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병선 KAIST 소프트웨어대학원 교수

기업에 독자적 플랫폼은 상당히 중요하다. 물건을 팔고 결제를 할 수 있는 플랫폼이 없다면 기업은 시장에서 생존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자금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은 대기업의 플랫폼에 얹혀 사업을 추진하기도 한다. 플랫폼을 누가 잘 만들고 가꾸느냐에 기업의 경쟁력이 달려 있다.

▲ 황병선 교수는 "앞으로 서비스·유통·광고·결제 플랫폼이 등장하고, 생태계가 형성될 것"이라고 말했다.
✚ 산업계에서 플랫폼의 중요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플랫폼의 범위도 늘어나는 것 같은데. 명쾌하게 정의해 달라.
“소비자가 있으면 시장이 있게 마련이다. 앱스토어를 떠올려보자. 소비자와 개발자가 있다. 두개의 시장을 연결하는 매개체가 플랫폼이다. 이 경우 앱스토어는 경제적 플랫폼에 해당한다.”

✚ 플랫폼에도 종류가 있는가.
“그렇다. 학계에서는 플랫폼을 두가지로 분류한다. 첫째는 기술적ㆍ경제적 플랫폼이다. 가령 컴퓨터는 기술적 플랫폼, 백화점이나 체인점은 경제적 플랫폼에 해당한다. 다른 하나는 디지털 플랫폼과 비非디지털 플랫폼이다. 대표적인 디지털 플랫폼은 앱스토어다. 비 디지털에 해당하는 것은 신용카드(돈)다. 여기서 디지털 플랫폼의 반대 개념을 아날로그 플랫폼이라고 하지 않는 것은 디지털도 아날로그도 속하지 않는 경우가 있어서다. 돈은 디지털도 아날로그도 아니다.”

✚ 플랫폼은 생태계와 다른 것인가. 두 용어를 혼합해서 쓰는 경우가 많다.
“학계에서는 의견이 엇갈리지만 플랫폼과 생태계가 다르다고 생각한다. ‘비즈니스 생태계’라는 말을 들어봤을 것이다. 먹고 먹히는 자연상태의 생태계를 차용한 것인데 비즈니스 생태계는 경쟁이 아니라 상호의존적이다.”

✚ 쉽게 설명해 달라.
“비즈니스 생태계의 참여자는 누군가에 의해 뛰어든 게 아니다.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것이다. 구글의 안드로이드는 협력사와 느슨한 형태의 계약을 맺는다. 갑과 을의 계약이 아니다. 개발자가 구글 플레이에 애플리케이션(앱)을 등록할 때 구글에 앱을 파는 것이 아니다. 구글은 마켓플레이로써 중계만 한다. 그래서 비즈니스 생태계에 참여하는 주체는 상호의존적이다.”

 
✚ 유감스럽게도 국내 제조사들은 생태계를 만들어본 경험이 없다.
“맞다. 국내 제조사들은 생태계를 조성해본 경험이 거의 없다. 하지만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이 앞으로 모든 산업의 핵심이 될 것이다.”

✚ 모바일뿐만 아니라 다른 산업에서도 생태계가 조성될 것이란 얘기인가.
“그렇다. 모바일 플랫폼이 만들어지면서 생태계가 조성된 것처럼 앞으로는 서비스 플랫폼이 등장하고, 그 생태계가 형성될 것이다. 다음엔 유통ㆍ광고ㆍ결제 플랫폼이 등장하고, 생태계가 조성될 것이다. 실제로 구글ㆍ애플 등이 결제시장에 뛰어들었다.”

✚ 국내 제조사들은 아직 모바일 생태계도 형성하지 못했는데.
“국내 기업들은 독자적인 플랫폼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다만 모바일 시장은 이미 승자구도가 명확하게 드러났다. 포화상태란 얘기다. 차선 시장인 서비스ㆍ유통ㆍ광고ㆍ결제시장에 뛰어드는 것이 좋다.”

✚ 자체적으로 플랫폼을 구축한다면 좋겠지만 플랫폼 위에 플랫폼 사업을 얹을 수밖에 없는 중소업체가 많다. 이들에게 조언을 한다면.
“플랫폼 사업자가 플랫폼 협력업체의 이익까지 갖겠다고 나서면 생태계는 발전하지 못한다. 대안은 독자적인 플랫폼으로 성장할 수 있을 만큼의 고객을 확보하는 것뿐이다.”
김건희 기자 kkh4792@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