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읽는 이순신공세가 (57)

의왕 행재소에 있던 선조와 군신들은 불안에 떨고 있었다. ‘일본 수군이 순신 함대를 멸하고 서쪽으로 오고 있다’는 소문이 나돌았기 때문이다. 바로 그때 전라도사 최철견이 감사 이광의 명을 받아 좌수사 이순신이 견내량 한산도 사이에서 대승전한 첩서를 갖고 행재소로 왔다. 선조는 그제야 기뻐하며 한시름을 놓았다.

▲ [사진=더스쿠프 포토]
한산도 대첩에서 패전한 일본 수군의 배는 대선 2척, 중선 7척, 소선 5척 합 14척만이 남았다. 이들은 원균의 진을 돌파, 오아포 앞바다를 통해 달아났다. 원균은 적장의 돌진에 겁을 내어 혼을 잃고 슬그머니 비켜 주었다. 이 모습을 본 이억기, 이운룡 등은 원균을 욕하고 분기를 참지 못해 적을 추격하였다. 적선은 대해를 빠져나와 매미도(경남 통영시 한산면 매죽리의 섬) 방향으로 달아나 버렸다. 이때 적의 장수들은 풀이 죽어 한성으로 돌아갈 때 원통해하였다. 그들의 마음이 담겨 있는 한시의 한토막이다.

이 시를 읽은 순신은 다음과 같이 말하며 탄식했다. “일본이 명분 없는 전쟁을 일으켜 이웃나라를 침략해 무고한 양국 백성을 죽게 하다가 필경엔 명나라의 출병이 있으리라는 뜻으로 이 시를 지어 수길을 원망하는구나!” 그 무렵, 한성에 남아 있던 일본 제장들은 이순신에게 또 대패했다는 소식을 들었다. 반면 순신은 전함대를 몰고 승전고를 올리며 예기당당하게 견내량 안바다로 돌아와 진을 치고 밤을 지냈다. 하지만 야밤에도 배 4~5척이 바다를 떠돌아다녔다. 낮에 공을 세우지 못한 원균이 바다에 떠다니는 적의 시체를 찾아 죽은 목이라도 베고 있었던 거다. 싸움이 끝나면 순신 모르게 조정에 공을 보고하자는 비루한 생각이었다. 조정에 원균을 진짜 장수로 알고 챙겨주는 이항복(서인), 이산해(동인) 같은 무리가 있었기 때문이다.

원균이 비루한 행동을 일삼고 있을 때 순신은 갑옷도 벗지 않은 채 잠을 청했다. 바로 그때 아득한 밤하늘에 기러기와 물새떼가 높이 떠 울며 날아온다. 순신은 돌연 일어나 북과 나팔을 울리도록 명命하여 삼군의 잠을 깨웠다. 또한 여러 장수를 자신의 배로 불러들여, 이렇게 당부했다. “적이 원래 속임수가 많다. 또한 금일의 패전을 보복하기 위해 우리가 잠든 틈을 타 야습을 할 듯하다. 다들 준비하였다가 응전하라.”

▲ 순신은 잠든 삼군을 깨우며 적의 야습에 대비하라고 당부했다. [사진=더스쿠프 포토]
삼도 병선은 고함을 지르며 일제히 달려들어 포문을 열고 싸움을 시작하였다. 적은 크게 놀라 뱃머리를 돌려 오던 방향으로 달아났다. 다음날 이른 아침에 삼도의 대소제장이 순신의 귀신 같은 도략을 듣기 위해 상선에 모여들었다. 순신은 빙그레 웃으며 “그건 어렵지 않은 것이오. 내 한번 시험해 본 것이 우연히 들어맞음이오”라며 고시 일수를 읊는다. 고시를 모두 읽은 순신은 이렇게 말을 이었다. “원래 밤이 깊어지면 기러기와 물새들이 높이 뜨는 일이 없소. 조류는 밤눈이 어둡기 때문이오. 그런데 지난밤에는 기러기와 물새들이 높이 떠 날아오르니 정녕코 적선이 엄습하여 물새들이 놀라 날아오른 것이라 여겼오. 격물치지라는 것이 이러한 게 아니겠소?”

이순신은 그로부터 수년후 늦가을에 한산도 제승당에서 일수시를 지어 담담한 심사를 나타내니, 그 시는 이러했다. 명재 윤증이 시를 지어 추화追和하니 아래와 같다. “지금 나라의 남북 적 때문에 근심이 가득하나 수치를 아직 씻지 못하였다. 그러니 사람들이 장군을 그리는 마음은 오래되어도 다하지 않는다. 우리 같은 무리들은 무딘 칼일 따름이다.”

다시 한산도 승첩 다음날로 돌아와보자. 적군의 시체가 넘쳐났다. 한산도 부근에 사는 백성들이 그 수급을 베어 순신의 함대에 찾아와 바쳤다. 순신은 전라좌수영 대장으로서 경상도에서 벌어진 전투의 댓가를 받을 수 없어 해당 지방의 대장인 원균에게 주라고 일렀다. 수급을 좋아하는 원균은 좋아서 날뛰었다. 그중 일부는 순신에게 다시 바쳤지만 졸지에 전공이 이억기를 능가하는 수준까지 됐다.

한산도 승첩의 장계가 의주 행재소에 도달한 건 그로부터 10여일 후인 7월 하순께였다. 적막한 행재소에서 조선 군신들은 일본군이 밀려들어 오지 않나 마음을 졸이고 있던 때였다. “일본 수군이 남방연해에서 순신의 수군을 멸하고 서해를 오고 있다”는 소문 때문이었다. 이때 전라도사 최철견이 감사 이광의 명을 받아 좌수사 이순신이 견내량 한산도 사이에서 대승전한 첩서를 갖고 행재소로 왔으니, 그 기쁨이 오죽 했겠는가. 후에 남파 홍우원은 이를 이렇게 시에 남겼다. <다음호에 계속>
이남석 발행인 겸 대표 cvo@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