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스쿠프 서베이 행간읽기
Z세대 여전히 대기업 선호 강해
10명 중 8명 중소기업 지원 안 해
가장 큰 이유는 ‘낮은 연봉’ 때문
이어지는 대기업·중소기업 양극화
어떻게 해야 격차 줄일 수 있을까

Z세대의 대기업 선호 현상이 여전히 두드러진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Z세대의 대기업 선호 현상이 여전히 두드러진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Z세대의 취업 나침반은 여전히 대기업을 가리킨다. 상위권 채용 플랫폼 진학사 캐치가 Z세대 구직자 2045명 중 올해 기업에 지원한 1732명의 ‘2025년 취업 지원 현황’을 조사한 결과, 81.0%가 중소기업에 지원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지원한 기업 유형을 자세히 살펴보면 ‘대기업(60.0%·복수응답)’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중견기업(25.0%)’ ‘공공기관·공기업(20.0%)’ ‘중소기업(19.0%)’ 순이었다.

중소기업에 지원하지 않은 이유로는 ‘낮은 연봉(44.0%)’이 가장 많이 꼽혔다. 이어서 ‘커리어 개발 어려움(12.0%)’ ‘성장·안정성 부족(12.0%)’이 나란히 뒤를 이었다. ‘사회적 인식(11.0%)’ ‘복지제도 미흡(8.0%)’ ‘근무환경 열악(8.0%)’ 등의 답변도 있었다.

실제로 Z세대 구직자들이 인식하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초봉 수준 차이는 뚜렷했다. 대기업에 기대하는 초봉으로는 ‘5000만원대(29.0%)’와 ‘4000만원대(29.0%)’가 가장 많았다. 반면 ‘중소기업’에 기대하는 초봉은 ‘3000만원대(41.0%)’가 두드러졌다. 이는 구직자들이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초봉 격차를 1000만원 이상으로 체감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더불어, 중소기업에 지원 의향이 생기는 조건도 조사했다. 응답자들은 ‘높은 연봉(57.0%)’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다양한 복지(33.0%)’ ‘워라밸 보장(27.0%)’ 등의 순이었다.

진학사 캐치 김정현 본부장은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선호도 양극화가 이어지고 있다”며 “최근 구직자들은 공정한 보상 체계와 성장 기회를 더욱 중시하는 만큼, 중소기업이 매력적인 선택지가 되려면 복지나 성장 기회, 보상 구조 등 중소기업의 강점을 적극적으로 알리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일러스트|게티이미지뱅크]
[일러스트|게티이미지뱅크]

김하나 더스쿠프 기자
nayaa1@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