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스쿠프 세꼭지 뉴스
늘어난 한계기업 비중
일자리 불균형 문제 대두
금융안정지수 악화

대기업 가운데 한계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늘었다.[사진=뉴시스]
대기업 가운데 한계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늘었다.[사진=뉴시스]

외감기업 7곳 중 1곳 
한계기업 ‘경고등’


재무적으로 문제를 겪고 있는 한계기업이 늘고 있다. 한국은행은 9월 26일 ‘금융안정 상황’ 자료를 통해 국내 한계기업 문제를 지적했다. 한은에 따르면 ‘3년 연속 이자낼 돈도 벌지 못한 기업’은 한계기업으로 분류된다. 

지난해엔 외감기업(자산총액이 120억원을 넘는 주식회사) 가운데 한계기업으로 지정된 곳은 총 3236곳에 달했다. 2017년 한계기업(3112곳) 수보다 124곳이 늘었다. 외감기업에서 한계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으로 보면 13.7%에서 14.2%로 0.5%포인트 올랐다. 7개 기업 중 1개 기업은 한계기업이라는 얘기다. 

특히 대기업 가운데 재무구조가 악화된 곳이 눈에 띄게 늘었다. 대기업 내 한계기업 비중은 2017년 9.9%에서 지난해 10.6%로 0.7%포인트 증가했다. 중소기업 중에선 0.5%포인트 늘어난 14.9%가 한계기업으로 분류됐다. 업종별로는 숙박음식(35.8%), 조선(24.0%), 부동산(22.9%), 운수(18.7%) 순으로 한계기업 비중이 높았다. 

한계기업이 증가한 만큼 금융회사의 한계기업 여신 규모도 증가했다. 지난해 말 기준 한계기업 여신 규모는 107조9000억원가량이었다. 전년 대비 7조8000억원이 늘어난 수치다. 

한은 관계자는 “한계기업은 채무상환능력이 취약하고 신용등급이 낮은 데다, 자본잠식 상태인 곳이 많다”면서 “최근 글로벌 교역 악화와 국내 경기 둔화 등 악재가 맞물리고 있어 한계기업이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고 꼬집었다. 
고준영 더스쿠프 기자 shamandn2@thescoop.co.kr

40대 줄고 60대 늘고
일자리 불균형 ‘심화’


올해 1분기 임금 근로 일자리가 50만개가량 증가했다. 이 가운데 47만여개는 ‘50대 이상’의 일자리였다. 최근 통계청이 발표한 ‘2019년 1분기 임금 근로 일자리 동향’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임금 근로 일자리는 1824만8000개였다. 전년 동기 대비 50만3000개 늘었다.

 

일자리가 늘었다지만 50대 이상의 일자리가 대부분이다.[사진=뉴시스]
일자리가 늘었다지만 50대 이상의 일자리가 대부분이다.[사진=뉴시스]

근로자가 계속 일하고 있는 ‘지속 일자리’는 1235만4000개(67.7%), 퇴직 등으로 인한 ‘대체 일자리’는 307만2000개(16.8%)였다. 늘어난 일자리 50만3000개를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60세 이상이 28만2000개로 가장 많았다. 50대는 18만7000개, 20대는 3만9000개, 30대는 1만5000개가 증가했다.

50대 이상이 전체 증가분의 93.2%(46만9000개)를 차지한 셈이다. 40대 일자리는 오히려 2만개 줄었다. 전체 일자리 대비 비중으로 봐도 50대 이상은 33.1%로 가장 컸다. 40대는 25.1%, 30대는 24.0%, 20대 이하는 17.6%였다.

통계청 관계자는 “정부 정책의 영향으로 60세 이상 일자리가 대폭 늘어난 건 사실”이라면서 “산업별로도 (정부 정책 지원이 집중되는) 보건ㆍ사회복지 관련 일자리가 대부분 늘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50대의 일자리 증가분 18만7000개 중 4만8000개가, 60세 이상의 일자리 증가분 28만2000개 중 9만8000개가 보건ㆍ사회복지 일자리였다. 산업별로는 보건ㆍ사회복지가 17만3000개로 증가 규모가 가장 컸다. 
김정덕 더스쿠프 기자 juckys@thescoop.co.kr

금융안정 ‘주의’ 
가계부채 탓에…


국내 금융안정 상황을 보여주는 금융안정지수가 ‘주의단계’에 접어들었다. 2016년 2월 이후 3년6개월 만이다. 금융안정지수는 금융안정 상황에 영향을 미치는 실물ㆍ금융 6개 부문(은행ㆍ금융시장ㆍ대외ㆍ실물경제ㆍ가계ㆍ기업)의 20개 월별 지표를 표준화해 산출한다. 숫자가 클수록 금융 상황이 불안정하다는 뜻이다. 8~22면 주의단계, 그 이상이면 위기단계다. 

 

가계소득이 증가하는 속도보다 가계부채가 늘어나는 속도가 빠르다.[사진=뉴시스]
가계소득이 증가하는 속도보다 가계부채가 늘어나는 속도가 빠르다.[사진=뉴시스]

한국은행에 따르면 8월 금융안정지수는 8.3을 기록해 주의단계의 하한선을 살짝 웃돌았다. 원인은 미중 무역전쟁과 일본의 수출규제 등 대외여건이 악화하면서 경기둔화 우려가 커지고 있다는 데 있다. 금융 전문가들은 “경기둔화 우려가 커지면서 경제 주체들의 심리가 위축되고 자산시장 내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가계부채 문제가 심각하다. 올 2분기말 기준 가계부채는 1556조1000억원에 육박했다. 전년 동기 대비 증가율은 4.3%로 높지 않은 수준이지만 소득이 늘어나는 속도보다 빠르다는 점은 골칫거리다. 같은 기간 처분가능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56.7%에서 159.1%로, 2.4%포인트 올랐다. 

DSR(연소득 대비 원리금상환부담액 비율)이 100%를 넘는 채무자의 대출 비중은 수도권 27.3%, 지방 32.6%에 달했다. DSR이 100%를 초과한다는 건 1년간 번 돈을 빚 갚는 데만 써도 모자라다는 얘기다. 
고준영 더스쿠프 기자 shamandn2@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