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도 말하지 않는 공공예식장의 일그러진 현주소 [視리즈] 

더스쿠프 커버스토리 視리즈  公共예식장 空空예식장 민낯 Prologue 미완의 이야기 ‘값싼’ 공공예식장 왜 안 찾나 ‘텅 빈’ 공간 대관하는 예식장 식사‧주차 불편한 곳 적지 않아 공공예식장 제 역할 찾으려면

2024-11-05     이윤찬 기자
공공예식장은 웨딩플레이션을 해소할 수 있는 대안적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러스트 | 게티이미지뱅크]

☞ 공공예식장 : 예비부부의 부담스러운 결혼 비용을 덜어주기 위해 국립시설·공공기관·지자체 등이 운영하는 예식장.  평균 대관료 11만2000원,  대관료 0원 예식장 43.6%(58곳). 

# 공공예식장의 장점은 가성비다. 평균 대관료는 11만2000원에 불과하다. 대관료가 0원인 곳은 전체의 40%가 넘는다. [※ 참고: 공공예식장 139곳 중 자체 운영하는 4곳, 운영중단한 2곳 제외, 더스쿠프 전수조사.] 

이를 긍정적으로 해석했는지, 윤석열 정부는 올해 공공예식장을 48곳이나 새로 지정해 139곳으로 늘렸다. 정부의 계산대로라면 웨딩플레이션(Weddingflation)에 시달리는 예비부부들이 ‘즐거운 비명’을 지르면서 공공예식장으로 몰려들었어야 마땅하다. 

# 과연 그랬을까. 아니다. 공공예식장에서 열린 결혼식 건수(2023년 기준)는 평균 2.7건에 그쳤다. 대관료가 0원인데 한건의 결혼식도 열리지 않은 공공예식장은 32.5%나 됐다. 이유는 간단하다. 대강당이나 대회의실을 꾸미지도 않은 채 덜렁 대관만 해주는 곳이 숱하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식사할 곳이 적당한 것도, 주차 공간이 넉넉한 것도 아니다. 

# 이 지점에선 몇가지 의문이 떠오른다. 정부는 무얼 근거로 올해 공공예식장을 48곳이나 늘렸을까. 현황을 냉정하게 탐구하는 절차를 거친 후 정책적 결정을 내린 걸까. 공공예식장에서 창출할 수 있는 경제 효과는 따져봤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그렇지 않다’. 정부는 공공예식장의 공허한 실적과 맹점을 분석하지 않은 채 48개소를 신규로 추가했다. 내실을 다지긴커녕 숫자 늘리기에만 급급했다는 거다. 전형적인 전시展示 행정이다.

# 더 심각한 건 공공예식장의 ‘불투명한 미래’다. 국립시설‧공공기관‧지자체가 운영하는 공공예식장은 콘트롤타워가 사실상 없다. 2012년 ‘작은 결혼식’을 활성화하겠다면서 공공예식장을 앞세웠던 여성가족부는 2019년 소리소문없이 발을 뺐다.

그러던 올해 3월 느닷없이 기획재정부와 행정안전부가 공공예식장 사업을 재개했지만 ‘주무부처가 어디인지’는 그들조차 모른다. 정부 관계자는 “공공예식장의 주무부처가 어디라고 말하기엔 애매하다”고 털어놨다. 

[사진 | 뉴시스]

# 예비부부의 결혼 비용을 덜어줄 수 있는 공공예식장은 왜 방향을 잃은 걸까. 우린 지금 무엇을 얘기해야 할까. 더스쿠프가 視리즈 ‘公共예식장 空空예식장’을 통해 아무도 말하지 않는 공공예식장의 일그러진 현주소를 짚어봤다.

공공예식장의 초라한 실적과 그 이유, 웨딩플레이션의 불편한 민낯, 거품 뺀 공공웨딩비용도 종합적으로 분석했다. 아울러 웨딩플레이션을 해소할 수 있는 공공예식장의 대안적 역할도 모색했다. 公共예식장 空空예식장, 그 첫장을 연다. 

[특별 취재팀] 

이윤찬 더스쿠프 편집장 
chan4877@thescoop.co.kr

이지원·홍승주 더스쿠프 기자 
jwle11@thescoop.co.kr

김정덕·최아름 더스쿠프 기자 
juckys@thescoop.co.kr

강서구·이혁기 더스쿠프 기자 
ksg@thescoop.co.kr

※ 본 기획물은 정부광고 수수료로 조성된 언론진흥기금의 지원을 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