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스쿠프’s Infographic
콘텐츠 편향됐단 지적 받자
요리·일상 등 카테고리 늘려

틱톡이 최근 콘텐츠 다양화를 목표로 시스템을 개편하고 있다.[사진=뉴시스]
틱톡이 최근 콘텐츠 다양화를 목표로 시스템을 개편하고 있다.[사진=뉴시스]

2016년 중국에서 ‘도우인(Douyin)’이란 이름의 동영상 플랫폼이 론칭했다. 15초 내외의 짧은 동영상을 공유하는 이 앱은 론칭 당시 ‘짝퉁’이란 손가락질을 받았다. 지금은 사라졌지만 당시 전성기를 누리던 앱 ‘바인(vine·6초짜리 영상만 공유 가능)’의 콘셉트를 그대로 베낀 것 아니냐는 논란에서였다.

더구나 원조인 바인조차 인스타그램 등 쟁쟁한 SNS와의 경쟁에서 버티지 못하고 밀려난 상태였다. 도우인도 같은 전철을 밟을 것이란 전망이 쏟아진 건 어쩌면 당연했다.

하지만 예상은 빗나갔다. 도우인은 10대 청소년들 사이에서 엄청난 인기를 끌었고, 1년 만에 중국에서 가장 ‘힙’한 SNS로 부상했다. 중국을 넘어 미국·유럽에서도 뜨거운 반응을 얻었다. 누군가는 벌써 이 SNS의 이름을 짐작했을 것이다. 그렇다. 지금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SNS로 발돋움한 ‘틱톡(tiktok)’ 이야기다.[※참고: 도우인은 글로벌 론칭 당시 브랜드명을 틱톡으로 변경했지만, 중국 내에선 여전히 도우인으로 서비스 중이다.]

틱톡이 성공할 수 있었던 비결은 MZ세대다. 17세 이상만 가입할 수 있었던 바인과 달리 틱톡은 사진보다 영상에 친숙한 MZ세대를 끌어모으는 데 집중했다. 틱톡이 동영상을 꾸미는 풍부한 영상 소스와 손쉬운 편집 기능을 제공했던 이유다. 그 덕분인지 2018년 당시 10대 틱톡 이용자 비중은 전체의 54.1%(시장조사기관 랭키닷컴)에 달했다.

강력한 파급력을 지닌 MZ세대 덕분에 틱톡은 지난해 세계 앱 다운로드 건수 1위를 차지하는 데 성공했다(시장조사업체 앱애니). 세계 이용자 수는 8억8917만명에 이른다. 그런데, 최근 틱톡을 향한 부정적인 견해가 또다시 늘고 있다. ‘뻔해졌다’는 게 비판점이다. 업계 관계자들은 그 이유로 틱톡의 콘텐츠가 노래·춤·유머 위주의 영상에만 편향돼 있다는 점을 꼽고 있다. 영상 길이가 15초에 불과하다는 점도 지금에 와선 한계란 지적을 받고 있다.

오비이락烏飛梨落인지 틱톡의 성장세도 둔화하고 있다. 올 상반기 틱톡 다운로드 건수는 3억8300만건(데이터 분석 업체 센서타워)으로, 전년 1분기(3억1500만건)와 비슷한 수준에 머물렀다.

틱톡도 이 문제를 인지하고 대처에 나선 듯하다. 지난해 10월 “15초짜리 영상만 올릴 수 있다”는 룰을 깨고 길이 제한을 3분으로 늘린 게 대표적이다. 다양한 주제의 영상을 담을 수 있도록 한 건데, 그 덕분인지 최근 틱톡에선 요리·일상 등 다양한 콘셉트의 영상이 주목을 받고 있다. 국내 틱톡 이용자가 올린 ‘소시지빵 만들기’ 영상이 조회수 9800만회를 기록하며 선풍적인 인기를 끌기도 했다.

주목할 점은 또 있다. 이용자를 보호하기 위해 ‘세이프티 페어링’이란 새 기술을 도입한 거다. 이는 부모가 자녀의 동의하에 자녀의 틱톡 내 활동 반경을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잘 정착한다면 틱톡이 “10대에게 유해한 앱”이란 혹평을 털어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10대의 전유물’에서 ‘국민앱’이 되기 위해 혁신의 채찍질을 다시 시작한 틱톡은 세간의 폄훼를 씻어낼 수 있을까. 아직은 현재진행형이다.

이혁기 더스쿠프 기자
lhk@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