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스쿠프 투데이 이슈
김민석 국무총리 광화문광장 찾아
서울시 추진 ‘감사의 정원’ 사업에
“걱정된다…다른 곳에 해도 충분”
종묘 앞 세운지구, 한강버스 등
오세훈 시장 역점사업 잇단 비판

김민석 국무총리가 17일 오전 서울 종로구 광화문 광장에 서울시에서 한국전쟁 참전국을 기리기 위해 조성하는 ‘감사의 정원’ 공사현장 주변을 둘러보고 있다. [사진 | 뉴시스]
김민석 국무총리가 17일 오전 서울 종로구 광화문 광장에 서울시에서 한국전쟁 참전국을 기리기 위해 조성하는 ‘감사의 정원’ 공사현장 주변을 둘러보고 있다. [사진 | 뉴시스]

김민석 국무총리가 광화문광장을 찾아 오세훈 서울시장이 추진 중인 ‘감사의 정원’과 관련해 “걱정 된다”며 부정적 입장을 피력했다. 공사현장 방문에 앞서서는 사업에 반대하는 시민단체 관계자들을 면담했고, 절차적·법적 문제가 없는지 점검하기로 했다. 

김 총리는 17일 광화문광장을 찾은 자리에서 “광화문은 대한민국의 얼굴이고 국가의 상징공간”이라며 “지금 세종대왕과 이순신 장군을 모신 공간에 ‘받들어 총’ 석재 조형물을 설치하는 것을 국민들께서 이해하실지 의문이 든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국민들께서 여기에 ‘받들어 총’ 조형물이 들어왔을 때 어떻게 생각하실지, 지금은 대부분 모르셔서 그런데 좀 걱정도 된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그러면서 “행정적으로 절차적으로 또 법적으로 살펴볼 바가 없는지 챙겨보겠다”고 덧붙였다. 

서울시가 추진 중인 ‘감사의 정원’은 세종문화회관 북측에 위치한 ‘세종로 공원’과 ‘광화문광장’에 조성할 예정이다. 지상부에는 22개 참전국에서 채굴한 석재로 만든 만든 7m 높이의 22개 조형물 ‘감사의 빛 22′를 설치한다. 지하에는 우방국과 실시간 소통하고 22개국의 현지 모습을 영상·이미지 등으로 만나볼 수 있는 상징 공간을 마련한다. 

오 시장은 지난 2월 주한대사 초청 ‘감사의 정원’ 조성 설명회에서 “서울시가 조성하려는 감사의 정원에는 대한민국의 존재와 자유를 지켜준 자유진영 참전국들에 대한 감사의 의미가 녹아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광화문광장은 대한민국의 정체성을 상징하는 곳이고, 많은 관광객이 찾는 명소로서 참전국에 감사를 보여주기 적합하며, 타국 방문객들에게 뜻밖의 감동을 선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감사의 정원 조감도. [자료 | 서울시청]
감사의 정원 조감도. [자료 | 서울시청]

그러나 김 총리는 이날 광화문광장을 방문한 자리에서 “그 취지는 광화문이 아닌 다른 곳에서도 충분히 실현할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든다”며 반대 입장을 밝혔다. 또한 “조형물의 전제가 외국에서 각각 돌을 받는다는 전제 하에서 하는데 미국까지 포함해서 아직 보낸다는 것도 확약이 안 돼 있는 상태라고 들었다”며 “그렇게 서둘 필요가 있는가”라고 반문했다. 

김 총리는 앞서 지난 10일 종로구에 있는 종묘를 찾아 서울시가 도로 건너편 세운4구역의 높이제한을 70m에서 145m로 높여준 점을 비판했고, 14일에는 광진구 뚝섬 한강버스 선착장을 찾아 안전 우려를 나타내기도 했다. 모두 오 시장이 역점적으로 추진하는 사업들이다. 

조봄 더스쿠프 기자
spring@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