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스쿠프 세꼭지 뉴스
한은, 올해 마이너스 성장 시사
소비자심리지수 재확산에 꺾일까
1분기 임금근로 일자리 동향 분석

한국은행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했다.[사진=뉴시스]
한국은행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했다.[사진=뉴시스]

코로나 겨울까지 가면…
성장률 -2.2%로 ‘뚝’


한국은행이 올해 국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대폭 하향조정했다.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로 내수가 위축될 공산이 큰 데다, 수출마저 감소세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서다. 

한은은 8월 27일 ‘수정 경제전망’을 발표하고 올해 실질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0.2%(5월 발표)에서 -1.3%로 떨어뜨렸다. 불과 3개월 만에 1.1%포인트나 하향조정했다. 이는 정부의 성장률 목표치(0.1%)를 한참 밑도는 수치다. 정부의 성장률 목표치 달성이 물 건너갔다는 얘기다. 

한국 경제가 ‘마이너스 성장’을 경험한 건 ‘1980년(-1.6%)’ ‘1998년(-5.1%)’ 두차례밖에 없었다. 전망이 현실화하면 한국은 역대 세번째로 깊은 경기침체를 경험하게 된다. 한은은 2021년 전망치도 3.1%(5월 발표)에서 2.8%로 내렸다.

침체의 원인은 코로나19다. 한은은 “국내 경제가 부진한 흐름을 지속한 가운데 수출 감소폭이 다소 줄긴 했지만 민간소비 개선 흐름이 약화되고, 설비투자 회복이 제약됐다”면서 “고용 상황은 취업자 수가 큰 폭으로 줄어드는 등 부진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코로나19 재확산 영향으로 국내 경제 회복 흐름이 예상보다 더딜 것”이라고 덧붙였다. 코로나19에 따라 주요 경제지표가 다시 큰 충격을 받을 것으로 내다본 셈이다. 

한은은 코로나19 유행이 겨울까지 이어진다면 성장률이 -2.2%까지 추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지난 5월까지만 해도 올 하반기쯤이면 코로나 확산세가 진정될 것으로 봤는데, 다시 확산하고 있다”면서 “국내 수출과 소비 개선 흐름이 더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 경제의 성장 흐름은 코로나19 전개상황과 그에 따른 정부의 대응, 각 경제주체의 행태에 따라 좌우될 것”이라고 꼬집었다. 

김다린 더스쿠프 기자
quill@thescoop.co.kr


코로나19 재확산
소비심리에 ‘찬물’


5월 이후 넉달째 상승세를 이어가던 소비심리가 코로나19 재확산이란 변수에 부닥쳤다. 한국은행이 8월 25일 발표한 ‘8월 소비자동향조사’에 따르면 8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88.2로 전월 대비 4.0포인트 상승했다. 소비자심리지수는 소비자동향지수(CSI) 중 6개 주요지수를 표준화한 것이다. 기준값(100)보다 높으면 경제 전반을 바라보는 소비자의 인식이 낙관적임을, 낮으면 비관적임을 뜻한다. 가계 재정상황 인식을 나타내는 현재생활형편CSI는 85로 전월과 같았다.

8월 소비자심리지수가 4개월 연속 상승했지만 코로나19 재확산으로 9월 전망은 어두워졌다.[사진=뉴시스]
8월 소비자심리지수가 4개월 연속 상승했지만 코로나19 재확산으로 9월 전망은 어두워졌다.[사진=뉴시스]

하지만 6개월 후 가계 재정상황 전망을 나타내는 생활형편전망CSI는 89로 전월 대비 2포인트 상승했다. 가계수입전망CSI는 92, 소비지출전망CSI는 99로 각각 전월 대비 2포인트, 4포인트씩 올랐다. 여기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한국 경제성장률 전망을 상향조정하면서 경기 낙관론이 확산한 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지난 8월 15일 광화문집회 이후 코로나19가 재확산하면서 소비심리가 급격히 위축되고 있다. 이런 추세가 이어진다면 9월 소비심리지표가 하락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이번 조사는 8월 10~14일에 실시돼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조치의 영향은 반영되지 않았다”면서 “긴 장마와 폭염 등으로 인한 물가상승세가 소비자심리지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지켜봐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이지원 더스쿠프 기자 
jwle11@thescoop.co.kr

올 1분기 일자리
늘긴 늘었건만…


올 1분기 늘어난 임금근로 일자리가 대부분 60대 이상 고령층 일자리인 것으로 나타났다. 8월 2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1분기 임금근로 일자리 동향’에 따르면 1분기 전체 임금근로 일자리는 1867만6000개로 전년 동기 대비 42만8000개 증가했다.

산업별로는 보건ㆍ사회복지 분야 15만6000개, 공공행정 분야 6만3000개, 교육 분야 5만3000개, 전문ㆍ과학ㆍ기술 분야에서 5만개가 늘었다. 반면 전체 일자리 중 비중이 가장 큰 제조업(22.4%) 분야의 일자리는 2만2000개 감소했다. 

1분기 제조업 악화로 20ㆍ30대 일자리가 크게 감소한 반면 60대 이상 일자리는 늘었다.[사진=뉴시스]
1분기 제조업 악화로 20ㆍ30대 일자리가 크게 감소한 반면 60대 이상 일자리는 늘었다.[사진=뉴시스]

연령대별로는 60대 이상 고령층 일자리가 25만3000개 늘어나 전 연령대에서 가장 큰 증가폭(12.1%)을 보였다. 보건ㆍ사회복지 서비스업에서만 7만4000개가 느는 등 정부의 재정일자리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50대 일자리는 17만1000개, 40대 일자리는 6만4000개 증가했다.  

문제는 제조업황이 악화일로를 걸으면서 30대 일자리가 4만7000개나 줄었다는 점이다. 30대 일자리 감소분은 지난해 1분기 감소분(2만4000개)의 두배에 달했다. 산업별로는 제조업에서 3만8000개, 건설업에서 2만8000개씩 줄었다. 20대 이하 임금근로 일자리도 1만3000개나 감소했다. 

심지영 더스쿠프 기자 
jeeyeong.shim@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