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ver 파트3] 착한기업 ‘지속가능경영’ 가능한 이유

▲ 경기 불황기 소비가 줄고 있지만 착한 기업의 제품에 대한 과심은 줄어들지 않았다.

불확실성. 기업의 가장 무서운 적이다. 모든 게 불확실하면 전략을 세우기도, 플랜을 마련하기도 어려워서다. 특히 소비재 기업에게 ‘불확실성’은 치명적이다. 소비자의 행보를 예측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런데 소비자의 신뢰를 무기로 불확실성을 제거하는 기업이 있다. ‘착한 기업’들이다.

벌써 5년이 흘렀다. 글로벌 시장을 충격에 빠뜨린 ‘리먼 사태’가 터진지 말이다. 하지만 3년 안에 끝날 줄 알았던 경기침체는 여전하다. 지갑이 얇아진 직장인은 ‘임금인상’의 꿈을 접은 지 오래다. 일부 직장인은 ‘구조조정 회오리’를 피한 만으로도 안도의 한숨을 쉰다. 그렇다고 속이 편한 건 아니다. 소득은 그대로인데 물가가 천정부지로 치솟아서다. 민간소비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면치 못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1분기 국민소득(잠정)’에 따르면 올 1분기 민간소비는 마이너스 0.4%로, 2009년 1분기 이후 가장 부진했다. 이런 상황은 소비재 기업을 궁지로 내몬다. 소비자가 소비를 줄이면 실적에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어서다. 특히 식품업체가 그렇다. 지갑이 얇아진 소비자는 당장 식품소비부터 줄인다. 일부 식품기업이 경기만 침체되면 제품가격을 올리는 까닭이다. 가격이라도 올려서 실적을 맞추겠다는 심산이다. 하지만 이 전략은 득보단 실이 많다. 경기침체기 때 가격을 은근슬쩍 올리면 자신들 배만 불리려 한다는 비판을 받기 십상이다. 실제로 올 2월 정권교체기 때 소비자 가격을 올린 기업의 뒤엔 ‘나쁜 기업’이라는 꼬리표가 달렸다.

하지만 가격을 올려도 괜찮은 기업이 있다. 사회적 재투자에 열심인 ‘착한 기업’이다. 착한 기업의 반열에 오르면 가격을 올려도 소비자가 발길을 끊지 않는다. 자신들이 지불한 금액이 ‘경제 생태계’를 가꾸는데 쓰인다는 걸 잘 알고 있어서다. 이는 ‘착한 기업’을 띄우는 말이 아니다. 통계가 밑바탕에 깔려 있는 분석이다.

유리한 고지 점령한 착한 기업

The Scoop가 청년창업가 100명에게 ‘착한 기업의 제품을 사겠는가’라고 물어본 결과, 응답자의 79%가 긍정적인 입장을 나타냈다. 흥미로운 점은 ‘착한 소비재 기업이 가격을 올려도 제품을 사겠다’는 응답률이 절반을 넘는 57%에 달했다는 것이다. 부정적인 입장을 밝힌 응답자는 14%에 불과했다.

기업에게 가장 무서운 적은 불확실성이다. 모든 게 불확실한 상황에선 미래를 예측하기 어렵다. 오죽하면 불확실성 제거를 잘하는 기업을 ‘훌륭하다’고 칭송할 정도다. 이런 맥락에서 이번 설문조사 결과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착한 기업일수록 경기·가격의 영향을 덜 받아 지속가능경영의 초석을 놓기 유리하다는 걸 잘 보여주고 있어서다.

한국경제가 저성장 국면에 빠졌다. 경제성장률은 계속 떨어지고 있다. 글로벌 경기침제의 영향으로 수출은 부진하고 내수는 꽁꽁 얼어 붙었기 때문이다. 기업의 최대 관심사는 지속가능한 성장이다. 소비자는 어떻게 하면 소비를 줄일지를 고민한다. 이 때문에 소비자의 선택을 받으려는 기업들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 질 것이다. 착한 기업으로선 이런 상황이 불리하지 않다. 소비자의 낙점을 이미 받았기 때문이다.
강서구 기자 ksg@thescoop.co.kr | @ksg0620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