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대 부부 재무설계 下

물가상승률. 재무 솔루션을 할 때마다 가장 많이 신경 쓰이는 요소다. 추천해준 저축상품·투자상품의 금리가 물가상승률보다 낮으면 말짱 도루묵이어서다. 그렇다고 원금 손실 리스크가 높은 상품에 가입하라고 권유하기도 곤란하다. 어떻게 해야 조금이라도 더 높은 수익률을 보장할 수 있을까. 더스쿠프(The SCOOP)-한국경제교육원㈜이 우대금리를 찾아 나섰다.

안전하게 자산을 불리는 방법 중 하나는 우대금리를 지원하는 은행상품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안전하게 자산을 불리는 방법 중 하나는 우대금리를 지원하는 은행상품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지난 상담에서 한상진(43·가명)씨와 김보희(38·가명)씨 부부는 12년간 숨겨왔던 서로의 비상금을 공개했다. 액수는 꽤 컸다. 한씨는 주식으로 6740만원을 모았고, 김씨는 매월 부모님께 드리는 용돈으로 쓰고도 비상금 통장에 430만원을 남겼다. 한씨와 김씨가 각각 인센티브와 상여금 일부를 떼서 모았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한동안 부부는 얼굴을 붉힌 채 지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상대방의 속사정을 이해하기 시작했다. 두 사람 모두 나쁜 의도가 없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었다. 김씨는 대신 자녀들을 돌봐주시는 부모님에게 자유롭게 용돈을 드리기 위해 비상금을 마련했다. 한씨도 마찬가지다.

젊었을 적 PC방 사업을 했던 그는 곧바로 쓸 수 있는 목돈을 마련해 두는 습관이 있었는데, 피치 못할 사정으로 돈이 들어가야 할 상황에 대비하기 위함이었다. 인센티브를 따로 뗀 것도 같은 맥락이다. 부부에게 부족했던 건 이런 얘기를 터놓고 말할 수 있는 용기였다.

어쨌거나 한씨 부부의 문제도 해결됐으니, 이제 본격적으로 재무 솔루션을 세워보자. 부부가 세운 재무 목표는 ‘대출상환’ ‘비상금’ ‘신축아파트 이사’ ‘노후자금’ ‘자녀교육비’ 순이다. 목표 달성을 위해 부부는 2차 상담에서 총 115만원의 저축여력도 확보했다. 동시에 첫번째 재무목표도 손쉽게 달성했다. 한씨의 주식 중 일부를 처분해 대출금(3000만원)을 모두 갚았다.

남은 돈 3740만원은 부부 공동의 비상금으로 활용하려고 했다. 두 자녀를 키우고 있는 부부는 아이들이 대학에 입학했을 때 이를 활용해 2년치 등록금을 지원해줄 생각이었다. 문제는 비상금 3740만원을 어떻게 불리느냐였다. 원금 손실의 리스크가 낮고, 그러면서도 물가상승률 이상의 금리 혜택이 있는 상품을 찾아야 했다.

부부는 환매조건부채권(RP)을 활용하기로 했다. RP는 금융회사가 만기일에 다시 사는 조건으로 고객에게 파는 채권이다. 만기일이 되면 고객은 약속했던 확정이자와 원금을 돌려받을 수 있다. RP는 보유 기간에 따른 수익률을 확정적으로 보장받는 게 가능하고, 하루만 맡겨도 수익을 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국공채같이 비교적 안전한 채권을 담보로 발행하기 때문에 안전성도 높다. 다만, 약속했던 만기일 이전에 상환할 경우 예정보다 낮은 금리가 적용된다는 점은 고려해야 한다. 부부는 먼저 3740만원 중 1600만원을 RP에 투자하고, 추후 상황에 따라 입금액을 늘려가기로 결정했다.

두 사람은 3~5년 뒤에 신축아파트로 이사를 갈 계획도 세우고 있다. 지금 살고 있는 아파트 전세금(1억9500만원)으로도 부족할 가능성이 있어 저축액 상당부분을 이 재무목표에 분배하기로 했다. 먼저 발행어음에 월 40만원씩 납부할 예정이다.

발행어음은 투자자가 금융사에 돈을 빌려주고 그에 따른 이자를 받는 1년 이내의 단기상품이다. 수익률이 낮지만 안전하게 원금을 불릴 수 있다. 상담 당시에 마침 한 증권사에서 모바일 앱에 신규가입해 계좌와 연동하는 고객에게 연 5.0% 수익률을 보장하는 이벤트를 열고 있었다. 부부는 해당 증권사 발행어음에 6개월 만기로 가입했다.


은행·통신사 연계저축 통장에도 20만원씩 저축하기로 했다. 가족 모두가 한 통신사를 쓰는 한씨 부부는 통신사와 연계된 은행의 우대금리(연 4.0%) 혜택을 받았다. 더 비싼 요금제를 쓰면 금리를 5.0%까지도 올릴 수 있었지만 지출이 늘어날 걸 염려해 4.0%에 만족하기로 했다. 이밖에 저축은행에도 25만원 저축하기로 결정했다.

두 자녀 이름으로 각각 가입한 주택종합청약저축의 납입액은 기존 10만원에서 2만원으로 낮췄다. 자녀들이 집을 갖게 되는 건 먼 훗날의 일인데, 여기에 20만원씩 투자할 이유가 딱히 없었다. 한씨 부부도 청약저축에 새로 가입하기로 했다(월 2만원). 분양에 관해선 최소한으로만 대비할 생각이다.

두 사람은 그 흔한 개인연금조차 준비하지 않았다. 각자 비상금을 따로 차고 있어 노후 준비에 해이해진 결과였다. 두 자녀가 초등학교 5학년·3학년인데, 중학교에 입학하면 교육비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것이다. 지금부터 노후를 준비하지 않으면 때를 놓칠 수도 있다는 얘기다.

이에 따라 부부는 개인연금에 월 30만원씩 납입하기로 했다. 물론 30만원으로 노후를 탄탄하게 다지기는 어렵다. 따라서 다른 재무목표보다는 좀 더 공격적으로 투자할 필요가 있다. 납입금의 50%는 안전한 채권형 펀드에 투자해 안전성을 높이고, 나머지는 비교적 수익률이 좋은 성장형 펀드·글로벌 펀드에 고르게 분배했다.

교육비를 대비하기 위해 적립식 펀드(14만원)도 가입했다. 특히 배당수익률이 높은 종목에 집중 투자할 생각이다. 주가가 오르면 펀드를 팔아 시세 차익을 얻을 수 있고, 오르지 않아도 배당 시점까지 펀드를 갖고 있으면 배당금을 탈 수 있어서다. 모든 투자상품이 그렇듯 원금 손실의 우려가 있다는 점은 참고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아내 김씨의 비상금(430만원)은 비정기지출통장(CMA)에 저축해 두기로 했다. 수익률은 낮지만 하루만 지나도 이자가 불어나고, 수시로 입·출금이 가능해 일반 통장처럼 쓸 수 있어 편리하다. 부부는 지출이 예산을 초과할 경우 CMA로 부족분을 채우기로 했다. 앞으로 한씨와 김씨가 받는 인센티브와 상여금은 CMA통장에 거치해 두고 용도를 결정할 예정이다.


이로써 모든 재무상담이 끝났다. 부부는 한씨의 비상금으로 대출금(3000만원)을 모두 상환했고, 자녀들 대학 등록금으로 쓸 돈(3740만원)도 확보했다. 이밖에 아파트 이사 준비(85만원), 개인연금(30만원), 자녀 중·고등학교 교육비(14만원)를 대비하는 것도 성공했다. 이제 두 사람이 솔루션대로 지키는 일만 남았다.
서혁노 한국경제교육원㈜ 원장  shnok@hanmail.net | 더스쿠프 전문기자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