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스쿠프 서베이 행간읽기
취준 비용 부담 커지고 있어
43% 지난해보다 늘었다고 답해
소비쿠폰을 취준에 사용하기도
취준 비용 증가는 단순 물가 아닌
청년층 고용 불안 반영하는 지표
구직자의 ‘취업 준비’ 비용 부담이 점점 커지고 있다. 상위권 채용 플랫폼 캐치가 구직자 1001명에게 올해 취업 준비 비용을 물어본 결과, ‘지난해와 비슷하다’가 46.0%로 가장 많았다. ‘지난해보다 늘었다’는 답변도 43.0%에 달했다. ‘줄었다’고 밝힌 응답자는 11.0%에 그쳤다.
응답자들이 지출하는 월평균 취업 준비 비용은 28만원으로 집계됐다. 세부적으로는 ‘10만~30만원(44.0%)’이 가장 많았고, ‘10만원 미만(23.0%)’ ‘30만~50만원(22.0%)’이 뒤를 이었다. 다음은 ‘50만~100만원(8.0%)’ ‘100만원 이상(3.0%)’ 순이었다.
취준생이 느끼는 가장 큰 비용 부담은 ‘어학ㆍ자격증 취득비(29.0%)’였다. ‘카페ㆍ스터디룸 등 공간 이용료(22.0%)’ ‘학원ㆍ강의 수강료(22.0%)’라는 응답도 많았다. ‘면접비’ ‘학습 물품비’는 각각 10.0%, 8.0%였다.
비용 마련 방법으로는 ‘모아둔 개인 자금(63.0%ㆍ복수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가족의 지원(47.0%)’과 ‘아르바이트ㆍ인턴 수입(45.0%)’이 뒤를 이었다. ‘정부 보조금(18.0%)’이나 ‘장학금(4.0%)’ ‘대출(3.0%)’ 등을 이용하는 경우도 있었다.
10명 중 4명(42.0%)은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취업 관련 목적으로 사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는 청년층이 느끼는 취업 준비 비용 부담이 크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진학사 캐치 김정현 본부장은 “취업 비용 증가는 단순히 물가 상승 때문이 아니라, 청년층이 체감하는 고용 불안이 함께 작용한 결과”라며 “불확실한 채용 환경 속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더 많은 스펙과 경험을 요구받는 구조가 비용 부담을 키우고 있다”고 설명했다.
김하나 더스쿠프 기자
nayaa1@thescoop.co.kr
개의 댓글
댓글 정렬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