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뉴스페이퍼 제작
사진=뉴스페이퍼 제작

 

삼일절을 맞아 우리 문학의 반성과 분발을 촉구한다

ㅡ한국과 일본의 문학을 비교하며

 

이승하

 

 

 한국 현대문학은 태생이 아주 불행하였다. 고전문학에서 근대문학으로, 근대문학에서 현대문학으로 이행이 되는 과정에 일본의 식민지 지배 시대가 관통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외교권이 빼앗긴 것은 1905년이었고 조선총독부에 의한 식민지 지배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것은 1910년부터였지만 이미 갑신정변(1884)과 갑오경장(1894)과 을미사변(1895) 때부터 일본의 압박을 강하게 받고 있었다고 봐야 한다. , 60년 동안 우리는 일본의 지배를 받았다고 해도 크게 틀린 말이 아닐 것이다. 우리는 이 무렵 일본으로부터 문학을 배웠다. 서구의 문학도 일본을 통해 받아들였기에 임화는 이식문화론를 주장하였다.

 

신문학사의 연구에 있어 문학적 환경의 고구란 것은 신문학의 생성과 발전에 있어 부단히 영향을 받아온 외국문학의 연구다. 신문학이 서구적인 문학 장르(구체적으로는 자유시와 현대소설)를 채용하면서부터 형성되고, 문학사의 모든 시대가 외국문학의 자극과 영향과 모방으로 일관되었다 하여 과언이 아닐 만큼 신문학사란 이식문화의 역사다. () 신문학은 서구문학의 이식과 모방 가운데서 자라났다.

 

 얼마나 끔찍한 말인가. 임화의 주장을 반대하자면 우리 문학이 조선조 후기에서 대한제국의 근대이행기를 거쳐 현대로 접어드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변화하고 발전해야 한다. 자유시 이전에 신체시가 있었고, 그 전에 가사와 창가가 있었기에 발전의 단계가 어느 정도는 있었다고 봐도 된다. 하지만 한시와 시조도 계속 창작되고 있었기 때문에 발전이라고 하기가 어렵다. 박지원의 한문소설이 과연 발전하여 춘향전별주부전같은 판소리계 소설로 갔을까? 판소리계 소설에서 허균의 홍길동전, 김만중의 구운몽을 거쳐 신소설로 이어지는 계보를 확실히 그릴 수 있을까? 우리 소설문학이 일본의 영향을 받지 않고 자체적으로 발전했다고 말하기 참으로 어려운 것이 한국 근대문학 연구자들의 딜레마이다.

 최남선은 1904년 대한제국 황실 유학생으로 선발되어 일본 도쿄부립제일중학교에 입학했다가 중퇴하였다. 1906년 와세다대학 고등사범부 역사지리과에 입학했다. 19076월 와세다대학 정치학과가 주관한 모의국회가 조선의 국왕이 일본에 알현하러 오는 가상의 상황을 토의 안건으로 삼자 이에 반발하는 한국인 유학생의 대표를 맡았고, 이로 인해 학교에서 퇴학당했다.

 이광수는 일진회의 후원으로 1905년 일본으로 유학, 다이세이(大成) 중학교를 거쳐 메이지 학원으로 편입했다. 1910년 경술국치 직후에 일제의 회유로 메이지 학원을 졸업하고 일시 귀국하여 잠시 교편을 잡다가 다시 일본으로 돌아갔다. 1915년 와세다대학 철학과에 입학했으나 1919년 도쿄 유학생들의 28독립선언 당시 독립선언서를 작성하는 데 참여했다는 이유로 학업을 그만두어야 했다.

 두 사람 다 초기에는 이와 같이 민족주의적인 색채가 분명했지만 1920년대 후반부터 변절하여 친일문인의 대표자가 된다. 교토에 있는 도시샤대학의 종교철학과를 오상순이 1917년에, 영문학과를 정지용이 1929년에 졸업하는데 투옥되지 않았더라면  윤동주도 영어로 논문을 써 동 대학 영문학과 졸업장을 받았을 것이다. 시인 김억, 김소월, 김동환, 김영랑, 김기림, 백석, 임화, 이상화, 유치환, 이장희, 이용악, 오장환, 구상, 김종삼, 김수영, 김춘수 등이 일본 유학파다. 그 당시엔 일본 유학파가 아닌 문인이 드물었다. 그만큼 우리 문학은 일본의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었다. 소설가 김동인, 전영택, 염상섭, 홍명희, 현진건, 주요섭, 계용묵, 박영희, 이기영, 조명희, 이태준, 김사량, 황순원 등이 일본 유학파다. 나도향은 일본에 가긴 했지만 학비가 집으로부터 안 와서 포기하고 귀국했다.

 

이제 동아(東亞)의 천지는 미증유의 대전환기에 들어 있다. 태양과 같은 일시동인(一視同仁)의 황국 정신의 동아 대륙에서 긴 밤을 몰아내는 찬란한 아침에 있다. (중략) 모름지기 필봉을 무기 삼아 시국에 동원하는 열의가 없어선 안 될 것이다.

 

 우리가 자랑스럽게 여기는 일제하 대표적인 문학지 『文章』의 창간호 권두언마저도 이렇게 수치스러운 일제 찬양이었다. 책을 내기 위해 어쩔 수 없이 했던 아부였던 것이리라. .

 중앙대 일어학과를 정년퇴임한 손순옥 교수에게 직접 들은 이야기다. 이광수의 초기 소설을 읽다가 일본 소설을 표절한 곳이 여러 곳 보여서 연구논문을 써 발표하려다가 이미 친일문인으로 낙인이 찍혀 있는데 표절까지 들춰내면 우리 문학의 위상을 떨어뜨리는 일이라서 포기하고 말았다고 한다. 사석에서 들은 이야기라 입증할 도리가 없지만 그 당시 일본 유학생들이 일본의 시와 소설을 안 읽었을 리 없다. 표절까지는 아닐지라도 자기가 쓴 작품 속에 일본인의 작품이 형식에서건 내용에서건 음으로 양으로 스며들었을 것이다. 일일이 세부적인 영향 관계를 따지고 밝히면 이 땅의 문학 연구자는 더욱더 고개를 떨어뜨리게 될 것이다.

 일본의 녹음서방(綠蔭書房) 출판사에서 2001년에 근대조선문학 일본어 작품집 193919456권을 제1기 제1회 배본분으로 출간하였다. 그 뒤로도 계속 나왔는지는 모르겠다. 일본이 자랑스럽게 낸 그 책을 교토대학 도서관에서 발견하고 내심 피눈물을 흘렸다.

 우리나라의 도서출판 해토에서는 2005년에 은빛 송어라는 작품집을 출간했는데 이효석이 일본어로 쓴 작품의 한글 번역본이다. 소설 5편과 수필 9편이 실려 있는데 가장 큰 주제는 내선일체. 지금까지 국내에서 나온 모든 이효석론의 수정을 요구하는 책이다.

 우리가 식민지의 고통을 감내해야 했던 일제강점기 때의 영향 관계는 어쩔 수 없는 것이라 치자. 2023년인 지금 한국문학과 일본문학의 위상은 어떻게 다른가. 문제는 바로 여기에 있다. 이제 얼마 안 있으면 광복 80주년이 될 텐데, 그때까지 노벨문학상 수상자가 나오지 않고 일본에서 또 한 명이 나온다면? 일본은 1968편에 가와바타 야스나리가, 1994년에 오에 겐자부로가 이 상을 받았다. 2017년 수상자 가즈오 이시구로는 영국 국적이지만 이민 2세대로 혈통은 완전히 일본인이라 일본은 세계화에 성공한 자국의 수상자로 간주한다. 10여 년 전부터 무라카미 하루키가 해마다 노벨문학상 후보자로 거론되고 있으므로 생시에 탈 확률이 아주 높다. 서방세계의 문인 9명이 탈 때 아시아와 중남미, 아프리카 문인을 다 합쳐서 1명이 타기 때문에 세계인을 대상으로 한 문학상이 아니지만 일본인이 또 탄다면 우리 문학의 자존심이 또다시 땅에 떨어질 것이 분명하다. ? 우리 문학인 중 노벨문학상에 근접한 이가 고은 시인과 신경숙 소설가였기 때문이다. 재작년에 한국문학번역원의 자료를 입수해 살펴보았더니 이 두 문인만 번역시집, 소설집이 번역원 사업으로 20권 이상씩 각국의 언어로 번역되어 있었다. 개인 시조집은 단 1권도 없었고, 작고 시인은 14, 생존 시인은 44명의 시집이 번역원에 의해 번역되어 있었다. 44명 중 유독 고은 시인의 시집만 20권 이상 번역된 것이 신기했는데 그 이유가 짐작이 갔다. 해마다 노벨문학상 후보에 올랐기 때문에 번역원에서는 선택과 집중을 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가령 고은 시인의 만인보선집이 스웨덴어로 번역된다고 하자. 스웨덴어를 전공한 한국인 번역자에게 일임할 수 없는 일이다. 스웨덴어로 고은의 시가 제대로 번역되었는지 감수할 스웨덴인이 필요할 것이다. 출판사 섭외는? 책 디자인은? 작품 해설은? 몇 개 나라로 발송을? 홍보는 몇 개 국어로? 권당 천만 원 이상이 들 일이다. 국민이 낸 세금으로 이 일이 행해졌을 터인데 두 사람의 노벨문학상 수상은 이제 어려운 일이 되고 말았다.

 우리는 일본이 타지 못한 아카데미 작품상과 감독상과 각본상을 탔다. 자랑스러운 일이다. 드라마 <오징어 게임>을 몇 억이 봤다고 한다. 빌보드 싱글 혹은 앨범 차트 1위를 방탄소년단, 슈퍼엠, 스트레이 키즈, 블랙 핑크, 투모로우바이투게더 다섯 팀이 해냈다. 일본은 사카모토 큐가 유일하기에 이것도 우리가 자랑할 만하다.

 그런데 문학 쪽을 살펴보면 가슴이 아플 뿐이다. 무라카미 하루키의 소설 상실의 시대(원제는 노르웨이의 숲’)는 우리나라에서만 200만 권이 넘게, 해변의 카프카100만 권이 넘게 팔렸다. 그의 양을 쫓는 모험』 『1Q84』 『기사단장 죽이기같은 소설도 100만 권에 육박하는 판매 부수를 보였다.

 소설가 한강이 멘부크상을 받자 한국의 언론은 세계 3대 문학상 중 하나를 받았다고 대서특필했지만 공쿠르상은 프랑스 내의 문학상이고 맨부크상은 대영제국 내의 문학상이다. ‘세계 3대 문학상은 매스컴이 지어낸 말이다. 무라카미 하루키가 받은 프란츠 카프카 상, 예루살렘 상, 카탈로니아 국제상 수상자의 면면을 살펴보면 깜짝 놀랄 것이다. 이런 상을 이미 받은 하루키가 노벨문학상을 받는다면 좀 씁쓸한 일이겠지만 기적이 아니다. 우리나라 소설가 중 50개 이상의 나라에 번역되어 있는 사람이 있는가? 하루키의 소설은 45개 국가로 번역되었는데 최근에 50개국을 넘어섰다. 소설가 송영 선생이 모스크바에 다녀온 뒤에 이런 말을 했다. 90년대 초였다.

 “모스크바에서 제일 큰 서점에 갔습니다. 한국 시인의 시집이나 소설가의 소설책이 러시아어로 번역된 게 있으면 사려고 물어봤더니 없다는 겁니다. 그런데 그 서점에 쌓아놓고 파는 소설이 있어서 펼쳐보니 무라카미 하루키의 소설이었습니다. 정말 눈앞이 캄캄했습니다.”

 하루에도 몇 십권씩 팔리는 일본 작가의 소설. 소설가이기에 더욱더 참담함을 느꼈을 것이다.

 일본의 소설가 중 한국에서 지난 50년 동안 꾸준히 팔리고 있는 스테디셀러 소설가도 많다.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나쓰메 소세키, 미시마 유키오, 다니자키 준이치로, 다자이 오사무, 아베 고보, 엔도 슈사쿠, 마루야마 겐지, 아사다 지로, 요시모토 바나나, 에쿠니 가오리, 무라카미 류, 스지키 코지, 히라노 게이치로……. 그리고 히가시노 게이고가 있다. 히가시노 게이고의 소설은 거의 다 번역되어 있는데 100만 부 이상 팔린 것이 여러 권이다. 무라카미 하루키의 소설은 10권 정도가 이 땅에서 베스트셀러였는데 히가시노 게이고는 50권이 다 베스트셀러다. 판매 총량은 비슷하리라 본다. 용의자 X의 헌신나미야 잡화점의 기적은 각각 150만 권이 넘게 팔렸을 것이다. 백만 권 넘게 나갔다는 언론 보도를 접한 것이 여러 해 전이었으므로. 그의 50편 소설 중 20편 이상이 드라마로, 10편 이상이 영화로 만들어졌다. 지금까지 그가 쓴 소설의 번역본을 다 소장하고 있는 사람들이 있을 만큼 마니아층을 확보하고 있다. 인터넷서점 Yes24220일자로 들어가 보았더니 게이고의 소설을 읽고 회원 리뷰를 올린 사람들의 수가 엄청나다. 하쿠바산장 살인사건e-북판 695(양장본 개정판은 56), 라플라스의 마녀160, 가면산장 살인사건163, 나미야 잡화점의 기적150, 녹나무의 파수꾼129, 인어가 잠든 집138, 기린의 날개134, 신참자118, 매스커레이드 호텔123, 예지몽129, 성녀의 구제108명이다. 현대문학사에서 낸 라플라스의 마녀마력의 태동합본에 대해서는 206명이 리뷰를 써 올려놓았다.

 요즈음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정지아의 아버지의 해방일지는 회원 125명이 리뷰를 올려 안도의 한숨을 내쉬기는 했지만 게이고의 소설 전권을 합치면 천 명이 넘는다. 국내에 이렇게 인기 있는 소설가가 있는가?

 한국문예창작학회 국제세미나를 하러 일본의 도쿄에 갔을 때도 교토에 갔을 때도 일본인 문학 교수 여러 사람에게 물어본 것이 있다. 일본인들이 관심을 갖고 있거나 연구를 하고 싶어하는 한국의 문인이 있느냐고. 윤동주를 제외하고 관심을 갖고 있는 한국 문인은 없는 것 같다고 다들 똑같은 대답을 했다. 딱 한 사람만이 신경숙의 엄마를 부탁해와 조남주의 82년생 김지영이 각각 20만 권쯤 나간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2권을 제외하곤 없다고 덧붙였다.

 한국의 대표적인 작가 이문열의 소설은 독자들이 그의 소설책을 갖고 있는 것이 부끄럽다면서 모아놓고 불에 태우는 것이 언론에 보도되기도 했다. 정치적인 발언이랑 정치적인 행동을 왜 해서 그 문학적 명성이 불쏘시개가 되게 하는지 참 안타까웠다.

 미당문학상이 사라졌고 동인문학상, 팔봉비평문학상이 존폐의 위기에 몰려 있다. 한국문인협회에서 춘원문학상과 육당문학상을 제정하려다가 강력한 반대에 부딪혀 취소하고 말았다.

 영등포구청에서 구상문학상에 잡음이 일자 상금 5천만 원을 3천만 원으로 깎았다고 한다. 상을 주관하는 구상문학상 운영위원회에 연락을 하지 않고서. 관의 간섭을 거부할 수 없는 상황으로 만든 당사자가 사과하는 것을 보지 못했다. 어느 인터뷰 기사를 보니 논란이 있고 난 이후에 시가 쏟아져나왔다고 하면서 역사 시간이 지난 뒤에 그 시들을 내놓겠다고 했다 한다. 그럼 시인은 수난을 창작 의지로 극복한 유관순인가 잔다르크인가. ‘내 생각이 짧았다고 한마디만 했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우리는 일제 말기에 다수의 문인이 친일문학 작품 쓰기에 골몰했던 부끄러운 역사가 있다. 남과 북으로 분단이 되는 과정에서 많은 문인이 월북했고 그만큼은 아니지만 구상, 안수길, 황순원, 최인훈, 이호철, 김이석, 김광림, 장용학, 김규동, 전봉건 등의 문인이 월남했다. 국토의 분단과 함께 우리 문단이 양분되는 끔찍한 경험을 했던 것이다.

 상처가 많은 우리 문학이 이제는 세계를 향해 무엇인가 자랑할 수 있어야 하지 않을까? 일본에서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2개의 문학상 아쿠타가와상과 나오키상을 수상하지 못한 소설가가 무라카미 하루키다. 두 상 관계자들과 심사위원의 자존심은 상을 그해 최고의 작품에 주는 것이지 대중적인 인기가 있어 수상작품집을 내면 돈을 벌어다 줄 거라는 공식에 연연하지 않았다. 그럼으로써 상의 자존심과 권위를 지켰다. 히가시노 게이고는 나오키상에 다섯 번 후보에 올랐다가 여섯 번째 후보에 오른 작품으로 수상하였다. 더욱 놀라운 것은 재일 조선인 작가 4명에게 아쿠타가와상을 준 것이다. 아래 글은 다른 지면에 썼던 것인데 좀 길지만 부기한다.

 

수상자는 이회성ㆍ이양지ㆍ유미리ㆍ현월이다. 이들의 수상작은 한국에 다 번역되어 있다. 후보에 처음 오른 김사량(1938)을 비롯해 김석범ㆍ정승박ㆍ이기승ㆍ김학영ㆍ양석일 등 후보자들이 그동안 꽤 많았다. 수상작과 심사평, 당선소감이 실려 있는 문예춘추를 구해보았다. ‘공정함이 권위를 확보하고 있었다.

대한민국의 문학상 중에 10명 심사의원 각자가 쓴 심사평이 다 실리는 경우가 있는가? 문예춘추에는 다 실린다. 심사위원들이 누구의 눈치도 보지 않고 쓰기 때문에 당선작이 혹독하게 비판받는 경우가 종종 있다. 당대 제일 고명한 평론가가 나는 이 작품에 아무 망설임 없이 표를 던진다고 써도 그 작품이 다득표를 하지 못하면 탈락한다. 심지어 어느 심사위원은 A란 작품을 격찬하고 다른 심사위원은 그 작품을 맹비난하는 경우가 왕왕 있다. 유미리의 소설 가족 시네마를 마루야 사이이치, 이시하라 신타로, 이케자와 나츠키가 비판했지만 쿠로이 센지, 미우라 테츠오가 밀어서 당선이 되었다. 표가 갈리면 달랑 2표를 얻고도 당선이 되고, 공동당선작이 종종 나오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3편 이상이 같은 수의 표를 받거나 표가 다 갈리면 수상작 없음으로 발표한다. 그래서 아쿠타가와상은 수상자를 종종 내지 않는다. 한편 139회 수상자 양이는 재일 중국인인데 일본어를 모국어로 하지 않은 최초의 수상자다. 우리나라의 문학상 운영자도 이런 배포가 있으면 좋겠다. 북한이탈주민이 쓴 소설과 시가 문학상을 받을 수 있어야 하고, 한국에 시집온 연변 조선인, 베트남인, 필리핀인이 쓴 어설픈 작품이 문학지에 게재되고 올바른 평가를 받아야 한다. 해외동포들의 작품이 국내 문예지에 실리고 올바른 평가를 받을 수 있어야 한다.

() 일본에 갔을 때 텔레비전 뉴스 시간에 아쿠타가와상 수상자가 화면에 나와 수상소감을 말하는 것을 보고 신선한 충격을 받았다. ‘문학에 대한 대접이 우리나라와는 달라 솔직히 한편으로는 부럽고 한편으로는 서운했다.

 

 우리 문학이 표절과 미투와 화형식으로 얼룩지고 있을 때, 일본은 네 번째 노벨문학상 수상자를 내려고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 번역 알선과 금전적 후원, 후보자의 해외여행과 체류, 언론의 지원 등이 함께 행해지고 있다. 월드컵 4강을 우리가 열망하며 이루었는데 일본은 4인 수상을 열망하며 가능할 거라 믿고 추진하고 있다.

 신체시 해에게서 소년에게가 발표된 지 115년이 되었다. 그 역사가 만만치 않다. 우리나라는 일본의 식민지 지배, 남북으로의 분단, 한국전쟁, 이승만 독재 정권과 3명의 군 장성이 나라를 자기 멋대로 통치했던 시절, 베트남 참전과 중동 건설인력 진출에 힘을 받은 산업화, 419혁명과 광주민주화운동의 민주화를 위한 진통, 올림픽과 월드컵의 유치……. 시련과 영광의 115년 동안 생산된 좋은 작품이 결코 적지 않다. 우리 문학을 세계에 널리 알려야 하는데, 신년 벽두부터 표절이니 중복투고니 하는 말이 신춘문예 잔칫상을 어지럽히고 있다. 우리 문학은 앞으로 각고의 노력으로 우수한 문학작품을 생산, 좋은 번역가에게 의뢰하여 세계 시장에 계속해서 내놓아야 한다. 일본과의 출판문화 역조 현상을 방관하지 말아야 한다. 101 정도가 아니라 1001 정도가 되는 것 같다. 일본의 큰 서점에 가도 우리 문인의 책은 찾아보기 어렵지만 교보문고에 가보면 일본의 몇몇 작가는 코너가 따로 마련되어 있다. 우리가 언제까지 일본한테서 문학을 배워야 한단 말인가. 이제는 자긍심을 갖고 우리 문학의 선양을 위해 노력하면 좋겠다.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