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스쿠프 Econopedia
주요 서버 보관 시 이중화 필요
국정자원 이중 서버 체계 없어
예산 등 문제로 체계 마련 미뤄
현재 정상화된 시스템 195개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 주요 전산시스템을 이중화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사진 | 연합뉴스]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 주요 전산시스템을 이중화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사진 | 연합뉴스]

이중화(Duplication) =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서버를 동시에 운영하는 기술. 한쪽 서버에 문제가 발생했을 때 다른 서버로 대체해 시스템이 멈추는 걸 방지한다. 중요한 데이터를 보관하거나 서비스 장애로 큰 혼란을 야기할 수 있는 경우 이중화 서버를 통해 안전성을 높여야 한다. 

최근 국가정보자원관리원(이하 국정자원)에서 발생한 화재로 정부가 주요 서버를 이중화하지 않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9월 26일 국정자원 대전 본원 5층에 불이 나며 정부 업무시스템 709개가 ‘먹통’이 됐다. 여기엔 정부24, 모바일신분증, 홈택스 등 주요 서비스들이 포함됐다.[※참고: 당초 정부는 장애가 발생한 시스템을 647개로 집계했지만 지난 9일 화재의 영향을 받은 시스템은 709개라고 정정했다.]

국정자원은 대전 본원 외에도 광주·대구에 분원을 운영하고 있는데, 이곳은 본원의 데이터 사본을 저장해두는 백업 기능만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서버를 이어받아 운영할 수 있도록 공주에 제4센터 설립을 추진해 왔지만 시스템 검토 및 예산 문제로 센터 개원일이 차일피일 미뤄졌다. 공주센터는 2023년 11월 완공돼 지난해 11월 문을 열 계획이었다. 하지만 완공 직후 정부 행정 전산망 장애 사태가 발생하며 시스템 고도화를 위해 개원일을 연기했다. 

운영 예산에도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윤건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제출받은 국정자원 예산 편성안에 따르면 지난해 행정안전부는 대전센터-공주센터 이중화 네트워크 구축 비용으로 총 75억6200만원을 요구했다.

그런데 기획재정부는 요구 예산에서 60.9%를 삭감한 29억5500만원을 편성했다. 여기서 이중화 시스템 시범사업에 집행된 예산은 24억원에 불과했다. 이는 국정자원의 전체 예산(5559억원)의 0.4% 수준이다. 국가 행정을 처리하는 데 필수적인 데이터를 보호하는 태도가 너무 안일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사진 | 연합뉴스]
[사진 | 연합뉴스]

행정안전부는 15일부터 시스템 정상화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했다.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은 9일 오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에서 “연휴 중에 서버 장비 90개, 네트워크 장비 64개 등 198개의 전산 장비를 신규로 도입했다”며 “장비 설치가 완료되는 15일 이후부터는 복구되는 시스템이 빠르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9일 오후 5시 기준 복구된 시스템은 195개로, 복구율은 27.5%다.

조서영 더스쿠프 기자
syvho11@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