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모펀드 부실 논란

한국 자본시장에 사모펀드 관련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사진=연합뉴스]
한국 자본시장에 사모펀드 관련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사진=연합뉴스]

2000년 초반만 해도 그랬다. 서민들에겐 저축이 최고의 투자였고 자산가들은 부동산을 수집했다. 하지만 금융시장이 발전하자 이런 행태가 조금씩 바뀌었다. 복잡하고 낯선 이름의 금융상품이 ‘대체투자’란 이름으로 소개되기 시작했다.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을 선전해 많은 사람을 끌어모았지만, 손실 위험을 감수해야 한다는 사실은 숨겼다. 그렇게 2008년 키코(KIKO) 사태가 터졌다.
 
최근엔 사모펀드 쇼크 때문에 난리다. ‘원금 손실’ ‘폰지 사기’ ‘불완전 판매’ 등 투자자라면 벌벌 떨 수밖에 없는 단어가 쏟아져 나온다. 그럼에도 사모펀드를 ‘위험하기 짝이 없는 투기상품’이라고 깎아내리는 주장은 예상보다 적다. 

스타트업에 투자하는 등 모험자본의 큰손으로 성장한 사모펀드의 싹을 짓밟아선 안 된다는 이유에서다. 몇개의 이슈만으로 시장 전체를 재단하는 게 섣부르다는 주장도 있다. ‘가파른 성장에 따른 성장통’이란 것이다. 정부가 부실 사태에 따른 대책을 꺼내긴 했지만, 사실상 주춤거리는 건 이런 의견에 궤를 함께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국민들의 시선은 다르다. 사모펀드를 특권층의 투자수단이라고 생각하는 이들이 많다. 불완전 판매의 온상으로 느끼는 사람도 숱하다. 사모펀드, 어떻게 해야 할까. 규제를 강화해야 할까 한번만 더 기회를 줘야 할까. 사모펀드가 기로에 섰다. 
김다린 더스쿠프 기자 
quill@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