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 속 리듬

➊ 성낙희, Sequence 1, 캔버스에 아크릴, 110×130㎝, 2019년 ➋ 성낙희, Sequence 5, 캔버스에 아크릴, 65×53㎝, 2019년  ➌ 성낙희, Sequence 9, 캔버스에 아크릴, 65×53㎝, 2019년
➊ 성낙희, Sequence 1, 캔버스에 아크릴, 110×130㎝, 2019년 ➋ 성낙희, Sequence 5, 캔버스에 아크릴, 65×53㎝, 2019년 ➌ 성낙희, Sequence 9, 캔버스에 아크릴, 65×53㎝, 2019년

성낙희는 회화적 요소를 사용해 음악적 리듬이 느껴지는 작업을 해오고 있다. 회화의 기본 요소인 점ㆍ선ㆍ면을 사용해 화면 안에서 음악적 리듬과 운율을 만들어낸다. 그의 작품은 미끄러지듯 흐르는 색의 운동감이나 형태를 보여 왔다.

최근 그의 작품에서는 새로운 방식의 시도가 엿보인다. 2018년 ‘Transpose’ 연작에서 시작된 변화는 최근 작업한 ‘Sequence’ 연작에 잘 나타난다. 이 연작은 차분하고 정적이어서 운동감보다는 공간감이 먼저 전달된다.

성낙희의 개인전 ‘Modulate’는 작가가 새로운 실험을 지속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조를 옮긴다’ 혹은 ‘바꾼다’는 의미의 전시 타이틀에서도 짐작할 수 있다. 기존 상황의 변주가 아니라 새로운 장을 열기 위해 큰 변화를 모색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전까지 주로 사용하던 붓보다 넓은 붓을 시원스럽게 사용하는 것, 비교적 작은 캔버스를 사용하는 것도 변화를 실감하게 한다.

➍ 전시 전경 ➎ 전시 전경
➍ 전시 전경 ➎ 전시 전경

‘Sequence’ 연작은 여러 색면이 쌓여가며 기하학적으로 연결돼 매끄러운 형태를 띤다. 마치 디지털 픽셀과 같아 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직선과 곡선이 결합된 붓질의 흔적을 품고 있다.

수직과 수평, 사선으로 화면을 분할하면서도 곡선으로 굴절되면서 계속 흘러내리듯 유동적인 장면을 연출한다. 동시에 무엇인가 나타나고 소용돌이치다가, 알 수 없는 외부의 힘에 의해 멈춰진 상태로 카메라에 포착된 것 같은 정지화면처럼 보이기도 한다.

작가는 주변의 물질적ㆍ비물질적 영향을 차분히 인지하고 느릿한 움직임으로 나오는 결과에 주목한다. 이렇게 표현된 화면들은 운동감과 공간감을 함께 품는다.


‘Sequence’ 연작은 부분이 가진 다양한 성질을 결합해 결과적으로 충만하게 채운다. 한편으로는 모든 힘이 무無로 돌아가는 텅 빈 허상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는 내면에 있는 완전함ㆍ충만함을 채우려는 갈망과 여전히 순환하고 있는 미완ㆍ불충분이라는 의심의 부분들을 조합한다.

그가 결국 도달하고자 하는 곳은 중력과 같은 외부의 힘과 ‘나’라는 주체가 갖고 있는 내부의 힘이 균형을 이루는 제로 상태를 의미한다. 부분과 전체의 구분이 없어져 모두가 합일하는 완벽한 상황, 어딘가 존재할 미지의 목적지다. 5월 9일까지 페리지갤러리에서 개최한다.

이지은 더스쿠프 기자
suujuu@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