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대 부부 재무설계 下

안정성과 수익률. 재테크를 할 때 어느 것에 초첨을 맞춰야 할지 많은 이들이 고민한다. 요즘 같은 저금리 시대에 무턱대고 은행에 맡겨두는 것도 비효율적이지만 그렇다고 리스크가 큰 투자상품에 넣어두기도 불안하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최선은 자기가 세운 목표와 죽이 잘 맞는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다. 더스쿠프(The SCOOP)-한국경제교육원㈜이 효과적으로 재무 솔루션을 짜는 방법을 소개한다.

재무목표의 시기와 액수에 걸맞은 저축상품을 활용해야 한다.[일러스트=게티이미지뱅크]
재무목표의 시기와 액수에 걸맞은 저축상품을 활용해야 한다.[일러스트=게티이미지뱅크]

주식 전업투자자의 꿈을 놓고 고민에 빠진 강성훈(가명·42)씨와 아내 한소희(가명·38)씨. 주식 투자로 꽤 쏠쏠한 수익을 맛본 강씨는 얼마 전 한씨에게 직장을 그만두고 전업투자자로 활동하고 싶다는 뜻을 밝혔다.

강씨 말에 따르면 월 200만~300만원에 이를 정도로 주식 투자로 거둔 수익이 쏠쏠했다. 그럼에도 한씨는 쉽게 승낙할 수 없었다. 안정적인 수입을 굳이 포기할 필요가 있느냐는 이유에서였다. 한씨가 강씨 계획에 동의하지 못하는 이유는 또 있다. 강씨는 월급뿐만 아니라 주식의 수익 내역도 공개하지 않았다. 그는 월급 중 주식 투자에 쓰는 자기 용돈과 친정 부모님 관련 비용을 제외한 나머지(350만원)를 생활비로 한씨에게 줘왔다.

그래서 한씨는 남편이 몰래 딴맘을 먹고 있지는 않을까 불안해 했다. 강씨는 “오래전부터 일정 금액의 생활비를 줘 왔고 나머지는 자유롭게 썼다”면서 되레 황당하다는 입장을 전했다. 생각차를 좁히지 못한 부부는 재무상담을 받아보고 모든 걸 결정하기로 했다.

지난 1·2차 상담에선 부부의 지출을 줄이는 데 중점을 뒀다. 월 660만원(남편 350만원·아내 310만원)을 생활비로 잡은 두 사람은 월 657만원을 쓰고 3만원을 남겨왔는데, 지출 다이어트를 통해 소비성 지출 191만원, 비정기 지출 22만원 등 총 213만원을 절약하는 데 성공했다.

여기에 기존 20만원씩 납입하던 은행예금도 해지했다. 따라서 부부가 활용할 수 있는 여유자금도 236만원으로 크게 늘어났다. 이제 이 돈으로 부부의 재무목표를 달성하는 과제가 남았다. 부부는 지난 상담에서 이사비용 마련→비상금 마련→자녀 교육비 마련→노후 준비 순으로 목표를 세운 바 있다.

지금 사는 집(자가 아파트·4억8000만원)보다 더 비싼 곳(상한선 2억5000만원)으로 이사할 계획인데, 코로나19 사태가 잠잠해질 거라 예상되는 가을에 본격적으로 알아볼 생각을 하고 있다. 그러려면 부족분을 채우기 위한 은행대출의 월 상환금액을 계산해 봐야 한다.

일단 2억5000만원을 빌린다고 가정하자. 기준은 15년 원리금 균등상환에 금리 3.0%로 잡았다. 그러면 강씨 부부는 월 170만원씩 갚아야 한다. 여유자금(236만원)의 상당 부분을 투입해야 하는 셈이다. 이에 따라 부부는 월 170만원씩 주거래은행의 자유저축통장에 넣기로 결정했다.

자유저축통장은 이용자가 원하는 때에 입출금과 이체가 가능한 통장이다. 쉽게 말해 은행예금이라고 보면 된다. 안전하고 편리한 만큼 다른 상품에 비해 금리가 무척 낮다는 게 단점이지만, 신용등급을 높이는 수단으로 활용하기에는 충분하다. 신용등급이 올라가면 대출금리를 조금이라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강씨 부부는 신용등급을 높이기 위해 체크카드를 이용, 월 30만~60만원가량 꾸준히 결제하기로 결정했다.

신용등급을 높이기 위한 다른 방법도 알아두면 좋다. 통신비·건강보험료·관리비 등 공공요금을 6개월 이상 연체 없이 납부하고 그 내역을 신용평가회사에 제출하면 성실납부 가산점을 받을 수 있다. 부부는 가을까지 자유저축통장에 모은 자금으로 이사비용을 대고, 이후엔 주택대출금을 상환하기 위한 용도로 활용하기로 했다.

이제 여유자금은 66만원 남았다. 이중 20만원은 저축은행에 넣기로 했다. 요즘은 저축은행도 최고 5000만원까지 예금자보호가 적용되므로 안전하게 돈을 맡길 수 있다. 조건 충족 시 최고 5%대까지 금리를 제공하는 상품도 있다. 이런 경우엔 월 10만~20만원으로 납입액이 제한된다는 단점이 있지만, 시중 은행의 금리가 1%대라는 점을 생각하면 상당히 매력적인 조건이다. 부부는 만약의 사태를 위한 비상금 용도로 저축은행을 활용할 예정이다.

다음은 자녀 교육비다. 일반적으로 자녀의 교육비가 급격하게 늘어나는 시기는 아이들이 고등학생이 되는 때다. 두 자녀가 각각 11살·10살인 부부에겐 6~7년 후다. 이에 따라 필자는 장기 납입할 때 효과를 발휘하는 적립식펀드에 월 20만원씩 납입할 것을 주문했다. 부부는 적립식펀드의 상당 부분을 글로벌 펀드로 구성했다. 글로벌 펀드는 ‘대박’ 확률이 낮은 반면 분산투자가 가능해 어떤 장세에서든 안정적인 수익률을 추구할 수 있다. 다만, 어디까지나 투자상품이기에 원금 손실 우려가 있다는 점을 잊어선 안 된다.

마지막으로 논의해야 할 건 ‘은퇴 이후의 삶’이다. 강씨는 이미 40대고 2년 후면 한씨도 40살이 된다. 슬슬 은퇴 이후의 삶을 걱정해야 하는 시기이기 때문에 지금부터 노후 준비를 해야 한다. 의논 끝에 부부는 월 26만원씩 개인연금에 납입하기로 했다. 주식투자를 하는 강씨의 적극적인 투자성향을 반영, 수익률이 높은 상장지수펀드(ETF)로 개인연금을 구성했다. 공격성향이 무척 강한 상품이기에 일정 기간 이후 수익을 올린 경우엔 더 안정적인 공시이율 상품으로 전환하는 기능을 활용하기로 했다. 

이제 부부의 재무 솔루션을 모두 끝마쳤다. 부부의 여유자금 236만원은 주택자금 마련(170만원), 비상금 마련(20만원), 자녀 교육비(20만원) 마련, 노후 준비(26만원)를 하는 데 알뜰히 쓰였다. 재무 솔루션이 수월하게 이뤄진 덕분인지 “전업투자자가 아니면 안 된다”며 고집을 부리던 강씨도 생각을 바꿨다. 앞으론 지금처럼 직장생활을 병행하면서 무리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주식 투자를 하기로 했다. 대신 고정 생활비(330만원)만 아내에게 지급하는 방식은 그대로 유지하기로 부부가 합의했다. 앞으로도 두사람이 함께 고민해야 할 이슈가 계속 늘어날 텐데, 지금처럼 머리를 맞대고 잘 풀어나갈 수 있기를 바란다.

서혁노 한국경제교육원㈜ 원장
shnok@hanmail.net | 더스쿠프 전문기자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