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스쿠프 Infographic
중고거래 플랫폼 시장 폭발적 성장
거래금지 품목 불법유통 인지 낮아

중고거래 플랫폼 시장이 성장하고 있지만 그만큼 해결해야 할 숙제도 많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중고거래 플랫폼 시장이 성장하고 있지만 그만큼 해결해야 할 숙제도 많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13년 만에 6배 이상 성장한 시장이 있다. 중고거래 플랫폼 시장이다. 고물가 기조가 이어지고 합리적인 소비를 추구하는 이들이 늘면서 이 시장은 2008년 4조원에서 2021년 24조원으로 성장했다(한국인터넷진흥원). 사실상 중고나라(2003년)만 있던 시장에 번개장터(2011년), 당근마켓(2015년)이란 사업자도 차례로 등장했다. 

그중 당근마켓의 성장세는 폭발적이다. 2015년 지역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문을 연 당근마켓은 지난해 기준 거래액이 1조원(업계 추산)에 이른다. 이용자 수도 1844만명(와이즈앱·리테일·굿즈의 9월 ‘가장 많이 사용하는 중고앱’ 설문조사 결과)으로, 번개장터(294만명), 중고나라(111만명)를 멀찌감치 따돌리고 1위를 차지했다(표❶).

몸값도 몰라보게 커졌다. 지난해 국내외 투자자로부터 1800억원의 투자를 받을 땐 당근마켓의 가치가 3조원으로 매겨지기도 했다. 2019년 160억원을 투자받을 때 기업가치가 2000억~3000억원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2년 만에 몸값이 10배 이상 뛰어오른 셈이다.

당근마켓이 사람들을 사로잡은 첫째 강점은 ‘근거리 거래’가 가능하다는 점이었다. 점점 수가 많아지는 거래 품목도 한몫했다. “당근마켓엔 없는 게 없다”는 얘기가 나올 정도였다.

하지만 엄밀히 따지면, 당근마켓에 없는 게 없어서는 안 된다. 이는 당근마켓뿐만 아니라 중고나라, 번개장터도 마찬가지다. 한국소비자원과 소비자주권시민회의에 따르면 최근 1년간(2021년 5월~2022년 4월) 중고거래 플랫폼 4곳(당근마켓·번개장터·중고나라·헬로마켓·가나다순)에선 총 5434건의 불법 거래가 이뤄졌다.

건강기능식품이 5029건으로 가장 많았고, 화장품(134건), 의약품(76건)도 그 뒤를 이었다(표❷). 유산균·비타민 등 건강기능식품은 영업신고를 해야 판매가 가능한데, 아무런 신고 없이 거래가 이뤄지고 있는 거다. 화장품을 소분해서 판매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 역시 불법이다.

문제는 물건을 파는 사람도, 사는 사람도 이를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는 거다. 한국소비자원 조사 결과에 따르면, 거래금지 품목을 인지하고 있는 건 전체 응답자 중 54.1% 그쳤다. 불법 유통에 따른 제재도 딱히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 중 56.0%는 “거래금지 품목을 유통한 데 따른 제재가 없었다”고 밝혔다(표❸). 인지하지 못하는 사이 불법 유통이 판을 치고 있는 셈이다. 

촘촘하지 못한 관리 시스템은 이런 문제를 더욱 키울 수 있는 소지가 있다. 가령, 전자담배·쓰레기봉투도 중고거래 플랫폼 내 거래금지 품목인데, 이를 ‘전담’ ‘쓰봉’ 등 약칭으로 올려서 판매하면 감시망을 피할 수 있어서다. 여기서 진화해 상품명을 ‘전1담’으로 올려 판매하는 이들까지 등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참고: 전1담은 전자담배의 약어인 ‘전담’에 숫자 1을 끼워 넣은 것이다. 이렇게 하면 중고거래 플랫폼의 검색어 차단 기능을 피할 수 있다.]

류연호 소비자주권시민회의 간사는 “중고거래 플랫폼이 불법거래 유통 장소로 전락할 수 있다”면서 “플랫폼 스스로 주기적으로 모니터링을 하는 등 감시 체계를 더욱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미란 더스쿠프 기자
lamer@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