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스쿠프 세꼭지 뉴스
7월 세계 반도체 매출 454억 달러
임원 배만 불린 산자부 산하 기관들
부동산 매수심리에 급증하는 대출

일부 우려에도 세계 반도체 산업이 역대 최고 매출액을 달성했다.[사진=뉴시스]
일부 우려에도 세계 반도체 산업이 역대 최고 매출액을 달성했다.[사진=뉴시스]

“올해만 세 번째” 
매출 기록 또 경신 


세계 반도체 매출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미국 반도체산업협회(SIA)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7월 세계 반도체 산업은 총 454억 달러(약 53조원)의 매출액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352억 달러) 대비 29.0%, 전월(445억 달러) 대비 2.0% 증가했다.

특히 SIA가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1976년 이래 역대 최대 실적이다. SIA는 세계반도체무역통계기구(WSTS)가 집계한 자료를 기반으로 통계를 내는데, 여기엔 미국 반도체기업의 98%, 그 외 반도체기업 3분의 2의 매출이 반영되고 있다. 

세계 반도체 산업이 역대 최고 매출 기록을 다시 쓴 게 올해만 세번째다. 지난 5월 436억 달러를 달성해 2018년 10월에 세운 최고 기록(421억 달러)을 뛰어넘고, 6월에는 445억 달러의 매출을 올려 또한번 신기록을 갈아치웠다. 

8월 실적도 기대해볼 만하다. 유럽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매출 성장세가 이어지고 있어서다. 지난 8월 유럽 지역 반도체 매출액은 전월 대비 0.8% 감소했지만 미국, 일본, 중국, 아시아태평양 및 기타 지역에선 각각 4.2%, 3.2%, 1.2%, 2.0% 증가했다. 

매출 기록을 줄줄이 갈아치우고 있어서인지 반도체 업황을 둘러싼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공급이 수요를 따라잡아 성장세가 고점에 다다랐다”는 것이다. 반도체 업황을 정밀하게 살펴봐야 하는 이유다. 


고준영 더스쿠프 기자
shamandn2@thescoop.co.kr


부채 늘었는데 
임원 연봉 쑥쑥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공공기관들이 재무구조가 나빠지는 상황에서도 임직원 연봉은 매년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권명호 국민의힘 의원실이 산자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산자부 산하 39개 공공기관의 총부채는 2018년 181조7768억원에서 2020년 198조3077억원으로 2년 만에 16조5309억원(9.1%) 늘었다.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산자부 산하 공공기관의 부채가 9.1% 늘어날 때, 임원 평균 연봉은 9.9% 증가했다.[사진=뉴시스]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산자부 산하 공공기관의 부채가 9.1% 늘어날 때, 임원 평균 연봉은 9.9% 증가했다.[사진=뉴시스]

이 기간 기관별 부채를 보면 한국전력공사는 53조4046억원에서 59조7720억원으로 6조원 이상, 한국수력원자력은 30조6530억원에서 36조784억원으로 5조원 이상 증가했다. 한국석유공사도 17조4749억원에서 18조6449억원으로 1조원 넘게 늘었다. 한국광물자원공사도 5조9241억원에서 6조7535억원으로 1조원 가까이 부채가 불었다.

이렇게 부채가 늘어난 덴 정규직 증가로 인건비 부담이 커진 탓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39개 공공기관 정규직 직원은 2018년 8만1929명에서 2020년 8만6609명(연평균 2.8%)으로 증가했고, 같은 기간 전체 인건비는 6조3773억원에서 7조1007억원(연평균 5.7%)으로 늘었다. 

문제는 임원 연봉도 함께 불어났다는 점이다. 이들 공공기관의 임원 평균 연봉은 2018년 1억5684만원에서 2020년 1억7252만원으로 9.9%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직원 평균 연봉은 7644만원에서 7831만원으로 2.4% 늘어나는 데 그쳤다. 임원 평균 연봉 증가율이 직원 평균의 4배였다는 거다. 

김정덕 더스쿠프 기자
juckys@thescoop.co.kr


집값 고점 경고에도
여전한 ‘매수 심리’


주택 매매 수요 증가세가 이어지면서 지난 8월 주택담보대출이 큰 폭으로 늘어났다. 한국은행이 최근 발표한 ‘2021년 8월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8월말 기준 은행권 가계대출 잔액은 1046조3046억원을 기록했다. 전달(1040조1323억원) 대비 6조1723억원 증가했다.

 

8월 가계대출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사진=뉴시스]
8월 가계대출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사진=뉴시스]

특히 전세대출 등 주택담보대출이 같은 기간 5조8686억원 늘었는데,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4년 이후 네번째로 큰 증가폭이다. 8월 전국 아파트 입주물량이 3만2000호 쏟아지는 등 주택 매매ㆍ전세자금 수요가 이어진 게 영향을 미쳤다. 정부가 ‘집값 고점’ 경고를 하고 있는데도 부동산 매수심리가 줄지 않은 셈이다. 

더 큰 문제는 일부 대출 수요가 제2금융권으로 흘러가면서 ‘풍선효과’까지 나타나고 있다는 점이다. 금융위원회가 9일 발표한 ‘2021년 8월중 가계대출 동향(잠정치)’에 따르면 전체 금융권 가계대출은 전달 대비 8조5000억원(8월 기준) 증가했다. 전달 가계대출 증가액(15조3000억원)보다는 줄었지만 이는 청약증거금 반환에 따른 일시적 영향이란 분석이 많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지난 7월 시행한 차주별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효과는 9월부터 가시화할 것으로 예상한다”면서 “은행권 신용대출 규제 영향으로 대출 수요가 제2금융권으로 이동하는 추세는 앞으로도 지속할 전망이다”고 설명했다. 

이지원 더스쿠프 기자
jwle11@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