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뉴스Q

기사검색

주요메뉴

본문영역

청년농업인 1만명 육성 플랜

청년 농업가여! 기회 함께 갈자

2018. 06. 25 by 김다린 기자

10.5%, 올해 5월 청년실업률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취업이 어려워 먹고살기 힘들다는 청년들의 하소연은 계속됐다. 그런데 한편에선 일할 사람이 없다고 아우성이다. 바로 농촌이다. 정부가 청년농업인 육성에 팔을 걷어붙인 이유다.

정부가 청년농업인 육성에 본격 나섰다.[사진=뉴시스]
정부가 청년농업인 육성에 본격 나섰다.[사진=뉴시스]

정부가 청년농업인 육성에 본격 나선다. 목표는 ‘2022년까지 청년농업인 1만명 육성’이다. 지난해 12월 새롭게 개편한 ‘후계농업경영인육성제도’를 적극 활용할 방침이다.

농림축산식품부와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은 지난 18일 ‘2018년 후계농업경영인 역량강화교육 운영기관 공모’에 따른 기관 선정을 마무리했다. 이로 인해 후계농업경영인 총 2200명이 교육을 받을 수 있게 됐다. 기존 제도는 수혜 대상을 50세 미만, 영농경력 10년 이하의 후계농업인 1000명으로 한정했다. 하지만 개편된 제도는 40세 미만, 영농경력 3년 이하의 청년농업인 1200명을 포함하면서 교육 대상을 대폭 넓혔다.

교육기관 역시 전문성을 중점에 두고 심혈을 기울여 선정했다. 농식품부는 기관 역량, 교육 내용, 교육 운영, 사후관리 현장적용 및 기대효과 등 항목을 정하고 내부 서면심사와 전문가 발표심사 등 단계별 선정 심사를 통해 객관성과 공정성을 확보했다. 또한 선정심사위원회를 통해 평균 점수가 85점 이상인 기관만 적격 기관으로 선정했다. 이렇게 ‘한국농업아카데미(경기ㆍ강원ㆍ충남 지역)’ ‘한국정책미디어(충북ㆍ전북ㆍ전남 지역)’ ‘국제그린컴퍼니(경북ㆍ경남ㆍ제주 지역)’ 등이 교육기관으로 꼽혔다.

이들은 ▲미래 농업 트렌드 ▲노무관리 ▲영농 사업계획 수립 ▲농업재무회계 이해 ▲농업 경영장부 활용 ▲농업 마케팅 이해 등을 8월 31일까지 전담하게 된다. 단계별 맞춤형 교육 과정을 설계한 점도 눈에 띈다. 필수 교육 과정은 청년창업농과 3년 이하 일반후계농, 3년 초과 일반후계농 등 4개안을 마련했다. 또한 교육 일정과 인원, 교육 과정을 미리 공지해 농업인들의 선택적 참여를 끌어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올해는 객관적인 심사평가 지표와 선정평가회의를 열고 전문성을 갖춘 기관 선정을 위해 서류심사뿐만 아니라 프레젠테이션 발표와 질의응답을 통해 선정에 공을 들였다”며 “9개 권역을 나눈 것 역시 수요자의 교육 참여기회 확대와 접근성 제고의 측면”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청년농업인과 후계농업경영인에게 영농창업에 필요한 맞춤형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 제공함으로써 선도농업인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정부가 청년농업인 육성에 심혈을 기울이는 이유는 간단하다. 농촌 지역의 고령화 현상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어서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2015년 기준 청년농가는 1만4366가구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 농가 108만8500가구의 1.3%에 해당하는 것이다. 청년농가 수는 2000년 14만6512가구에서 10%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후계농업경영인 역량강화교육기관으로 선정된 김철호 한국정책미디어 교육담당은 “올해 충북ㆍ광주ㆍ전남, 전북 3개 권역 815명의 교육생을 담당하는 기관에 선정된 만큼 후계농 교육에 차질이 없도록 철저히 준비하고 있다”면서 “기존 귀농ㆍ귀촌 교육을 필두로 다양한 교육 경험이 있는 만큼 실질적으로 농촌사회 정착에 도움이 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김다린 더스쿠프 기자 quill@thescoop.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