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스쿠프 세꼭지 뉴스
한진칼, 아시아나항공 인수설 무성
공정위 대기업 내부거래 비중 조사
말 많은 공모주 청약제도 개선되나

한진그룹이 아시아나항공을 인수하는 시나리오가 검토되고 있다.[사진=뉴시스]
한진그룹이 아시아나항공을 인수하는 시나리오가 검토되고 있다.[사진=뉴시스]

널린 게 암초
빅딜 순탄할까 


두 항공사의 ‘빅딜’ 조짐이 감지된다. 정부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을 합친 매머드급 대형 항공사의 탄생을 추진하고 있어서다.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산업은행은 아시아나항공을 한진칼에 매각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동걸 산은 회장은 HDC현대산업개발의 아시아나항공 인수가 무산된 직후부터 관련 부처와 함께 한진그룹에 접촉하면서 빅딜 시나리오를 그려온 것으로 알려졌다. 

구체적인 인수 방법도 회자되는 중이다. 산업은행이 한진칼에 출자해 돈을 대면 한진칼이 금호산업이 보유한 아시아나항공 지분(30.77%)을 인수하는 시나리오다. 산은 측은 “여러 옵션 중에서 검토 중이지만 확정된 건 없다”면서 가능성을 일축하지 않았다.

더구나 항공사의 경쟁력은 규모의 경제에서 나온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한국과 인구 규모가 비슷한 프랑스ㆍ영국 등도 나라를 대표하는 항공사 하나만 보유하고 있다”면서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하는 만큼 양사를 통합해 규모의 경제를 꾀하면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하지만 빅딜의 과정은 순탄치만은 않을 전망이다. 당장 인수 주체로 거론되는 한진칼의 재무 상황이 탄탄하지 않다. 핵심 계열사인 대한항공이 화물 영업에 주력해 간신히 버티고 있을 뿐, 당장 눈에 띌 만한 수익 개선을 기대하기 어렵다.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과 경영권 분쟁을 벌이고 있는 3자 주주연합(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ㆍKCGIㆍ반도건설)의 반발도 변수다. 유상증자를 통해 산은이 한진칼의 지분을 확보한다면 조원태 회장의 우호지분으로 분류될 가능성이 높아서다. KCGI는 입장문을 통해 “다른 주주의 권리를 무시한 채 현 경영진의 지위 보전을 위한 대책처럼 보인다”고 비판했다. 공정거래위원회의 기업결합 승인 여부도 관건이다. 국내 1ㆍ2위 항공사인 두 회사의 합병에 따른 독과점 우려가 발생할 수 있다.  

김다린 더스쿠프 기자
quill@thescoop.co.kr

시대가 바뀌어도
내부거래는 여전


총수가 있는 상위 10대(자산 기준) 대기업집단의 2019년 내부거래액이 2018년에 이어 또다시 150조원을 넘어섰다. 내부거래액은 전년 대비 약간 줄었지만 비중은 4년째 증가세를 기록했다. 여전히 대기업집단으로 경제력이 집중되고 있다는 얘기다. 

대기업집단의 내부거래로 인한 경제력 집중 현상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사진=뉴시스]
대기업집단의 내부거래로 인한 경제력 집중 현상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사진=뉴시스]

12일 공정거래위원회가 공개한 ‘2020년 공시대상기업집단(자산 총액 5조원 이상) 64곳의 내부거래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총수 있는 10대 대기업집단’의 내부거래액은 150조5000억원에 달했고, 총매출 대비 비중은 14.1%였다.[※참고 : 지난 5월 지정된 10대 대기업집단은 삼성ㆍ현대자동차ㆍSKㆍ LGㆍ롯데ㆍ한화ㆍGSㆍ현대중공업ㆍ신세계ㆍ CJ다.] 2018년 153조5000억원보단 3조원 줄었지만 비중은 0.2%포인트(2018년 13.9 %) 상승했다. 

주목할 점은 총수 2세 지분율이 20%를 넘는 회사의 내부거래가 많았다는 거다. 이런 기업들의 내부거래 비중은 19.1%로 지분율이 20% 미만인 곳보다 6.8%포인트 높았다. 또한 총수 일가 지분율이 20~30% 구간에 있어 규제 사각지대에 놓인 회사 343곳의 2019년 내부거래액은 26조5000억원으로 같은해 규제 대상 회사의 내부거래액 8조8000억원보다 3배가량 많았다. 

김정덕 더스쿠프 기자
juckys@thescoop.co.kr

기울어진 운동장
공모주를 바꿔라


공모주가 상장 첫날 반짝 올랐다 급락하는 현상이 반복되자 투자자 보호를 위해 제도를 손질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상장 후 시장가격이 급락하는 걸 방지해야 한다는 취지에서다.

이석훈 자본시장연구원 선임 연구위원은 지난 12일 열린 ‘공모주 배정 및 IPO(기업공개) 제도개선’ 관련 토론회에 참석해 “신주배정 시 적정한 가격 발견과 주가 안정에 기여한 기관투자자를 우대할 수 있도록 주관사의 자율권을 강화해야 한다”며 “반대로 기여도가 낮은 기관투자자의 신주배정을 제한하는 것도 방안”이라고 말했다. 기관투자자와 협력해 적절한 공모가를 책정해야 한다는 얘기다. 

개인청약자에 불리한 공모주 시장의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사진=뉴시스]
개인청약자에 불리한 공모주 시장의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사진=뉴시스]

개인투자자의 청약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이를 위해 제시한 방안은 우리사주조합에 배정된 물량을 활용하는 것이다. 공모주 청약 시 우리사주조합에 우선 배정되는 물량은 전체 공모주의 20%다. 하지만 우리사주조합의 청약은 자주 미달된다. 자본시장연구원에 따르면 2017년부터 지난해까지 우리사주조합에 평균 배정된 물량은 코스피시장은 11%, 코스닥시장은 5%에 불과했다. 

이석훈 연구위원은 “우리사주조합 청약 미달 물량 중 최대 5%를 일반청약자에게 배정하는 방안이 필요하다”며 “주관사가 발행기업과 협의하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강서구 더스쿠프 기자
ksg@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