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버스 주차장 확보 등 현안거리 수두룩

▲ 서울 시내 면세점들은 관광버스 주차시설을 갖추지 못해 극심한 교통체증을 유발하고 있다.[사진=더스쿠프 포토]
서울 시내면세점 특허사업자 발표가 코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대형버스 주차장 확보 등 교통 문제가 막판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가뜩이나 주차난으로 인한 교통체증 때문에 도심 주변이 혼잡한 상황에서 면세점 후보업체들까지 후보지를 도심권으로 정하면서 상황이 더 악화될 것으로 예상돼서다.

2012년 이후 급증한 중국인 관광객이 서울 남산과 남대문, 명동, 면세점 주변 지역에 넘쳐나면서 극심한 교통정체와 관광버스 불법 주정차 등으로 시민들이 각종 불편을 겪고 있다. 중국인 관광객 대부분이 단체관광이다 보니 관광버스로 이동하는 반면, 이를 수용할 주차공간을 비롯한 제반시설은 부족한 실정이다.

실제로 서울 시내 면세점 가운데 매출이 가장 많은 롯데면세점 소공점은 관광객을 위한 버스가 평일 200여대, 주말 300여대에 달한다. 하지만 소공점 주차장에 한번에 주차할 수 있는 대형버스 수는 15대 정도다. 최대 2시간 머무는 것을 전제로 하루 5~6번 자리바꿈을 한다고 가정할 때, 최대 수용능력은 75~90대 수준에 불과하다는 얘기다. 때문에 주변은 늘 주차공간을 찾지 못하는 관광버스로 넘쳐나고 교통 혼잡이 발생하고 있다.

인근 광화문 부근 동화면세점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동화면세점 부근은 평일과 주말 할 것 없이 주차공간을 찾는 관광버스들로 늘 혼잡하다. 올해 4월말까지 소공동과 명동 일대의 관광버스 불법 주ㆍ정차 단속 건수만 해도 월평균 152건에 달한다. 지난해 월평균 76건(총 912건)과 비교하면 100% 이상 증가한 셈이다.

특히 서울 등 대도시 면세점의 주차장은 대형버스를 댈 수 없어 이미 심각한 단계를 넘어섰다. 서울시 교통 혼잡비용이 연간 10조원에 육박하고, 이중 약 6조∼7조원이 도심권 교통 혼잡비용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동안 서울시는 대표적 도심교통 혼잡구역인 남대문로와 소공로를 포함하는 6대 교통 혼잡지역을 지정해 교통관리 대책을 강화하고, 해당 지역 모니터링을 강화해 교통수요 예측, 교통유발 부담금 징수 등 수요ㆍ공급 차원의 다각도 관리를 하고 있지만 역부족인 상황이다.

서울시는 2018년까지 관광버스 주차장을 571대에서 927대로 크게 확대하기로 했지만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도심에서 버스 주차시설 확대는 ‘하늘의 별 따기’ 수준이라서다. 이에 서울시는 최근 국토교통부에 신규 면세점 허가 때 관광버스 주차공간 확보를 우선 판단기준으로 고려해 달라고 건의한 상태다.

서울시가 발간한 ‘2013 서울 통행 속도 보고서’에 따르면 숭례문-한국은행-명동-을지로-청계천-광화문을 잇는 남대문로의 평균속도는 16.6㎞다. 서울 전체 도로의 일평균 통행속도인 26.4㎞보다 9.8㎞나 느리다. 이런 상황에서 시내 면세점이 추가로 도심에 생기면 더 많은 중국인이 더 긴 시간 동안 도심 일대에 머물 가능성은 불 보듯 뻔하다. 기본적인 주차 시설이 완비돼 있지 않은 상황에서 서울 도심이 1년 내내 주차장이 될 수도 있다는 얘기다. 외국인 관광객들은 물론, 서울 시민들도 불편할 수밖에 없다.

시민들 입장에선 돈은 면세점이 벌고, 사회적 비용은 우리가 부담해야 하냐는 볼멘소리도 나올 수 있다. 시내면세점 허가를 내줄 관세청이 심사평가 요소 중 그 어떤 부분보다 대형버스 주차시설 확보 등 교통 체증과 관련된 제반 문제에 대해 세심한 심사를 해야하는 이유가 여기 있다.
김미선 더스쿠프 기자 story@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