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스쿠프’s Infographic
음담패설 쏟아낸 AI
국내법엔 AI 윤리 제재 없어

한국 AI 산업이 기술적·윤리적 문제로 몸살을 앓고 있다.[사진=더스쿠프 포토·게티이미지뱅크]
한국 AI 산업이 기술적·윤리적 문제로 몸살을 앓고 있다.[사진=더스쿠프 포토·게티이미지뱅크]

멀게만 느껴졌던 인공지능(AI) 산업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한국신용정보원의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198억 달러(21조7899억원)였던 세계 AI 시장 규모는 단 1년 만인 2019년 262억 달러(28조8331억원)로 무려 32.1% 커졌다. 보고서의 전망이 맞아떨어진다면 2025년엔 시장 규모가 1840억 달러(202조4920억원)에 이를 것이다.

기업들의 발걸음도 바쁘다. 대부분의 기업에서 AI 기술을 적극 응용하려는 움직임이 포착된다. AI가 실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판단에서다. 한국개발연구원(KDI)에 따르면 올 1월 현재 국내 기업 1000곳 중 AI 기술을 도입한 곳은 3.6%에 불과하지만 도입 기업 중 77.8%가 ‘AI 기술이 사업에 도움이 된다’는 긍정적인 답변을 내놨다. AI 기술을 도입한 이후 매출이 증가했다는 기업도 50%에 달했다. 글로벌 기업들이 AI 개발에 힘을 쏟는 이유다.

하지만 한국은 이 시장에서 엄연한 후발주자다. 한국정보화진흥원(NIA·2020년 10월 기준)에 따르면 세계 AI 시장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점유율은 4.9%에 머물러 있다. AI 시장의 패권을 쥐고 있는 미국(점유율 30.7%)의 10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이유는 뭘까. 업계 관계자들은 “국내의 AI 기술의 연구 수준이 선두국가들보다 뒤처져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한다.

NIA가 발표한 자료의 내용을 보자. “미국·중국 등이 AI의 자율적인 판단과 추론 등 원천기술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는 반면, 한국은 초기 AI 기술인 ‘언어이해’를 연구하는 비중이 세계 평균치보다 15.0%포인트 더 높다.” 한국의 AI 연구가 핵심이 아닌 변두리에 머물러 있다는 지적으로 풀이된다.

AI의 기반기술인 클라우드의 기술 수준도 마찬가지다. 한국의 클라우드 기술 수준은 세계 1위 미국을 100%라고 봤을 때 77.3%인 것으로 조사됐다(NIA). 유럽(87.0%)·일본(82.5%)·중국(82.2%) 등과 비교해 봐도 크게 뒤떨어진다. 문제는 이뿐만이 아니다. AI 상용화가 급물살을 타고 있지만 국내엔 여전히 법적 윤리기준이 모호하다. 최근 스타트업 스캐터랩이 선보인 AI 채팅 봇(bot) ‘이루다’의 사례는 이를 잘 보여준다.

‘이루다’는 실제 커플의 대화 내용 100억건을 학습해 스스로 대화할 수 있도록 설계됐는데, 인종차별·음담패설 등 논란의 소지가 될 만한 내용을 거르지 않고 학습한 게 문제가 됐다. 이런 상황에서 이용자들의 개인 정보가 일부 유출됐다는 논란마저 더해지자 스캐터랩은 출시 1주일 만에 이루다 서비스를 종료했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는 2020년 12월 3대 기본원칙과 10대 핵심요건을 담은 AI 윤리 가이드라인을 확립했지만 현장에 적용하기엔 지나치게 추상적이다”고 꼬집었다. 한국의 AI, 여전히 갈 길이 멀었다.

이혁기 더스쿠프 기자
lhk@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