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국어 세부아노 비니사야(Binísayâ)어와 영어로 시와 수필을 쓴다. 2010년 동남아시아 작가상(SEAWrite), 2011년 필리핀 국립문화예술위원회 애니 당갈상(Ani ng Dangal) 등을 수상했다. 마닐라 데라살대학교에서 문학 명예교수이자 2019년부터 상주 작가로 활동하고 있다. 다양한 학문지에 시가 실렸으며, 필리핀어, 비니사야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독일어, 한국어, 일본어, 에스토니아어, 베트남어, 중국어, 칸나다어 등으로 번역됐다

 

비니샤야어(Binísayâ) : 필리핀의 중앙 비사야 제도의 보홀섬의 모어는 비니사양 볼-아논(Binísayang Bol-anon)이다. 이 언어는 비사얀어(Visayan)’ 혹은 세부아노어(Cebuano)’이 명칭은 세부섬의 언어를 뜻하는 것으로, 세부시()가 중앙 비사야 제도에서 정치적, 경제적, 문화적 중심지라는 사실과 관련되어 있다의 방언이다. 세부아노-비사얀(Cebuano-Visayan)은 필리핀에서 타갈로그어(Tagalog) 다음으로 큰 민족 언어학적 집단이다. 마닐라와 세부 같은 권력의 중심지에 대한 이러한 저항은 오늘날 비사야스어(Visayas)를 사용하며 활동 중인 작가들 사이에서 나타난다. 그들은 의식적으로 우리의 토착어를 세부아노어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명칭로 부르길 거부하면서 그것의 참된 명칭이 비사야어혹은 비니사야어혹은 심지어 더 구체적으로 비사양 볼-아논(Bísayang Bol-ánon)’이라고 주장한다.

 
마르조리에 에바스코 페르니아
마르조리에 에바스코 페르니아

 

이것이 오늘 내가 너와 함께 이 섬에서 바라는
신의 모습이다: 기본적이고 푸른 모습,
우리의 발을 소금으로 부드럽게 하고
최초의 말소리로 장난치는 우리의 입으로

살아 있는 물결을 실어다 주는 저 바다처럼.
“신은 푸르다”라고 시인 후안 라몬 히메네스1)는 노래했다,
욕망에 취해, 머리카락과 눈썹,
속눈썹을 물총새의 날개처럼 푸르게 물들인 채.

우리가 이 섬의 동쪽 굽이를 돌 때
우리를 맞아 주는 것은 바로 이 새다.
우리 사이의 털끝만큼 좁은 경계는 잠시 공기 중에 머무르다
사라질 뿐이라고, 열대 지방의 하늘과 용담2)의 푸른색에

스며들 뿐이라고 말해 주는 것도 바로 이 새.
해초로 뒤덮인 이 바위에 너와 함께 앉아 있다가
나는 갑자기 우리를 껴안는 푸른색을 느낀다,
이 돌을, 이 섬을, 이 변화된 공기를,

우리가 그동안 간절히 바랐던 우리의 본모습과
우리 사이의 거리를 느낀다. 타오르는 푸른색이 번쩍

1) 에스파냐의 시인으로, 1956년 노벨 문학상을 수상하였다.

2) 종 모양의 파란색 꽃이 피는 야생화의 일종.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