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걷수다 제5편 창신동
골목길의 고찰❶

골목은 온전한 ‘사람의 길’이다. 폭이 좁아서 차는 물론 오토바이도 잘 다니지 않는다. 그래서 골목은 ‘머무는 길’이기도 하다. 사람들의 오랜 삶이 머물고, 일상이 머물며, 하물며 시간까지 머문다. 건축가와 사진가의 길걷수다 프로젝트, 이번에는 창신동의 골목길을 걸어본다.

좁고 구불구불한 골목길에는 시간이 스며있다. 계획적으로 반듯하게 세워진 새로운 도시에서는 볼 수 없는 역사의 길이다. [사진=오상민 작가]
좁고 구불구불한 골목길에는 시간이 스며있다. 계획적으로 반듯하게 세워진 새로운 도시에서는 볼 수 없는 역사의 길이다. [사진=오상민 작가]

나는 동네를 구경하는 것을 좋아한다. 그 순간만은 여행자가 되어 관찰자의 눈으로 구석구석을 살피곤 한다. 큰길에서 작은 길로 작은 길에서 다시 골목으로 발걸음은 점점 깊숙이 들어간다. 길의 넓이에 따라 건물 크기가 달라지고 동네의 분위기가 바뀐다. 

골목길을 거닐다 배가 고프면 식당 분위기와 간판을 보고 맛집을 추려낸다. 목이 마르면 동네 구멍가게에 들어가 음료수를 산다. 그리고 가게 앞 플라스틱 테이블에 앉아 여유 있게 짧은 여행을 만끽한다. 그렇게 여러 지역을 다니며 동네를 구경하고 무언가 맛보는 건 내 즐거운 여가활동 중 하나였다.

가끔 예전에 둘러봤던 동네를 다시 들를 일이 생긴다. 시간이 얼마나 흘렀는지 건물도 간판도 변했지만 길은 거의 그대로다. 특히 동네 어귀 좁은 골목길은 옛 모습인 경우가 많다. 오랜만에 그 골목을 다시 헤맨다. 좁은 골목, 낮은 집, 예전에도 본 것 같은 오래된 초인종, 사자 모양의 대문 손잡이, 처음 걸었던 그때 그 건물의 질감과 그날의 하늘빛이 그대로다. 

골목을 요리조리 둘러보고, 손으로 만져보기도 한다. 골목길을 걷다 보니 방향을 잃는다. 내가 처음 골목길을 걸었던 그때도 그랬다. 그곳의 시간은 그날로 멈춘 모양이다. 시간이 잠시 멈춘 곳 ‘골목’, 지금부터 그 골목을 소소하게 고찰해본다. 

골목은 길로써 사람과 도로를 연결한다. 골목길의 상징이 돼 버린 복잡한 전선과 통신선들이 이 집에서 저 집을 연결된다. [사진=오상민 작가]
골목은 길로써 사람과 도로를 연결한다. 골목길의 상징이 돼 버린 복잡한 전선과 통신선들이 이 집에서 저 집을 연결된다. [사진=오상민 작가]

■골목을 읽다 = 골목은 건물과 담장 사이의 좁은 길이다. 골목길에 접해 있는 건물에는 대문 또는 출입문이 보이고 초인종·우편함·주소판·명패가 붙어있다. 건물 벽면엔 가스계량기가 나란히 열을 맞추고 있다. 가스배관은 벽을 타고 올라가 건물 내부로 비집고 들어간다. 창문에는 방범창살이 가벼우면서도 날렵한 모습을 풍긴다. 살짝 열린 창문 사이론 집안의 텔레비전 소리가 새어나온다. 어느 집에서 식사 중인지 코끝이 시큼한 김치찌개 냄새가 골목에 진하게 퍼진다.

담장에는 동네 아이들의 낙서가 보이고, 종이 전단지가 담에 붙어 나뭇잎처럼 살랑살랑 나부낀다. 골목 곳곳에 이삿짐, 열쇠, 일수 광고물이 맥락 없이 붙어 있다. 낡은 전봇대는 살짝 기울어 있고, 그 위에 복잡하게 얽힌 전선 뭉치에서 나온 새까만 선은 이 집에서 저 집으로 또 그 옆집으로 연결된다. 

골목 한편에 거친 솜씨로 만든 화단은 푸르고, 그 속에서 얼굴을 든 빨갛고 노란 꽃은 골목에 생기를 더한다. 담장 위에서 하품하다 기지개 켜는 고양이, 사람이 지나가면 도둑이라도 본 것처럼 짖어대는 강아지, 그리고 그 속에 사람들은 무심한 표정으로 일상을 살아간다.

골목길에는 나부끼는 전단지, 소식을 전해주는 우체통 등이 보인다. 고양이들이 골목길 난간 위, 지붕 처마 위 등을 자유롭게 오간다. 차가 다니지 않는 골목길에서는 사람만이 아닌 고양이도 편히 다닌다. [사진=오상민 작가]
골목길에는 나부끼는 전단지, 소식을 전해주는 우체통 등이 보인다. 고양이들이 골목길 난간 위, 지붕 처마 위 등을 자유롭게 오간다. 차가 다니지 않는 골목길에서는 사람만이 아닌 고양이도 편히 다닌다. [사진=오상민 작가]

■사람의 길 = 우리가 이용하는 일반적인 길은 자동차를 위한 길이다. 자동차의 통행량을 기준으로 차로의 크기가 결정되고 그 옆에 보행로가 생긴다. 보행로는 안전한 것 같지만 그렇지 않다. 군데군데 연결된 차량 진입로와 횡단보도를 가로지르는 자동차는 보행자의 안전을 위협한다. 

일반적인 주거지인 이면도로는 보도와 차도의 구분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매우 위험한 도로임에도 특별한 안전대책은 없다. 부모님들이 습관적으로 하시는 “차 조심해라”는 말씀은 그런 일상에 노출된 자동차 사고를 근심하는 잔소리이자 실재하는 위험을 조심하라는 당부다. 차와 사람이 함께 다니는 길이 안전할 리 없다. 

반면 골목은 온전한 사람의 길이다. 폭이 좁아 차는 들어오지 못하고, 오토바이도 일 없이 골목으로 잘 다니지 않는다. 골목 속 모터 달린 차는 아이들의 RC카뿐이다. 아울러 골목길은 ‘통행길’이자, 주민의 삶이 담긴 ‘머무는 길’이기도 하다. 골목 어귀 적당한 곳에 이웃과 앉아 소소한 일상을 공유한다.

차량이 다닐 수 없는 좁은 골목길은 온전한 사람의 길이 된다. [사진=오상민 작가]
차량이 다닐 수 없는 좁은 골목길은 온전한 사람의 길이 된다. [사진=오상민 작가]

■골목의 공간감 = 좁은 골목 속 낮은 건물, 작은 녹색의 화단과 화분의 꽃, 그 위로 하늘이 보인다. 넓은 광장에 작은 화단과 꽃은 존재감 없는 ‘점’에 가깝지만 골목 속 그것들은 큰 존재감을 뿜어내며, 골목의 분위기를 바꿔 낸다. 골목은 작은 것이 커지는 공간이기도 하다.

공간이 크면 클수록 사람은 작아지고 개인은 소외된다. 공간이 작아질수록 사람이 커지고 개인은 관심을 받는다. 그래서 적당한 크기의 공간은 사람에게 안정감과 편안함을 준다. 혼자 걷는 길은 사람의 어깨를 기준으로 양손을 살짝 벌릴 정도면 충분히 여유롭다. 둘이 걷는 길은 맞은편 다가오는 사람이 지날 때 여유 있게 지나갈 수 있는 폭이면 무리 없다. 그런 면에서 골목길은 사람에게 적당한 폭이다.

생각해보면 자동차 길이 생기고, 사람들이 고층건물 속에 사는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100년 전까지만 해도 사람들은 대부분 좁은 도로, 낮은 집을 보며 살아왔다. 골목의 익숙함과 편안함, 안정감은 어쩌면 우리 몸속 DNA에 세대를 넘어 축적된 자연스러운 경험이지 않을까. <다음편에 계속> 

글 = 박용준 보통사람건축사사무소 대표건축사 
opa.lab.02064@gmail.com 

사진 = 오상민 천막사진관 작가
 studiotent@naver.com 

골목길에서 만난 화초. 내년 봄이 되면 다시 푸른 생기를 골목길에 불어넣어 줄 것이다. [사진=오상민 작가]
골목길에서 만난 화초. 내년 봄이 되면 다시 푸른 생기를 골목길에 불어넣어 줄 것이다. [사진=오상민 작가]

 

얼마나 많은 스티커가 붙었다가 떨어졌을까. 벽에서 옛 스티커들의 흔적을 본다. [사진=오상민 작가]
얼마나 많은 스티커가 붙었다가 떨어졌을까. 벽에서 옛 스티커들의 흔적을 본다. [사진=오상민 작가]
한쪽 벽에 가지런히 설치되어 있는 가스배관들. 골목처럼 각 집으로 난 길을 따라간다. [사진=오상민 작가]
한쪽 벽에 가지런히 설치되어 있는 가스배관들. 골목처럼 각 집으로 난 길을 따라간다. [사진=오상민 작가]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