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직업 10개 중 3.5개” 정부가 만들고 정부가 외면하다

더스쿠프 커버스토리 視리즈 新직업 미래 보고서 7편 121개 신직업 분석 上 기술ㆍ과학과 문화ㆍ미디어 중심 정부 육성ㆍ지원 64.5%에 그쳐 자격증 체계 갖춘 신직업 77.7% 검색량 100건 이상 고작 14.0%

2025-09-25     김정덕 기자

세계 각국은 미래 시대에 대비해 신직업을 발굴ㆍ육성한다. 누군가는 ‘국가 주도 경제’라면서 비판할지 모르지만, 미국도, 일본도 ‘신직업 발굴’에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2014년부터 ‘신직업’을 발굴해 등재작업을 하고 있고, 그렇게 발굴한 신직업은 121개에 달한다. 문제는 그중 35.5%(43개) 신직업은 정부의 아무런 지원도 받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新직업 미래 보고서 그 7편에선 이 이야기를 해봤다. 

신직업은 AIㆍ개발ㆍ데이터 분야와 미디어ㆍ문화ㆍ스포츠 분야에 좀 더 많았다.[사진|뉴시스]

어떤 정책이든 개선하기 위해선 분석과 평가가 필수다. 그래야 오류를 줄이고,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정부의 신직업 발굴ㆍ지원 정책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新직업 미래 보고서 5편 ‘2004~2014년 신직업 양적 탐구’에서 언급했듯 신직업 정책을 둘러싼 분석이나 평가가 부족하다.

더스쿠프가 한국고용정보원이 2014년부터 2021년까지 발굴해서 발표한 121개 신직업을 양적으로 분석해본 건 이런 이유에서다. 우선 121개 신직업의 객관적 통계부터 살펴보자. 

■ 분석① 업종별 분류 = 우선 121개의 신직업을 고용노동부가 제시한 9개의 신직업 체계(대분류)에 따라 분류해 본 결과, 정보통신ㆍ과학 분야가 20개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건축ㆍ환경ㆍ안전(19개), 경영ㆍ사무ㆍ금융(17개), 문화ㆍ예술ㆍ미디어(16개), 농림어업(13개), 의료ㆍ보건(13개), 교육ㆍ법률ㆍ사회복지(12개), 개인서비스(10개), 운송ㆍ설치ㆍ정비(1개) 순이었다.

[※참고: 이중에는 고용노동부의 신직업 분류에 해당하지 않는 신직업이 있었는데, 그럴 땐 최대한 비슷한 분야에 포함했다. 2개 분야에 중복으로 속한 경우엔 좀 더 연관성이 있는 분야로 분류했다.]

이번엔 잡코리아가 제시하는 21개 직무 분류 체계(소분류)로 나눠보자. 인공지능(AI)ㆍ개발ㆍ데이터(15개)와 미디어ㆍ문화ㆍ스포츠(15개) 분야가 가장 많았다. 그다음은 고객서비스ㆍ리테일(14개), 건축ㆍ시설(13개), 의료ㆍ바이오(13개), 교육(11개), 공공ㆍ복지(10개), 기획ㆍ전략(10개), 법무ㆍ사무ㆍ총무(9개) 순이었다. 금융ㆍ보험(3개), 엔지니어링ㆍ설계(3개), 인사ㆍHR(2개), 고객상담ㆍTM(1개), 마케팅ㆍ광고ㆍMD(1개), 제조ㆍ생산(1개) 분야는 비교적 적었다. 

종합하면, 2014~2021년 발굴한 신직업은 미래 신기술ㆍ문화 분야를 중심에 두되, 공공ㆍ서비스ㆍ하드웨어 분야까지 망라하고 있다. 정부의 산업 육성 방향성, 다양한 분야에서 신직업을 발굴하려 노력한 흔적이 엿보인다.

■ 분석② 정부 육성ㆍ지원 여부 = 각 신직업이 시장과 산업을 만들고, 일자리를 창출하려면 정부의 육성ㆍ지원이 필요하다. 하지만 정부가 육성ㆍ지원 정책을 적용한 신직업은 121개 중 78개로, 64.5%에 그쳤다. 43개(35.5%) 신직업에선 아무런 정책적 육성ㆍ지원도 이뤄지지 않았다. 

정부가 신직업을 발굴하고 정작 정부가 외면했다는 건데, 미래차정비기술자, 어촌정착상담사, 가정에코컨설턴트, 스마트건설전문가, 핀테크전문가 등이 대표적이다. 

그렇다면 정부의 도움을 받은 78개 신직업은 어떤 것들일까. 대부분(잡코리아 소분류 기준)은 미디어ㆍ문화ㆍ스포츠(12개), 의료ㆍ바이오(10개), AIㆍ개발ㆍ데이터(9개), 공공ㆍ복지(8개), 고객서비스ㆍ리테일(8개) 분야에 속했다. 

■ 분석③ 자격증 유무 = 신직업들이 그에 걸맞은 자격증 체계를 갖추고 있는지도 살펴봤다. 121개 신직업 중 94개(77.7%ㆍ국가 26개ㆍ민간 68개)는 자격증이 있었지만, 27개(22.3%)는 자격증이 없었다. 2004~2014년 양적 탐구에서도 언급했듯 자격증은 해당 직업에 도전하는 데 ‘진입장벽’이 될 수 있지만, 직업에 신뢰성을 주는 장점도 있다. 

이런 맥락에서 20%가 넘는 신직업이 ‘자격증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점은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참고: 신직업의 명칭과 자격증의 명칭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4개)도 있었는데, 실제 업무 내용이 비슷하면 자격증이 있는 것으로 간주했다. 2026년에 자격증 체계가 도입될 예정인 경우도 자격증이 있는 것으로 봤다.]

■ 분석④ 신직업 관심도 = 그렇다면 신직업의 관심도는 어떨까. 더스쿠프는 포털사이트 네이버에서 검색일 기준 최근 30일간(7월 14~8월 14일) 121개의 신직업이 얼마나 검색됐는지 살펴봤다. 통계는 컴퓨터(PC)와 모바일을 합산했다. 

결과는 기대치를 크게 밑돌았다. 121개 신직업 중 검색량이 100건을 넘는 신직업은 17개(14.0%)뿐이었다. ‘1000건 이상’으로 분류하면 6개, ‘1만건 이상’으로 분류하면 1개에 불과했다. 검색량이 10~90건인 신직업도 36건(29.8%)밖에 되지 않았다. 

나머지 68개(56.2%)는 검색량이 0건이었다.[※참고: 新직업 미래 보고서 4편에서 2004~2014년 사이 탄생한 신직업 중 성공적인 사례로 언급한 바리스타의 검색량은 1만2080건, 반려동물행동지도사의 검색량은 4200건이었다.] 

통계를 좀 더 구체적으로 해부해보자. 검색량이 100건을 넘는 신직업 17개 중 12개는 정부가 지원을 했던 신직업이었고, 5개는 정부가 지원하지 않은 신직업이었다. 자격증이 없는 신직업은 1개에 불과했고, 나머지 16개(국가 7개, 민간 9개)는 모두 자격증이 있었다. 

검색량이 0건인 신직업 68개 중 41개는 정부가 지원한 신직업, 27개는 지원하지 않은 신직업이었다. 34개는 민간자격증, 13개는 국가자격증이 있는 신직업이었다. 자격증이 없는 신직업은 21개였다. 

자, 그럼 이 통계들로 어떤 해석을 해볼 수 있을까. 이 이야기는 ‘121개 신직업 분석 下’ 편에서 이어나가 보자. 

김정덕 더스쿠프 기자
juckys@thescoop.co.kr

※ 본 기획물은 정부광고 수수료로 조성된 언론진흥기금의 지원을 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