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필수의 Clean Car Talk
차등요금제 적용한 공용 급속충전기
충전 급한 운전자는 이용 수월해져
대신 심야용 완속충전기 확대 필요

올해 들어 전용플랫폼을 활용한 신형 전기차가 속속 등장하면서 전기차 판매량도 늘고 있다. 전기차의 빠른 진화가 소비자를 유혹하고 있는 거다. 하지만 보완할 점은 여전히 숱하다. 특히 충전 인프라 문제는 소비자들이 전기차 구입을 망설이게 만드는 심각한 장애 요인이다. 최근 정부가 전기차 충전요금 특례할인을 대폭 축소하자 전기차 유저들이 ‘멘붕’에 빠진 이유가 여기에 있다. 하지만 이 정책은 바람직한 방향이다.

공용 급속충전기에 적용했던 전기차 충전요금 특례할인이 7월부터 대폭 줄어들었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공용 급속충전기에 적용했던 전기차 충전요금 특례할인이 7월부터 대폭 줄어들었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2021년은 전기차 원년이라 해도 좋을 만큼 ‘가성비’ 높은 전기차가 쏟아지고 있다. 기존 내연기관차의 뼈대를 재활용한 구형 전기차와 달리, 전용플랫폼(차체)을 사용해 성능을 대폭 끌어올린 신형 전기차가 본격적으로 등장하면서다. 덩달아 전기차를 구매하는 소비자도 늘어나고 있다. 한국자동차수입협회와 카이즈유 데이터 연구소에 따르면 올해 1~6월 국내 전기차 판매량은 2만6632대로 전년 동기(2만2270대) 대비 19.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시장의 빠른 진화에도 전기차 구입을 망설이는 소비자는 여전히 많다. 전기차는 내연기관차에 비해 주행거리가 짧은 데다 충전을 위한 인프라도 부족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이런 단점들이 전기차 보급 활성화의 걸림돌로 작용하자 정부는 그동안 ▲충전요금 할인 ▲고속도로 통행료 감면 등 운행상의 인센티브 정책을 통해 소비자를 유인해왔다. 특히 전기차 충전비용이 내연기관차 운행에 드는 유류비보다 낮다는 점은 차 유지비를 중요하게 여기는 소비자에게 상당한 메리트로 여겨졌다.   

그런데 최근 전기차 유저를 ‘멘붕’에 빠뜨린 소식이 전해졌다. 정부에서 친환경차 보급정책의 일환으로 마련했던 ‘전기차 충전요금 특례할인’을 단계적으로 축소하기로 결정한 거다. 이에 따라 지난 5일부터 공공장소에 설치된 전기차 급속충전기 요금이 현행 1㎾h당 225.7원에서 15~21%까지 상승했다. 더욱이 내년 7월부터는 공용 급속충전기 특례할인 혜택이 완전히 끝난다. 언뜻 보면, 전기차를 구입하는 이점이 사라지는 것과 다름없는 셈이다. 하지만 속을 들여다보면 그렇지 않다.

이번 충전요금 개편의 목적은 사실상 요금체계의 세분화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공용 급속충전기 요금(1㎾h당 225.7원)은 출력기의 규모와 상관없이 모두 동일한 가격으로 책정했는데, 이번 개편을 통해 충전기 출력에 따라 요금을 차등 적용하겠다는 거다.[※참고: 개편 후에는 충전기 출력이 50㎾인 경우 사용요금이 1㎾h당 292.9원, 100㎾ 이상인 경우 309.1원으로 상승했다.]         

충전기 용량에 따라 충전에 소요되는 시간이 다른 만큼 사용요금에 차이를 둔 것은 올바른 방향으로 보인다. 충전 속도가 빠를수록 요금도 높아지는 셈인데, 당장 충전이 급하지 않은 운전자는 충전 속도는 느리지만 요금이 저렴한 충전기를 사용할 공산이 크다. 이럴 경우 상대적으로 충전이 시급한 운전자가 빠른 속도의 충전기를 사용하기 위해 기다리는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을 것이다. 공용 급속충전기의 목적이 일상적인 충전보다 비상용ㆍ장거리 운행 시 연계 충전용인 만큼, 요금체계 개편을 통해 본래 취지에 알맞은 충전기 사용을 유도할 수 있다는 얘기다.  

물론 전기차 소비자를 위해 정부가 해야할 일은 숱하다. 공공 영역에서 전기차 유저들의 충전비용 부담이 높아진 만큼 이를 상쇄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그 일환으로 필자는 심야용 완속충전기를 확충하고 사용요금은 대폭 낮출 것을 권한다. 전력 사용량이 낮은 야간에 잉여 전력을 충전에 활용함으로써 소비자의 요금 부담을 덜어주자는 거다. 이를 통해 낮 시간 충전 스트레스를 털어내는 부수적인 효과도 누릴 수 있다. 아울러 심야용 완속충전기 보편화는 소비자들이 전기차의 특장점인 낮은 유지비를 계속해서 누리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전기차 보급 대수가 늘어날수록 전력 소모량이 많아지는 만큼 충전요금 인상을 무조건 피할 순 없다. 이럴수록 정부의 세심한 정책 설계가 긴요하다. 환경적인 뒷받침만 있다면 소비자들은 언제든지 전기차를 선택할 준비가 돼있다. 정부가 미래를 내다보는 정책으로 전기차 대중화를 앞당기는 ‘가속페달’을 밟았으면 한다. 

글=김필수 대림대 자동차학과 교수
autoculture@hanmail.net | 더스쿠프

정리=윤정희 더스쿠프 기자
heartbring@thescoop.co.k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