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필수의 Clean Car Talk

최근 수입차의 판매량이 크게 늘어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가장 큰 이슈 중 하나는 승용디젤차다. 소비자는 우수한 연비(가솔린 대비 1.5배)에 환호를 보낸다. 진동이 크고, 소음이 많다는 기존 문제도 조금씩 줄여나가고 있다. 친환경적이기도 하다. 일생 동안 차량 교체가 4~5번밖에 되지 않고, 갈수록 비싸지는 신차를 구입해야 하는 소비자에게 디젤차가 인기를 끄는 이유다.

가솔린차는 여전히 전통적인 이점이 있다. 가솔린차는 소음과 진동이 작다. 안정된 시스템과 승차감을 중시하는 소비자에게 매력적이다. 특히 10년 내구성을 고민하면 심적으로 안정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택시 등에 사용되는 액화석유가스(LPG)차는 소비자가 선택할 수 있는 차종이 적지만 가솔린 대비 60%밖에 되지 않는 저렴한 연료비가 장점이다. 압축천연가스(CNG)차는 최근 대구 등에서 택시로 활용되면서 보급량이 늘고 있다. 우수한 연비가 돋보인다.

▲ 서울 도심을 달리고 있는 CNG버스. CNG차량은 버스를 기반으로 승용차로의 진출을 서두르고 있다.
주목할 점은 디젤차•가솔린차•LPG차 등 각 차종의 영역이 중복되고 있다는 것이다. 디젤차는 LPG차가 많은 택시영역에 뛰어들었다. CNG버스 영역에도 도전장을 내밀어 클린디젤버스 보급을 서두르고 있다.

LPG차는 좁아지는 영역을 고수하는 동시에 하고 소비자의 선택폭을 넓히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출고 후 5년 이상 된 중고 LPG차를 일반인에 판매할 수 있는 정책 등 다양한 확대 계획을 마련하고 있다. 버스가 기반인 CNG차는 승용차로의 진출을 서두르고 있다. 특히 에너지 단체를 찾아다니며 각종 세미나•정책토론회를 여는 등 물밑작업에 한창이다.

|각 차종의 영역이 중복되는 상황에서 정부가 신중하게 고려해야 할 점이 있다. 우선 에너지 사용량의 97%를 수입하는 우리나라는 어느 한쪽에 올인하면 부작용이 커질 수밖에 없다. 일방적인 차종 선택, 세금을 활용한 지원책 등을 동원하면 국민이 부담을 받는다. 또 차종개발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글로벌 자동차 트렌드를 따라가지 못하는 과오를 초래할 수 있다. 정부는 그래서 정확한 기준을 바탕으로 한 엄격한 시행으로 각 차종의 균형 있는 대결을 유도해야 한다. 이는 형평성 있는 기회로 이어질 것이다. 차기 정권이 생각해야 할 부분이다.

더불어 현재 시행되는 각종 자동차 관련 정책이 제대로 시행됐는지 확인하고, 장단점을 비교해 국민에게 알리는 것이 중요하다. ▲LPG 지원에 대한 정책은 제대로 시행됐고 문제는 없었는지 ▲디젤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과 현시점에 대한 장단점은 무엇인지 ▲버스 이후 승용차에 보급되기 시작한 CNG는 제대로 흘러가는지 등을 정확하게 따져야 한다는 얘기다.

이뿐만이 아니다. ▲알뜰주유소 보급이나 차량 연료 섞어 판매하기 등 지식경제부의 정책적 방법에 대한 효과 ▲2년 전 폭발한 CNG버스의 안전 문제, 그럼에도 진행되고 있는 승용차 보급 ▲CNG 개조 기술에 대한 해외 지원 ▲상대적으로 적은 디젤 차종 확대의 기회 ▲가솔린과 디젤은 수출하는 반면 수입되는 LPG ▲주저하는 LPG 차종의 확대 등 자동차 관련 이슈는 다양하고 많다.

차종이 다양해지면서 얽히고설킨 문제 또한 많아지고 있다. 차종의 장단점을 가리고 옥석을 제대로 솎아내야 국민에게 편익을 줄 수 있다. 국민에게 도움이 되는 자동차 정책을 펼쳐야 한다.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