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임 사태 도식

불완전판매에서 시작한 금융사기 사건이 권력형 비리로 방향을 틀고 있다. 1조6000억원대의 펀드 환매가 중단된 라임자산운용 사태를 두고 하는 말이다. 일개 폰지 사건을 지나치게 확대해석하는 게 아니냐는 지적도 있지만 설득력이 아예 없는 건 아니다. 홍성준 약탈경제반대행동 사무국장도 “따져볼 게 많은 사건”이라고 꼬집었다. 더스쿠프(The SCOOP)가 복잡하게 얽히고설킨 라임 사태를 도식으로 설명해 봤다. 

라임자산운용 사태를 두고 권력형 비리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사진=뉴시스] 

1조6000억원대 펀드 환매 중단에서 비롯된 라임자산운용(이하 라임자산) 사태가 일파만파로 확산하고 있다. 불완전판매인 줄만 알았던 라임 사태의 베일이 하나씩 벗겨지고 있어서다. 의혹의 중심엔 라임자산의 전주錢主로 밝혀진 김봉현 전 스타모빌리티 회장이 서있다.

김 전 회장은 스타모빌리티 회삿돈 횡령(571억원), 수원여객 회삿돈 횡령(161억원) 등 여러 사건의 배후로 지목되고 있다. 얽히고설킨 등장인물은 또 있다. 금감원 출신의 전 청와대 행정관, 주요 증권사 임직원 등이 라임 사태를 키운 인물로 거론되고 있다. 최근 라임 사태를 폰지 사기를 넘어 권력형 비리의 일단으로 보는 시각이 많아진 이유다.

근거는 라임 사태의 수사가 ‘지연’됐다는 점이다. 금감원이 라임자산의 이상 징후를 포착한 것은 지난해 6월이었다. 하지만 라임자산을 검사하고, 검찰에 수사를 의뢰한 건 그로부터 2~3개월이 흐른 후였다. 전 청와대 행정관이 금감원의 라임자산 검사에 압력을 행사한 게 아니냐는 의혹이 새어나온 이유다. 이런 상황에서 지난 3월 중순 법무부가 ‘라임 사태 수사팀에 검사를 추가로 파견해 달라’는 검찰 요청을 거부하면서 윗선의 입김이 작용하고 있다는 의혹까지 덧붙여졌다.

홍성준 약탈경제반대행동 사무국장은 “라임 사태의 피해 규모는 1조원이 넘을 것으로 보인다”며 “검찰의 수사를 받는 주요 인물이 한결같이 영장실질심사 과정에서 잠적했다는 점도 의심을 키운다”고 말했다. 그는 “대규모 금융사기 사건 뒤에는 항상 권력형 비리가 자리 잡고 있었다”며 “라임 사태의 의혹을 제대로 밝혀내지 못하면 이번 정권이 역풍을 맞을 수도 있다”고 꼬집었다.

강서구 더스쿠프 기자
ksg@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