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스쿠프 세꼭지 뉴스
민생 안정·물가 관리 난제 숱한 정부
4월 생산·소비·투자 ‘트리플 감소’
부동산세 완화 대책 효과 있을까

정부가 역대 가장 많은 62조원 규모의 추경을 편성했다.[사진=뉴시스]
정부가 역대 가장 많은 62조원 규모의 추경을 편성했다.[사진=뉴시스]

추경과 고물가 
두 마리 토끼 


윤석열 정부가 역대 가장 많은 62조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했다. 코로나19 국면에서 자영업자가 입은 손실을 보상하기 위해서다. 하지만 한편에선 물가 상승을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이를 의식한 듯 정부도 생활 · 밥상물가 안정을 위한 대책을 동시에 내놨지만,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정부는 지난 5월 30일 ‘긴급 민생안정 10대 프로젝트’를 발표했는데, 이 대책의 핵심은 최근 들어 가격이 가파르게 상승한 식용유 · 돼지고기 · 밀 등 식품원료 7종의 할당관세를 연말까지 0%로 낮추는 거다. 할당관세를 낮춰 수입 가격이 급등한 물품의 국내 가격을 떨어뜨리겠다는 거다.[※참고: 할당관세는 일정 기간 수입품 일정량의 관세율을 일시적으로 조정하는 제도다.]

정부는 이같은 민생 대책을 통해 2~3개월 후 물가를 0.1%포인트 떨어뜨릴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윤인대 기획재정부 경제정책국장은 “아무런 조치가 없을 때 물가상승률이 전년 동월 대비 4.8%라고 가정한다면, (민생 대책을 통해) 8~9월쯤 이 수치가 4.7%로 낮아진다는 얘기”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정부의 물가 안정 대책이 가져올 효과보다 62조원 규모의 추경 편성에 따른 물가 상승 위험이 더 클 것이란 비관론도 적지 않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5월 26일 경제전망을 발표하면서 “정부의 이번 추경이 물가를 0.1%포인트 상승시킬 것”이라고 관측했다. 

이보다 앞선 지난 5월 18일 한국개발연구원(KDI)은 60조원에 가까운 추경이 편성될 경우 물가를 0.16%포인트 끌어올릴 것으로 추정했다. 이 경우 정부가 내놓은 민생 대책은 수포로 돌아갈 가능성이 높다.

문제는 글로벌 공급망 불안과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물가 상승 압력이 지금보다 더 커질 수 있다는 점이다. 민생 안정과 물가 관리가 시급한 과제로 떠오른 지금, 정부는 과연 두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을까.


윤정희 더스쿠프 기자
heartbring@thescoop.co.kr 

“경기 회복 주춤”
트리플 감소의 덫


4월 생산 · 소비 · 투자가 모두 감소했다. 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확산한 2020년 2월 이후 26개월 만의 ‘트리플 감소’다. 

한국 경제가 침체기에 들어섰다는 우려가 나온다.[사진=뉴시스]
한국 경제가 침체기에 들어섰다는 우려가 나온다.[사진=뉴시스]

통계청의 ‘4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4월 전산업 생산(계절조정 · 농림어업 제외)은 전월보다 0.7% 줄었다.  광공업 생산은 3.3% 감소했다. 주력 산업인 반도체(-3.5%)와 식료품(-5.4%) 등의 부진이 컸다.

제조업 생산도 3.1% 줄었다. 제조업 평균 가동률은 77.0%로 전월보다 1.3%포인트 감소했다. 반면 서비스업 생산은 1.4% 증가했다. 사적모임 · 영업시간을 비롯한 영업제한 해제로 숙박 · 음식점(11.5%) 등의 생산이 크게 늘어서다.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는 전월보다 0.2% 감소했다. 승용차를 포함한 내구재(0.4%)와 의복 · 신발 · 가방 등 준내구재(7.7%) 판매는 늘었지만, 의약품 · 화장품 · 음식료품으로 대표되는 비내구재(-3.4%) 판매가 줄어서다. 설비투자는 7.5% 감소했다. 공사실적을 나타내는 건설기성은 1.4% 증가했지만, 건설 수주는 6.6% 감소했다. 

이같은 4월 산업활동동향을 종합해보면, 경기 회복 흐름이 다소 주춤하는 모양새다. 이 때문인지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0.3포인트 하락했고, 향후 경기를 예고하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도 0.3포인트 떨어졌다. 


김정덕 더스쿠프 기자 
juckys@thescoop.co.kr

다주택자 족쇄
풀면 안정될까


새 정부의 ‘부동산세’ 완화를 위한 움직임이 시작됐다. 국토교통부는 올해 ‘공시가격 현실화 재검토’를 위한 연구 용역을 마치고 2023년부터 공시가 현실화 속도를 조절한다.

정부가 10대 민생안정 프로젝트를 발표했다.[사진=뉴시스]
정부가 10대 민생안정 프로젝트를 발표했다.[사진=뉴시스]

계획대로 추진된다면 1주택자의 재산세 부담은 늘지 않고 다주택자의 세금 부담은 완화된다. 정부는 지방세특례제한법을 개정해 2022년 대신 2021년 공시가격을 적용한다. 조세특례제한법 및 종부세법 시행령도 개정해 100%인 공정시장가액비율도 인하한다. 

지방세법 시행령이 개정되면 5월 10일을 기점으로 일시적으로 2주택을 보유한 다주택자는 2년간 취득세 중과배제를 받을 수 있다. 소득세법 시행령까지 개정되면 20~ 30%포인트씩 더해졌던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분도 사라진다. 

하지만 ‘부동산세 완화’가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알 수 없다. 무엇보다 부동산세 완화의 혜택을 받는 집단이 제한적이다.

통계청 주택소유통계(2020년)에 따르면 국내 유주택자 중 주택 2채를 소유한 개인은 전체의 12.5%, 3주택자는 2.0%에 불과하다. 이런 완화가 부동산 시장을 다시 들끓게 만드는 변수로 작용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최아름 더스쿠프 기자 
eggpuma@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