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서 AI는? 아이폰17 공개 후 애플 주가 빠진 이유 [Global]
더스쿠프 글로벌 브리핑 드디어 공개된 아이폰17 전체적인 스펙은 예상대로 AI와 관련해선 애플 침묵해 신제품 공개에도 주가 ‘휘청’
애플이 새로운 아이폰 ‘아이폰17’을 대중에게 공개했다. 애플은 지난 9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주州 쿠퍼티노에 있는 애플파크에서 행사를 열고 아이폰17을 비롯해 에어팟 프로3(무선 이어폰), 애플워치(스마트워치) 등 신제품들을 선보였다.
아이폰17 라인업 중 가장 많은 관심을 받은 건 얇은 두께를 강조한 ‘아이폰 에어’다. 5.6㎜ 두께와 165g의 가벼운 무게를 자랑하는 이 제품엔 항공우주 장비에 쓰이는 5등급 티타늄 프레임을 적용했다. 디스플레이엔 16.6㎝ 길이의 슈퍼 레티나 XDR를 탑재했다. 이는 극단적인 명암비를 지원하는 디스플레이로 HDR(고명암 대비) 콘텐츠를 감상하기에 적합하다.
카메라에도 큰 변화를 줬다. 후면에는 4800만 화소의 카메라 1개만 탑재했는데, 애플은 “이것만으로도 렌즈 4개를 넣은 것과 동일한 수준의 효과를 낸다”고 설명했다. 전면 카메라에는 최초로 스퀘어 전면 카메라 센서를 탑재했다. 이를 통해 좀 더 넓은 시야각을 확보하는 게 가능해졌다. 최대 1800만 화소로 촬영할 수도 있다.
이밖에 ‘아이폰17 에어’가 아닌 ‘아이폰 에어’란 독립적인 명칭을 사용한 것도 눈여겨볼 만한 부분이다. 이는 아이폰 에어를 단순한 후속 모델과 차별화한 새로운 제품군으로 자리 잡게 하려는 애플의 노림수로 풀이된다.
기본 모델인 아이폰17은 후면 카메라에 처음으로 4800만 화소 렌즈를 탑재했다. 전면 카메라는 아이폰 에어와 마찬가지로 최대 1800만 화소를 지원한다. 디스플레이는 15.9㎝ 크기고 화면을 둘러싼 베젤은 전작보다 더 얇아졌다.
고가 모델인 아이폰17 프로는 전작과 동일하게 애플 제품 중 가장 얇은 베젤(화면을 둘러싼 테두리 부분)과 넓은 디스플레이를 강점으로 내세웠다. 디스플레이 크기는 아이폰17 프로 15.9㎝, 최고가 모델인 아이폰17 프로 맥스는 17.4㎝다.
또 역대 최고의 카메라 시스템을 탑재해 카메라 부피가 대폭 커졌다. 가격은 기본 모델 기준으로 아이폰17 129만원, 아이폰 에어 159만원, 프로 179만원, 프로 맥스 199만원으로 책정했다.
전체적인 아이폰17의 성능은 기대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출시 전부터 외관은 물론 주요 스펙이 IT전문 매체나 팁스터(정보유출자) 등의 경로로 유출됐기 때문이다. 문제는 인공지능(AI) 부문이다.
최근 스마트폰 업계에서 AI 서비스가 중요한 스펙으로 자리 잡았음에도 애플은 이번 행사에서 AI 신기능을 소개하지 않았다. 무선 이어폰 에어팟 프로3가 AI 기반의 ‘실시간 통역’을 지원할 것이라고 밝힌 게 전부였다.
그래서인지 신제품 공개 후 애플 주가는 하락세를 탔다. 9일 237.88달러에서 11일 226.79달러로 이틀 동안 4.6%가 빠졌다. 미국의 투자 펀드 브랜드 ‘가벨리펀드’의 류타 마키노는 10일 인베스터스비즈니스데일리와의 인터뷰에서 “애플이 AI나 시리(아이폰 AI 비서)를 언급하지 않은 것은 실망스럽지만 예상된 일이었다”면서 “애플은 AI 전략에 있어 반드시 근본적인 변화를 이뤄야 한다고 본다”고 지적했다.
이혁기 더스쿠프 기자
lhk@thescoop.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