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금리 시대 역발상 투자처 하이일드&시니어론

▲ 초저금리 시대다. 이런 때일수록 금리상승에 따른 리스크를 제거할 생각을 해야 한다.
초저금리 시대다. 1%대 이자율을 적용하는 정기예금도 나왔다. 하지만 금리는 어차피 또 오른다. 이런 때일수록 금리상승에 대비해 투자전략을 짜는 것도 좋다. 금리가 상승할 때 투자리스크를 헤지할 수 있는 상품에 관심을 가지라는 얘기다. 전문가들은 하이일드 채권, 시니어론을 대안으로 꼽는다.

세계 각 정부가 경쟁적으로 통화팽창정책을 펴고 있다. 미국은 양적완화정책을 연이어 내놓으며 돈을 풀고 있다. 장기침체를 겪고 있는 일본은 새 정부 출범과 함께 유례없이 강한 양적완화정책을 꺼내들었다. 거대 경제대국들이 뿌려대는 돈 때문에 다른 나라들은 통화가치가 올라가는 걸 막기 위해 ‘울며 겨자 먹기’로 통화정책에 편승해야 하는 상황이다. 통화가치가 올라가면 경상무역 조건이 나빠져서다.

실제로 일본의 양적완화정책이 펼쳐진 최근 3개월간 인도•멕시코•호주 등이 기준금리를 인하했다. 10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인하한 유럽중앙은행(ECB)이나 계속 버티다가 5월에야 기준금리를 인하한 한국은행의 결정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기준금리를 인하했을 때 우리 피부에 와 닿는 효과는 하나다. 시중금리도 같이 떨어진다는 거다. 한국은행 통계에 따르면 3월 정기예금 가중평균 금리가 3.27%로 사상 최저로 떨어졌다. 가중평균 금리는 예금액에 평균적으로 적용하는 금리다. 이런 상황에서 다른 자산으로 자금이 몰린 만도 하지만 불안정한 경제 때문에 마땅히 투자할만한 곳이 없다. 갈 곳을 찾지 못한 자금들은 낮은 이자에도 은행으로만 몰린다.

그럼 은행예금에만 돈을 묶어 놓는 게 정답일까. 아니다. 조금만 눈을 돌려보면 은행예금보다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투자처가 있다. 하이일드 채권이 대표적이다.

하이일드 채권은 신용도가 낮은 기업이 발행한다. 이 때문에 경기가 급락할 땐 원금손실 위험이 크다. 하지만 완만한 경기회복이 기대될 땐 상황이 달라진다. 하이일드 채권이 최근 몇년간 연 10~20%의 수익률을 기록한 것은 이를 잘 보여준다. 

투자처는 하이일드 채권•시니어론

물론 높아진 가격 탓에 과거와 같은 고수익을 기대할 수는 없지만 낮아진 금리환경을 감안하면 여전히 매력이 있다. 경기부양이 한창일 때도 관심을 둘 만하다. 일반적으로 금리가 상승하면 채권가격이 떨어진다. 경기가 팽창될 때 채권투자에 대한 관심이 적어지는 이유다.

그러나 하이일드 채권은 경기팽창으로 시중금리가 상승해도 리스크가 덜하다. 기업부도 위험이 줄고 신용 스프레드가 축소돼 채권금리가 하락할 가능성이 커서다. 실제로 지난해 말 경기회복 분위기가 감돌 때 미국 국채(10년) 금리는 1.55%에서 2.04%로 상승했지만 하이일드 채권 금리는 7.30%에서 6.47%로 떨어졌다.

 
금리상승 리스크를 아예 헤지하고 싶다면 시니어론을 추천한다. 시니어론은 하이일드 등급 기업의 대출채권이다. ‘리보(Li bor)+고정 스프레드 금리’를 기준으로 하는 변동금리를 제공하기 때문에 일반 채권과 달리 금리상승 리스크를 헤지할 수 있다. 시니어론의 기준이 되는 리보금리가 상승하기 때문이다. 금리가 상승하면 지불하는 이자가 함께 늘어 가격하락 위험을 막을 수 있다.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