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스쿠프 커버스토리 視리즈
新직업 미래 보고서 15편
영상 4막 신직업 한계와 과제
舊직업 vs 新직업 충돌 비일비재
신직업 확산 막는 정책적 공백들
젊은 인재 찾기 힘든 신직업 시장
수익성 없는 신직업 근본적 한계
# 미국, 중국, 일본 등 세계 각국이 신직업을 발굴·육성하는 데 힘을 쏟고 있다. 선두주자는 중국이다. 시진핑 정부가 올해 ‘중화인민공화국 직업분류대전’에 등재한 신직업만 해도 91개에 달한다.
인공지능(AI) 기술자, 사물인터넷(IoT) 기술자, 빅데이터 기술자, 클라우드컴퓨팅 기술자, 생성형 AI 시스템 기술자, AI 훈련사 등 종류도 다양하다. 미래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하고 있는 중국 정부의 전략과 신직업 등재 작업이 함께 움직이고 있다는 얘기다.
# 그렇다면 한국은 어떨까. 우리나라의 신직업 발굴·육성 정책은 제 길을 가고 있을까. 현실은 그리 긍정적이지 않다. ‘新직업 미래보고서: 영상 4부작’ 마지막 편 한계와 과제다.
이지원 더스쿠프 기자
jwle11@thescoop.co.kr
[영상 제작 STAFF]
■ 기획·스토리
더스쿠프
이윤찬 편집장
강서구 기자
김하나 기자
조서영 기자
투비스타
■ 영상
더스쿠프
투비스타
■ 도움 주신 분들
한국언론진흥재단
이혁기 Video B PD
이민우 문학전문기자
이지원 기자
jwle11@thescoop.co.kr
개의 댓글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