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플랜트 산업의 허와 실

세계 에너지 수요가 상승함에 따라 해양에너지를 발굴•시추•생산하는 해양플랜트 시장이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조선업 강국인 우리나라는 해양플랜트 분야에서도 좋은 위치를 선점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기자재의 국산화율이 떨어져 실속 없는 장사를 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 해양플랜트가 조선업계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그러나 진정한 대안으로 자리 잡으려면 수많은 과제를 해결해야 한다.

조선업계는 전방위적 불황에 시달리고 있다. 글로벌 경제위기로 상선 주문이 줄었고, 기존 주문물량 또한 찾아가지 않아 애를 태운다. 이런 조선업계에 해양플랜트가 돌파구로 떠올랐다. 해양플랜트란 석유•가스 등 해양자원을 발굴•시추•생산하는 장비를 건조•설치•공급하는 산업을 총칭한다. 

해양플랜트가 주목받는 것은 유전 때문이다. 최근 생산되는 유전의 평균 수심은 갈수록 깊어지고 있다. 석유생산 평균 수심은 1990년대 400m에서 2000년대 1000m가 됐다. 2011년에는 2300m 이상으로 더 깊어졌다. 이런 상황은 해양자원을 발굴•시추•생산하는 장비산업인 해양플랜트의 수요를 키우고 있다. 해양플랜트 시장은 2030년 500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2010년 규모는 1400억 달러에 불과했다.

해양플랜트 중에서도 현대중공업•삼성중공업•대우조선해양 등 국내 업체가 강점을 갖고 있는 해상플랫폼 분야의 시장규모는 2010년 372억 달러에서 2020년 749억 달러로 2배 이상 커질 전망이다. 지식경제부의 ‘해양플랜트 발전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해양플랜트 해상플랫폼 수주량에서 국내 업체가 차지하는 비중은 70%에 달한다. 약 45%였던 지난해에 비해 크게 성장한 수치다.

하지만 안심할 상황은 아니다. 자세히 들여다보면 적지 않은 문제가 있다. 가장 큰 문제는 해양플랜트 관련 기자재의 국산화 비율이 떨어진다는 점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기본설계를 만들 때 사용할 만한 광구를 확보하지 못해 기자재 기술이 발전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름이 나지 않는 한국의 특성 때문이다.

업계에 따르면 국내 해양 플랜트 기자재의 국산화율은 20% 수준이다[The Scoop 창간호 참조]. 미국과 북유럽 업체들이 세계 해양플랜트 기자재 시장을 독점하고 있다. 따라서 수천억에서 수조원에 달하는 해양플랜트 사업수주권을 따내도 실제 우리 업체에 떨어지는 몫은 작을 수밖에 없다. 지식경제부 엔지니어링플랜트팀 관계자는 “기자재의 국산화율은 낮을지 몰라도 엔지니어링 능력까지 포함하면 40%까지 국산화가 가능하다”며 “석유공사•가스공사 등이 발주하는 플랜트에 국산기술로 만든 기자재를 적용해 국산화 비율을 높이려 노력 중이다”고 말했다.

 
상선수주의 부진을 해양플랜트로 만회하려는 노력이 계속되면서 조선사간 과당경쟁도 문제로 떠오른다. 경쟁심화에 따라 조선사의 수익성 회복이 늦어지기 때문이다. 박민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현재 해양플랜트 시장에서 조선사의 영업이익률은 과거 호황기의 10~15%에 비해 크게 미치는 못하는 5~10% 수준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정부에서 조선업계의 차기동력사업을 해양플랜트 위주로 재편하려는 움직임에 대해 중소 조선사들의 볼멘소리도 들린다. 해양플랜트의 경우 워낙 대형사업이라 대기업 외에는 손을 댈 수가 없다. 따라서 정부의 지원이 해양플랜트에 집중될 경우 ‘대기업 특혜’라는 해묵은 논란이 다시 불거질 수 있다.
유두진 기자 ydj123@thescoop.co.kr|@itvfm.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