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비용 절감에 사고율까지 ‘뚝~’

▲ 무인자동차가 보급되면 산업 전반에 혁신이 일어날 공산이 크다.[사진=뉴시스]
얼마 전 구글의 무인자동차가 사고를 냈다. 누가 책임을 져야 하는가. 보험처리는 또 어떻게 해야 하는가. 머리가 복잡해진다. 그렇다. 무인차는 이제 단순한 자동차가 아니다. 혁신이다. 작은 무인차 한 대가 산업지형뿐만 아니라 일상생활까지 뒤흔들 공산이 커서다. 더스쿠프(The SCOOP)가 무인차의 나비효과를 분석해 봤다.

적들에게 둘러싸여 곤경에 빠진 경찰. 그를 구출하기 위해 자동차 한대가 돌진한다. 적들이 갖가지 화포로 공세를 펼침에도 자동차는 멈추지도, 속도를 줄이지도 않는다. 탁월한 운전솜씨에 공포감을 느낀 적들은 꽁무니를 내뺀다. 그런데 이게 웬걸, 이 자동차에는 운전자가 없다. 스스로 움직이는 ‘무인차’였던 거다. 첩보영화에 단골로 등장하는 이 장면을 현실에서 볼 수 있을 듯하다. 무인자동차가 더 이상 ‘미래차’가 아니라서다.

올해 1월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IT 전시회 CES에서 현대차를 비롯한 10개의 글로벌 완성차업체와 470여개의 부품 업체가 자율주행차량 관련 기술을 선보였다. 여기엔 구글을 비롯한 IT업체들도 있었다. 완성차업체뿐만 아니라 IT업체까지 무인차 시장에 뛰어들었다는 얘기다. 글로벌 컨설팅 기업 매킨지 앤드 컴퍼니는 “2020년부터는 일반 소비자 시장에서 자율주행차량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완성차 업체와 IT업체가 무인차 시장에 신경을 곤두세우는 이유는 간단하다. 무인차가 사회 전반에 혁신을 몰고올 공산이 커서다. 가령, 도로에 무인차만 다닌다면 음주운전 사고율이 뚝 떨어질 것이다. 교통시스템을 정확하게 예측하고 공유하기 때문에 ‘교통체증’도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 이는 배기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효과로 이어진다. 미국의 비영리단체인 이노운송센터는 현재 차량의 50%를 무인차로 대체하면 연간 2000억 달러(약 257조원)가량의 사회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이런 ‘도로 위 작은 변화’는 산업 전반을 뒤흔들 것이다. 특히 운송차가 기반인 물류업계가 ‘태풍의 눈’ 속으로 들어갈 확률이 높다. 이미 미국의 인터넷 종합 쇼핑몰 아마존은 물류 시스템에 무인차를 도입했다. 이 회사 물류창고 10곳에서는 1만5000대 이상의 로봇이 돌아다니고 있다. ‘키바(KIVA)’라는 이름의 이 로봇은 물류창고 안에서 물품보관ㆍ운반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사실상의 무인차다.

제어센터에서 지령이 떨어지면 원하는 상품을 넣은 선반으로 최단거리로 이동해 선반 자체를 담당자에게 전달해 준다. 아마존은 “2012년 키바 시스템을 적용한 뒤 2년 동안 약 9억 달러의 인건비를 절감했다”면서 “작업시간이 하루 평균 2시간 단축되면서 생산성도 크게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무인차를 반기지 않는 산업도 있다. 자동차보험 산업이 대표적이다. 무인차가 도로를 달리면 사고율이 크게 줄어들 게 분명해서다. 혹여 사고가 나더라도 보험사 입장에서는 배상책임이 불분명하다. 기존 보험 약관으로는 기계인 무인차에 책임을 묻기 어렵기 때문이다. 당연히 비용처리도 골칫거리다. ‘자동차 보험이 없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업계 관계자는 “지금도 차량에 안전 시스템을 추가하면 보험료가 할인된다”면서 “무인차가 대중화되면 사고율이 현저하게 줄어 자동차보험이 불필요해질 가능성이 높다”고 꼬집었다. 작은 무인차가 모든 산업계의 지각을 뒤흔들 것이라는 얘기다. 무인차의 ‘나비효과’는 이미 시작됐다.
고준영 더스쿠프 기자 shamandn2@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