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e point interview] 월미도 귀향대책위 한인덕 위원장

▲ 한인덕 위원장은 부당하게 빼앗긴 삶의 터전을 돌려달라며 호소했다.
1950년 인천상륙작전 당시, 대책 없이 삶의 터전을 빼앗긴 사람들이 있다. 작전의 원활함을 위해 미국 측에서 월미도 인근 주민들의 거주지를 쓸어버렸다. 62년이 지난 지금, 당시 거주자들이 생존터를 돌려 달라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누구도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다.

1950년 9월 10일. 인천상륙작전에 앞서 인천 월미산 등 월미도 지역에 대한 무력화 작전이 전개됐다. 미군은 이곳이 민간인 거주지역임에도 아무런 사전 조치 없이 네이팜탄 100여 발을 퍼부었다. 당시 100여 명이 사망했고, 폭격에서 살아남은 생존자들은 옷가지도 챙기지 못한 채 월미도를 탈출했다.

하지만 생존자들은 62년이 지난 오늘까지도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있다. 국가에 의해 생존터를 빼앗긴 사람들의 심정을 들어봤다. 월미도원주민 귀향대책위원회 한인덕 위원장으로부터다.

한 위원장은 “전쟁 전 월미산 주변으로 80세대에 달하는 주민들이 살고 있었다”며 “전쟁이 끝난 후에도 주민들이 집으로 돌아가지 못한 채 고향집 주변에 판자촌을 짓고 30년 동안 월미산만 바라보다 결국은 흩어졌다”고 말했다. 당시 원주민들은 인천시를 상대로 집으로 돌아가게 해달라고 했지만, 돌아온 답변은 “미군이 월미도에서 철수하면 귀향시켜주겠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1971년 미군이 철수한 자리에 국군이 들어왔고, 2001년에는 인천시에 토지가 매각됐다. 인천시는 이 지역을 공원으로 만들었다. 한 위원장은 “2008년 ‘진실과 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에서 미국과 한국 정부가 피해자들에게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을 권고했다”며 “지방자치단체는 월미도 원주민들의 귀향 요구에 부응하는 합당한 조치를 취할 것도 권고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 같은 권고는 전혀 지켜지지 않고 있다. 한 위원장은 “왜 권고가 지켜지지 않는지 나도 잘 모르겠다”며 답답한 심정을 토로했다. 그는 “대책위 활동을 하면서 10년 동안 여러 기관을 다니며 호소하고 울기도 많이 울었다”며 “우리가 힘이 없어서 그런 것 아닌가 생각도 했다”고 덧붙였다. 어느 기관은 “미국이 폭격한 것이니 미국에 해결 요구를 하라”는 말도 했다.

피해 보상을 위한 법정소송도 진행 중이지만 이마저도 쉽지 않다. 당시 잃어버린 재산을 입증할 근거를 법원이 제출하라고 해서다. 한 위원장은 “인천시, 국가기록원을 다 다녀 봐도 1950년 당시 토지 등에 대한 자료가 없다고 한다”며 “이런 근거 자료는 정부가 정리해 놓아야지 우리가 책임을 질 수 있는 것은 아니지 않냐”고 물었다. 그러면서 “모든 것을 우리보고 입증하라고 하니 너무나 속상하다”며 울먹였다.

월미도 원주민들이 최근 기대를 거는 것이 하나 있다. 민주통합당 문병호 의원이 월미도 사건 특별법을 발의하려는 준비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법안은 전쟁 당시 폭격의 진상을 규명하고 피해자들에 대한 정당한 보상과 생활안정을 목적으로 한다. 국무총리실 산하에 월미도 사건 진상 규명 및 피해자 보상 위원회를 두는 내용도 포함돼 있다.

문 의원은 최근 국회에서 열린 법안 제정 토론회에서 “한국 현대사는 국가의 폭력에 의해 국민이 희생당한 사건으로 점철된 역사”라며 “국가에 의해 피해를 입은 희생자의 아픔을 치유하고, 정당한 보상이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 같은 법안 준비에 대해 한 위원장은 “정치적으로 주민들의 안타까움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에 마지막 기대를 걸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