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군사 개입 의지 내비친 바이든
증시 불안에 미 IPO 시장도 찬바람
치솟은 물가, 임금상승도 부추겼나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대만을 방어하기 위한 군사 개입 가능성을 내비쳤다.[사진=뉴시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대만을 방어하기 위한 군사 개입 가능성을 내비쳤다.[사진=뉴시스]

[흔들리는 전략적 모호성]
바이든 생각 vs 백악관 생각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중국이 대만을 침공할 경우 군사 개입에 나서겠다는 입장을 재차 밝혔다. 18일(현지시간) 바이든 대통령은 CBS 방송 인터뷰 프로그램 ‘60분(60 minutes)’에 출연해 중국의 침공 때 대만을 방어할 것이냐는 질문에 “전례 없는 공격이 있다면 그렇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군사 물자만 지원한 우크라이나와 달리 미군 병력이 직접 방어에 나서는 것이냐고 묻는 말에도 “그렇다”고 답변했다.

이는 미국이 그간 고수해온 ‘전략적 모호성’을 버리고 중국과 대만 관계에 강력하게 개입하겠다는 의지를 다시 한번 강조한 발언이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해 10월 미국 볼티모어에서 열린 CNN 타운홀 미팅에서도 대만 방어 여부를 묻는 말에 “그렇다”고 말했다. 지난 5월 미일 정상회담이 끝나고 열린 기자회견에선 대만 군사개입을 두고 “그것이 우리의 약속”이라고 답했다.

미국은 1979년 중국과 수교하면서 ‘하나의 중국’ 원칙을 인정하고 대만과 단교했다. 그러면서도 ‘대만관계법’을 제정해 대만에 무기를 판매했고, 군사 개입을 두고는 명확한 입장을 표명하지 않으면서 전략적 모호성을 유지해왔다.

이 때문인지 백악관은 ‘전략적 모호성’을 깨는 듯한 바이든 대통령 발언의 의미를 축소하면서 “미국의 대만 정책은 변함이 없다”며 수습하고 있다. 중국을 필요 이상으로 자극하지 않기 위해서다. ‘60분’ 인터뷰 이후에도 백악관 관계자는 “미국의 정책은 바뀌지 않았다”면서 “공식적으로 미국은 미군이 대만을 방어할 것인지를 두고 말하지 않겠지만, 대통령 나름대로의 생각일 뿐”이라고 해명했다.

김다린 더스쿠프 기자 
quill@thescoop.co.kr

[美, 기업공개 기업 급감]
증시 찬바람에 IPO ‘꽁꽁’     

    
미국 주식시장의 장기 침체로 기술 기업공개(IPO) 시장이 꽁꽁 얼어붙었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18일(현지시간) 모건스탠리 연구소의 조사 결과를 인용, 5000만 달러(약 693억원)가 넘는 규모의 IPO가 240여일 가까이 이뤄지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모건스탠리 연구소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는 물론 2000년대 닷컴버블 붕괴 때를 넘어서는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기술 IPO가 부재한 이유는 미 증시가 침체일로를 겪고 있어서다. 미 증시는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려는 미 연방준비제도(연준ㆍFed)의 공격적인 기준금리 인상과 이로 인한 경기침체 우려로 요동치고 있다. 특히 지난해 증시 호황을 누렸던 고성장 기술주가 크게 출렁였다.

미 증시의 불확실성이 높아지자 IPO에 나선 기업이 크게 감소했다.[사진=뉴시스]
미 증시의 불확실성이 높아지자 IPO에 나선 기업이 크게 감소했다.[사진=뉴시스]

일례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올 초 1만5832.80포인트에서 지난 16일 1만1448.40포인트로 26.9% 하락했다. 같은 기간 대형주 중심의 S&P500 지수의 하락폭 19.2%보다 7.7%포인트가량 컸다. 그 결과, 지난해 1007개를 기록했던 신규 상장 기업은 올해 148개로 급감했다. 시장의 불확실성이 IPO 시장에 찬물을 끼얹었다는 얘기다. 

미 SVB증권의 맷 월시 기술주 자본시장 책임자는 “시장에 엄청난 불확실성이 존재한다”며 “불확실성은 IPO 시장의 적”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많은 기업이 상장을 연기하고 있다”며 “올해 상장을 시도할 것으로 예상했던 대부분의 기업이 상장 계획을 2023년으로 연기했다”고 말했다.

강서구 더스쿠프 기자 
ksg@thescoop.co.kr

[물가상승 주범은 누구]
임금이 먼저냐 물가가 먼저냐 


“임금상승이 물가상승을 부채질한다.” 경제학자들의 기존 통설이다. 하지만 최근의 주류 학설은 정반대다. “물가상승이 임금상승을 부추긴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8일(현지시간) “미 연준 등 세계 각국 중앙은행은 임금이 오르면 물가를 끌어올릴 수 있다고 우려하지만 이는 역사적 사실들과 맞지 않다”면서 “지난 수십년 동안 고물가가 임금상승을 초래했으며, 그 반대는 성립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스위스 EFG 은행의 수석경제학자 스테판 게를라흐도 “물가와 임금은 함께 변동하지만 임금상승은 대체로 과거 물가상승에 따른 반응이지 임금상승이 물가상승을 견인하지는 않는다”면서 “정책 입안자들이 이 점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그동안 임금상승이 물가상승을 부추긴다고 여겼지만, 이는 사실과 다르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사진=뉴시스]
그동안 임금상승이 물가상승을 부추긴다고 여겼지만, 이는 사실과 다르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사진=뉴시스]

최근 물가상승으로 각국의 정치인들이 노동자들에게 ‘물가상승률을 완화하기 위해서라도 과도한 임금인상을 요구하지 말 것’을 촉구하고 있는데, 이 주장의 근거가 처음부터 잘못됐다는 것이다. 

물가가 임금을 견인한다는 주장은 다양한 연구가 뒷받침하고 있다. 뉴욕 연방은행이 2020년 발표한 논문에 따르면, 미국의 제조업체들은 지난 20년 동안 임금상승에 따라 상품 가격을 올린 적이 거의 없었다.

연준 경제학자들도 2017년 “노동비용 증가가 물가상승을 초래한다는 증거가 몇년 동안 거의 없었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향후 임금과 물가의 상관관계에 따른 논란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김정덕 더스쿠프 기자
juckys@thescoop.co.kr

[미국 에너지 위기]
6가구 중 1가구 ‘전기료 체납’ 

미국 가구 중 전기료를 체납하는 곳이 부쩍 늘어났다. 국가에너지지원담당자협회(NEADA)는 미국 전체 6가구 중 1가구가 전기 등 공공요금을 체납하고 있다고 집계했다. 이유는 별다른 게 아니다. 미국 전기료가 가파르게 치솟아서다.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에 따르면, 2022년 미국 주거용 전기료는 평균 ㎾h당 14.8센트로 지난해 대비 7.5% 오를 것으로 보인다. 1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역시 러시아발 에너지 위기 여파로 올겨울 미국 전기료가 치솟을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의 전기료가 급등한 건 유럽이 러시아산 에너지 의존도를 줄이는 대신 미국의 천연가스를 기록적인 수준으로 수입하고 있기 때문이다. 유럽 수입량 증대로 천연가스 가격이 오르자 미국의 많은 지역에서 전기료가 급등한 셈이다. 

일례로, 뉴잉글랜드 지역은 재생에너지에 막대한 투자를 진행하고 있지만 여전히 천연가스에 크게 의존하고 있어 전기료가 크게 올랐다. 이에 따라 뉴잉글랜드 지역에 전기와 천연가스를 공급하는 에버소스에너지는 8월 뉴햄프셔의 ㎾h당 전기요금을 10.67센트에서 22.57센트로 2배 이상 인상했다. 

최아름 더스쿠프 기자
eggpuma@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