다. 인건비가 싼 곳에 조선소를 지어 수익을 극대화하겠다는 심산이었다. 장소는 필리핀 수빅만. 영도조선소의 9배에 달하는 300만㎡(약 90만평)의 땅에 약 7000억원(훗날 약 2배로 증가)을 투자해 대규모 조선소를 세웠다.

별다른 제조업이 없던 필리핀 정부는 두손을 들어 환영했다. 속도를 강조하던 조 회장이 조선소를 다 짓기도 전에 일감을 수주해오자 당시 아로요 필리핀 대통령은 조 회장에게 훈장을 수여하기도 했다. 떠들썩하게 지어진 수빅조선소는 이후에도 떠들썩하게 수주행진을 벌이면서 진가를 발휘하는 듯했다.

하지만 이 조선소는 요란한 빈수레에 불과했다. 수빅조선소는 올해 1월 파산했다. 회계 뚜껑을 열어보니 수천억원의 적자와 부채에 시달렸던 것으로 드러났다. 

 

# 2008년 STX조선해양도 중국의 다롄大連에 조선소를 지었다. “중국 조선업 성장에 따른 국내 조선업의 한계를 극복하려면 중국 현지로 들어가야 한다”는 강덕수 전 회장의 경영전략에 따른 거였다.

인수ㆍ합병(M&A)의 명수였던 강 회장의 스케일은 남달랐다. 부지만 550만㎡(약 166만평)으로 여의도 면적의 2배에 달하는 이 조선소는 세계 최대 규모였다. STX그룹까지 동원돼 약 3조원을 투자해 만든 이 조선소는 갯벌을 메우고 세워져 ‘갯벌 위의 기적’으로 불렸다. STX그룹이 투자금까지 직접 조달하자 중국 정부는 이례적으로 STX그룹의 100% 자회사로 인정하기도 했다. 

하지만 이 다롄조선소 역시 10년도 채 되지 않은 2013년 가동이 중단됐다. 통째 매각을 하려 했지만 아무도 사가는 이가 없었다. 결국 시설들을 다 쪼개서 매각하고, 현재는 거의 폐허가 됐다. 

이쯤 되면 조선업계에서 “해외에 조선소를 지으면 반드시 망한다”는 말이 나올 법하다. 대우조선해양 산둥조선소의 미래는 아직 알 수 없지만, 한진중공업의 수빅조선소와 STX조선해양의 다롄조선소는 투자금 한푼 건지지 못하고 무너졌으니 말이다. 이들이 실패한 이유는 과연 뭘까. 

 

겉으로 드러나는 이유는 크게 두가지다. 먼저 조선업계에 닥친 불황과 중국의 약진이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신규 선박 발주는 급감했고, 저가로 무장한 중국은 한국 조선산업을 위협하는 존재로 발돋움했다. 일감도 없는데 출혈경쟁이 빚어졌다는 얘기다. 

또다른 이유도 있다. 모회사의 유동성 위기다.  다롄조선소의 경우 STX그룹 해체 이후 흔들리기 시작했다. 하지만 이런 이유만으로 조선소들이 왜 무너졌는지를 설명하긴 힘들다. 해외조선소를 통해 인건비를 낮췄다면 중국의 저가정책에 밀릴 이유가 없었기 때문이다. 모회사의 위기를 감안하더라도 조선소 자체가 이익을 내지 못한 것도 사실이다. 이렇게 보면 해외 현지 조선소 자체의 문제도 짚어 볼 수 있다. 

해외 조선소 근무 경험이 있는 업계 관계자는 이렇게 말했다. “해외에 조선소를 지었던 가장 첫번째 목표는 낮은 인건비를 이용한 원가경쟁력 확보다. 두번째는 이런 값싼 인력을 이용한 최대 생산성 확보다. 그런데 두번째에서 대부분 실패했다.”

쉽게 말해 수주를 받으면 가격 경쟁력이 있는 해외 조선소에서 바로바로 만들어 납품해야 돈이 되는데, 생산성이 뒷받침되지 않으니 경쟁력을 잃었다는 얘기다. 앞서 사례로 본 조선소들이 바로 그런 유형들이다. 

 

예컨대, 2011~2012년 다롄조선소의 생산능력은 STX조선해양의 절반도 채 안 됐다. 그나마 가장 생산능력이 가장 좋았을 때가 40.6% 수준이다. STX조선해양 관계자는 “생산능력이 꾸준히 개선되던 상황이었고, 궤도에 완전히 올라오지 못한 채 무너져서 쉽게 말하긴 어렵지만 생산능력이 월등히 낮았던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산둥조선소도 다르지 않다. 대우조선해양 관계자는 “조선소를 지은 지 5년이 지나도록 생산능력이 따라오지 않아 ‘국내 본사 조선소의 40% 수준이라도 따라잡자’는 게 산동조선소의 최대 목표가 됐을 정도”라고 말했다. 수빅조선소도 마찬가지다. 비좁은 부산 영도조선소의 연간 생산능력이 강재처리량 기준으로 평균 90만~100만톤(t)이었던 데 반해 수빅조선소는 20만~30만t이 전부였다. 


설비와 시간만 투자하면 생산능력이 자동적으로 따라올 거라 오판했기 때문이 아닐까. 그런 면에서 현대미포조선의 베트남 비나신조선소는 주목할 만하다. 현지 업체와 합자회사로 수년간 운영한 후 10년 전 인수했다. 현재 비나신조선소의 배 1척당 평균 건조기간은 2.32년으로 울산 본사의 2.16년과 맞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생산능력이 성패의 관건이라는 방증이다. 

업계의 또다른 관계자는 이렇게 말했다. “사실 배는 숙련공이 다 만든다고 봐도 무방하다. 그러니 회사가 아카데미 역할을 할 수밖에 없다. 그 역할을 제대로 해도 현지 사람들은 우리 맘 같지 않다. 게다가 말도 잘 안 통하잖나. 생산능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해외조선서의 패망 이유를 곱씹은 그는 말을 이었다. 

 

“수빅조선소의 경우 노동자들이 며칠 일하다가 일을 안 나온다. 놀러가는 게 아니다. 은행에서 돈 찾아서 집에 갖다 주려고 그러는 거다. 이해가 안 되는 현지 문화다. 결국 회사 앞에 ATM기를 쭉 설치해놨는데 그것도 안 통한다. 빚에 대한 개념이 없어서 카드를 빚쟁이한테 담보 잡힌 이들, 회사 안전화를 주면 팔아먹고 슬리퍼 신고 오는 이들도 숱하다. 이런 이들을 키워 숙련공을 만든다는 건 도통 어려운 일이 아니다. 회사가 나라 문화를 죄다 바꿔야 하지 않는가.”

조선업은 ‘기술’과 ‘숙련공’이 없으면 제아무리 현지에서 가격경쟁력을 갖춰도 성공할 수 없다는 얘기다. 그런데도 우리나라에선 조선업을 ‘막일을 하는 업종’으로 치부한다. 그래서인지 조선업계 연구개발비용은 매출의 1%도 안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기술개발과 숙련공은 멀리하고 인건비만 줄여 돈을 벌겠다는 전략이 통할 리 없다.
김정덕 더스쿠프 기자 juckys@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