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스쿠프 이슈 아카이브
한경협 세대별 실질소득 추이 분석
10년간 20대 증가율이 가장 낮아
비정규직 등 청년층 고용 질 낮고
고물가로 실질소득 증가율도 상쇄
고용 질 제고 위한 노동정책 필요
외식물가 안정화 정책도 추진해야
20대 청년층의 실질소득 증가율이 전 세대 중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가 2014년부터 2024년까지 체감물가를 반영한 실질소득을 세대별로 분석한 결과다. 한경협이 9월 29일 발표한 ‘2014∼2024년 세대별 실질소득 추이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이 기간 20대의 실질소득 증가율은 연 1.9%였다. 이어 40대(2.1%), 50대(2.2%), 30대(3.1%), 60대 이상(5.2%) 순으로 낮았다.
20대는 실질소득 증가세도 높지 않았다. 2014년부터 2019년까지 5년간 전년 대비 실질소득 증가율은 연 2.6%였지만, 2019년부터 2024년까지 5년간은 연 1.1%에 그쳤다. 실질소득 증가율이 절반 이상 꺾였다는 얘기다.
보고서는 20대의 실질소득 증가율이 떨어진 이유를 두가지로 꼽았다. 첫째, 청년층 고용의 질質이 떨어졌다는 점이다. 분석 기간을 기준으로 연령대별 근로소득 증가율은 20대가 3.6%로 가장 낮았다. 청년층의 실업률은 9.0%에서 5.8%로 3.2%포인트 떨어지고, 고용률은 57.4%에서 61.0%로 3.6%포인트 올랐지만, 근로소득 증가율은 되레 낮았다. 이는 상대적으로 열악한 비정규직에 취업한 20대가 많았다는 방증인데, 실제로 20대 비정규직 비율은 11.1%포인트(32.0%→43.1%) 높아졌다.
다른 하나는 체감물가 상승이다. 가처분소득과 체감물가를 5년씩 나눠서 분석한 결과, 20대의 명목 가처분소득 증가율은 2014~2019년 연 3.8%에서 2019~2024년 연 4.0%로 0.2%포인트 상승하는 데 그쳤다.
반면 20대 체감물가 상승률은 2014∼2019년 연 1.1%에서 2019∼2024년 연 2.8%로 2배 넘게 뛰었다. 이로 인해 명목 가처분소득 상승효과가 상쇄돼 청년층 실질소득 증가율이 오히려 하락했다는 게 보고서의 분석이다.
체감물가 상승의 주요 원인은 음식ㆍ숙박비의 가파른 상승이었다. 2019~2024년 ‘음식ㆍ숙박’ 물가는 식사비를 중심으로 연 4.0% 올랐는데, 이는 소비지출 항목 중 ‘식료품ㆍ비주류음료(5.1%)’에 이어 두번째로 높았다. 외식물가가 체감물가를 높였다는 얘기다.
보고서는 “청년층의 실질소득 개선을 위해 고용의 질을 높이는 노동시장 정책과 함께 체감물가 개선을 위한 외식물가 안정화가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한경협 관계자는 “고용훈련, 양질의 고용 창출 여력 확대 등 질적 제고를 위한 다양한 노동시장 정책이 필요하다”면서 “할당관세(특정 수입품의 관세율을 낮춰주는 것) 적용,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 등을 통해 식재료비 원가 부담을 줄이는 방식으로 외식물가 안정화를 도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정덕 더스쿠프 기자
juckys@thescoop.co.kr
개의 댓글
댓글 정렬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