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업 재개한 케이뱅크의 세가지 난제

17번. 인터넷전문은행 케이뱅크가 출범 이후 대출을 중단한 횟수다. 자본금 문제로 대출 중단과 재개를 반복하던 케이뱅크가 지난 13일 영업을 재개했다. 지난해 4월 대출 중단 이후 15개월 만이다. 이는 유상증자 등을 통해 3966억원의 자금을 마련했기 때문이다. 하지만 케이뱅크의 영업 정상화 소식에도 시장의 전망은 어둡기만 하다. 언제 발목을 잡을지 모르는 부족한 자본금, 치솟은 연체율 등 해결할 문제가 숱해서다. 더스쿠프(The SCOOP)가 영업 재개한 케이뱅크의 세가지 난제를 취재했다. 

지난해 4월 대출 업무를 중단했던 케이뱅크가 15개월 만에 대출상품 판매를 재개했다.[사진=뉴시스] 

개점휴업 상태였던 국내 1호 인터넷전문은행 ‘케이뱅크’가 영업 재개에 나섰다. 케이뱅크는 지난 13일 오전 10시부터 대출상품 판매에 나섰다고 밝혔다. 케이뱅크의 대출 재개 소식에 고객이 몰리면서 한때 홈페이지와 앱의 접속이 지연되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했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신청이 일시에 몰리면서 외부 신용평가사의 서버에 과부하가 걸렸다”며 “서버 증설을 통해 문제점을 해결했다”고 말했다. 그는 “정확한 대출 규모는 밝히기 어렵지만 많은 고객이 관심을 보인 것은 사실”이라며 “직장인 모바일 대출상품 중 최저 수준의 금리와 신용대출의 최대한도를 2억5000만원으로 상향 조정한 것이 높은 관심으로 이어진 것 같다”고 설명했다.


케이뱅크는 7월 초 ‘직장인K 신용대출’ ‘직장인K 마이너스통장’ ‘슬림K 신용대출’ 등의 기존 상품을 각각 신용대출, 마이너스통장, 신용대출 플러스로 변경하는 등 상품 리뉴얼에 나섰다. 지난해 4월 건전성 관리를 이유로 대출상품 판매를 중단한 지 15개월 만이다. 이는 최근 유상증자 등으로 3966억원의 자본금을 확보했기에 가능했던 것으로 보인다.

지난 7월 케이뱅크는 부족한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1574억원 규모의 전환 신주 발행과 BC카드·우리은행·NH투자증권 등 3대 주주를 대상으로 한 2392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꾀했다. 5050억원(2019년 기준)이었던 자본금을 9016억원으로 늘려 은행을 정상화하겠다는 계획에서였다.

시장 반응은 나쁘지 않다. 상품을 리뉴얼하는 등 발 빠르게 내부 정비를 마쳤다는 이유에서다. 출시한 대출상품에 고객 관심이 높다는 점도 긍정적인 전망을 갖게 한다. 케이뱅크의 영업 재개로 카카오뱅크와 올해 출범을 앞둔 토스뱅크 등 인터넷전문은행의 3파전이 예상된다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부족한 자본금 = 물론 섣부른 낙관론이라는 의견도 있다. 케이뱅크의 정상화를 위해서는 해결해야 할 과제가 한두 가지가 아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매번 발생하는 자본금 확충 문제는 난제 중 난제다. 업계에서는 제대로 된 영업을 위해서는 1조5000억원 이상의 자본금이 필요하다고 전망한다. 카카오뱅크가 지난해 자본금을 1조8000억원으로 불린 이후 흑자 달성에 성공했다는 게 그 이유다.

이런 맥락에서 케이뱅크로선 추가 증자가 불가피하지만 쉬운 일이 아니다. 20여곳으로 알려진 주주의 의견을 하나로 모으기가 쉽지 않아서다. 복잡한 지배구조가 자본 확충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사실 이 문제는 증자 이슈가 나올 때마다 케이뱅크의 발목을 잡았다.

케이뱅크는 2017년 10월 1000억원 증자 이후 제대로 된 증자에 성공한 적이 없다. 2018년 7월 300억원, 10월 230억원, 12월 743억원, 2019년 276억원 등 증자가 화끈하지 못했던 것도 일부 주주가 유상증자 참여를 거부했기 때문이다. 이번 3966억원의 증자 때 BC카드·우리은행·NH투자증권 등 3대 주주만 참여한 것도 같은 맥락에서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주주의 의견을 조율하는 게 쉬운 일은 아니다”면서도 “주요 주주의 증자 의지가 강하다”고 말했다. 그는 “차후 증자 계획을 얘기하는 건 아직은 시기상조”라며 “주요 주주사의 의견을 언급하는 게 부담스러운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은행 건전성 악화일로 = 두번째 난제는 개장휴업 상태로 악화한 경영상태다. 케이뱅크는 올 1분기 240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했다. 2018년 -188억원, 2019년 -241억원에 이어 3년 연속 적자를 낸 셈이다. 더 큰 걱정거리는 연체율이다. 올 1분기 연체율이 전년 동기(0.87%) 대비 1.1%포인트 증가한 1.97%로 치솟았기 때문이다. 5월 말 기준 국내은행의 대출 연체율 평균은 0.42%다(금융감독원). 케이뱅크의 연체율이 4배 이상 높은 셈이다. 

그럼에도 케이뱅크는 공격적인 대출 확대에 나서고 있다. 다른 시중은행이 코로나19 리스크에 대응하기 위해 대출을 축소하고 있는 것과는 반대되는 모습이다. 상황도 케이뱅크의 전략과 다르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기관 대출행태서베이 결과’ 3분기 전망치에 따르면 국내은행의 대출태도 지수는 1분기 11, 2분기 1에서 3분기 -11로 감소했다.[※참고 : 대출태도 지수는 ±로 구분한다. 플러스는 대출태도 완화, 신용위험 증가, 대출 수요 증가를 의미하고, 마이너스는 그 반대를 뜻한다.] 코로나19의 불확실성에 대비해 대출을 조이겠다는 것이다.

■불투명한 대주주 변경 효과 = KT 대신 대주주로 나선 BC카드의 케이뱅크 지원 방안이 불투명하다는 점도 난제다. 공정거래법 위반으로 대주주 적격성 심사에 발목이 잡혔던 KT는 자회사인 BC카드를 케이뱅크의 대주주로 세운다는 계획을 세웠다. 케이뱅크의 자본금 확충을 위한 고육지책이었다.[※참고 : 지난 4월 29일 인터넷전문은행의 대주주 요건에서 공정거래법 위반을 제외하는 인터넷전문은행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했다. 하지만 KT는 전략을 수정하지 않았다.]

문제는 BC카드가 대주주 적격성 심사를 통과해 대주주에 이름을 올리더라도 케이뱅크를 지원할 수 있는 방법이 뚜렷하지 않다는 점이다. 케이뱅크는 현재 ‘KT멤버십 더블혜택 체크카드’ ‘포인트적립형 체크카드’ ‘해피포인트 체크카드’ 등 3종의 체크카드만 발급하고 있다. 언뜻 봐도 신용카드사와의 시너지를 내기 힘든 구조다. KT를 대신해 케이뱅크의 ‘백기사’를 자처한 BC카드마저 어려워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는 이유다. BC카드는 시장의 우려는 기우에 불과하다고 일축했다.

BC카드 관계자는 “마스터카드 지분(4299억원)을 매각해 자본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다”면서도 “아직 구체적인 지원 방안을 논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고 말했다. 그는 “케이뱅크와의 시너지 강화를 위한 목적도 있다”면서도 “지금은 금융당국의 대주주 적격성 심사를 통과하는 게 최우선 과제”라고 설명했다.

BC카드 대주주 전략 먹힐까

하지만 업계의 의견은 다르다. 수수료 인하, 간편결제 업체와의 경쟁심화 등으로 성장을 장담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기 때문이다. BC카드가 케이뱅크의 대주주로 올라서는 것이 서로에게 독이 될 수도 있다는 얘기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올 1분기 국내 카드사가 비교적 양호한 실적을 거둔 것은 비용 절감 효과가 나타났기 때문”이라며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온라인 결제가 증가하고 있지만 카드사의 실적으로 이어질지는 의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신용평가사도 카드사의 신용등급을 모두 부정적으로 판단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자체 발급 카드가 없어 수수료 수익에 의존해야 하는 BC카드는 더 큰 타격을 받을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강서구 더스쿠프 기자
ksg@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