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상안 10.7%, 실제효과 16.8%

▲ 한국전력이 지난해 두 차례나 요금을 인상한데 이어 또 다시 요금인상안을 기획재정부에 제출했다. 사진은 한국전력거래소 중앙전력관제센터에서 관계자들이 전력수급 현황을 감시하는 모습.
한국전력이 또다시 두 자릿수 요금인상안에 의결했다. 연료비 연동제를 이용한 꼼수까지 부려 국민의 공분을 사고 있다.

한국전력이 지난해 8월 4.5%, 12월 4.9% 요금을 인상한데 이어 9일 이사회에서 10.7%의 요금인상안을 의결했다. 그러나 연료비 연동제를 이용해 추가로 6.1%의 보전을 요구하고 있어 실제 요금인상 효과는 16.8%에 달해 논란이 일고 있다.

연료비 연동제는 연료비 변동을 반영해 연료비가 기준보다 올랐으면 추가요금을 내고 내려가면 그만큼 덜 내게 하는 제도다. 한전은 상대적으로 연료비가 저렴했던 지난해 12월의 연료비를 기준으로 삼자고 주장하고 있다.

한전은 지난 4월 결의한 13.1%의 전기요금 인상안을 정부가 반려하자 이보다 낮은 10.7%의 요금인상안과 연료 비 연동제를 제시한 것으로 보인다.

요금인상안의 근거는 계속 되는 적자와 낮은 원가회수율이다. 한전은 2011년 2조9937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한 데 이어 올해 1분기에도 2조382억원에 달하는 영업손실을 입었다. 4년째 계속되는 적자로 지난해 말 부채는 82조원을 넘어섰다. 2011년 94%였던 원가회수율은 87%로 떨어졌다. 생산할수록 손해 보는 구조다. 이런 면에서 한전의 원가인상안이 타당해 보인다. 요금인상안이 통과되면 한전은 올해 1조5000억원의 순이익을 올리게 된다.

그러나 한전 직원들의 지난해 1인당 평균 보수액은 7353만원으로 2010년 대비 200만원이 올랐다. 임원의 기본급은 1억1300만원으로 공기업 중에서도 최고 수준이다. 한전 기관장은 지난해 경영평가 성과급 명목으로 무려 1억4000만원을 수령했다. 뿐만 아니라 2011년 10월 국정감사에 따르면 한전이 체결한 수의계약은 2600여건으로 금액은 7600억원에 이른다. 국가·지방자치단체 등이 체결하는 모든 계약은 경쟁계약의 방식을 취해야 한다는 원칙이 흔들리고 있는 것이다.

87%의 원가회수율도 문제가 있다. 한전이 원가회수율을 계산할 때 사용하는 총괄원가에는 발전자회사의 원가·법인세·이자비용·적정투자보수가 모두 포함된다. 이 총괄원가로 산정한 원가회수율을 기초로 요금을 산정하면 부적절한 재무구조로 발생한 비용과 투자에 따르는 기회비용까지 국민에게 전가하게 된다. 연료비 연동제로 적립되는 미수금은 결국 고스란히 국민의 부담이다. 한전 관계자는 “연료비 연동제로 쌓인 미수금은 2014년에 회수할 예정”이라며 “지금 회수하지 않아도 어차피 국민과 기업이 부담할 부채나 다름없다”고 말했다.

정부는 두 자릿수에 이르는 전기요금 인상안을 받아들이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지식경제부 이관섭 에너지자원실장은 9일 브리핑에서 “이날 한전 이사회의 결정은 그동안 정부가 추진해온 물가안정 정책과 배치된다”며 “물가 안정을 위해 3~5% 수준에서 전기요금 인상이 결정돼야 한다”고 밝혔다.

한전은 1년 사이에 세 번째 요금 인상안이라는 전가의 보도를 휘둘렀다. 그러나 그 기간 경영쇄신안이나 자체 구조조정은 거의 없었다. 요금인상으로 손쉽게 적자를 벗어나려 하기 전에 경영혁신을 위한 자구책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심하용 기자 stone@thescoop.co.kr | @itvfm.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