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ver 파트4] 조선시대에서 배울 만한 관리임용법

▲ 조선시대의 관리임용 절차는 무척 까다롭게 이뤄졌다.
누가 인사검증절차가 까다롭다고 했는가. 고위 공직자로 내정된 사람을 낙마시킬 정도로 우리는 검증에 철저한가. 아니다. 조선은 왕이 낙점해도 관료를 임명할 수 없었다. 사헌부·사간원(대간)의 검증절차를 따라야 했다. 더구나 대간은 관료 후보자는 물론 조상의 흠결까지 샅샅이 훑었다.

때는 1478년(성종 9년). 새해 벽두부터 흙비가 매섭게 내렸다. 흙비는 요즘 말로 황사를 의미한다. 때 아닌 지진도 일어나 조선의 작은 땅이 온통 뒤흔들렸다. 이제 막 왕위에 오른 성종의 고민은 깊어만 갔다. “내가 국정운영을 잘못해서 그런 것이다.”

조선시대 사람들은 천재지변 등 기이한 현상이 발생하는 까닭을 국왕과 관료의 무능에서 찾았다. 이 때문에 국왕은 천재지변을 없애기 위해 음식 수를 줄이고 몸가짐을 단정히 했다고 한다. 성종이 자신의 무능을 자책하고 있을 무렵. 도승지(비서실장) 임사홍이 이상한 주장을 늘어놨다. “시절의 운수가 마침 그런 것이기 때문에 국왕이 재이災異를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임사홍이 시대를 뛰어넘는 ‘과학적 지식’을 갖고 있었던 것은 아니다. 그는 성종 시대의 권력층 ‘훈구파’의 일원이었다. 천재지변의 불똥이 자신들에게 튈까 전전긍긍하다 성종에게 ‘거짓부렁’을 전한 것이었다. 하지만 임사홍은 이 ‘거짓말 보고’ 이후 수많은 사대부의 표적이 됐다. ‘화’를 피할 요량으로 사대부의 덕목인 명예를 버렸다는 게 이유였다. 조선시대 관리들이 가장 무서워한 것은 파직도, 죽음도 아니었다. 강직함과 명예였다. 국왕에게 진언하지 못한 관리들은 종종 ‘폄론(貶論: 남을 깎아내려 헐뜯음)’을 당했는데, 임사홍의 사례가 대표적이다.
흔히 조선시대에는 능력 없는 인사가 많았을 것으로 생각한다. 오해이자 편견이다. 조선은 유교의 나라였다. 지나칠 정도로 명예를 중시한 탓에 부정한 방법으로 관리에 임용되는 것을 용납하지 않았다. 조선은 ‘깜도 안 되는’ 인사들이 활개를 칠 수 있는 그런 나라가 아니었다.
 
철저한 검증 통한 인사 발탁

실제 조선시대의 관리임용 절차는 무척 까다로웠다. 관리 후보에 대한 인물 검증도 철저하게 이뤄졌다. 능력 없는 인사가 발을 붙일 틈이 없을 정도였다. 이조吏曹와 병조兵曹는 도목정(都目政·정기인사)이나 공석이 생겼을 때 해당 관직의 적임자를 추천했다.

대개 후보자 3명을 왕에게 보고했는데, 이를 ‘삼망三望’이라고 한다. 국왕은 후보 3명 중 한 명의 이름에 점을 찍어 적임자를 결정했다. ‘낙점落點’이라는 단어의 근원이다. 하지만 낙점이 곧 ‘합격’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사헌부, 사간원 등 대간은 국왕이 낙점한 후보를 꼼꼼하게 검증했다. 본인은 물론 조상의 흠결까지 샅샅이 훑었다고 한다. 지금으로 따지면 ‘연좌제’에 해당하는 것인데, 예비 관료에 대한 검증을 얼마만큼 세밀하게 실시했는지 엿볼 수 있는 사례다.

이런 검증 과정에서 문제점이 발견되면 제 아무리 국왕이 낙점한 후보라도 관직에 나갈 수 없었다. 이는 왕의 자의적 권력 행사를 견제함과 동시에 실무자들의 정실인사를 방지하는 제도적 장치로 보인다.
이기현 기자 lkh@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