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불매운동 그 後

지난 2월 9일 10개의 소비자단체를 중심으로 홈플러스 불매운동이 시작됐다. 경품 응모와 회원카드 가입 등을 통해 수집한 고객 개인정보를 보험사에 불법으로 판매한 혐의가 밝혀져서다. 소비자단체의 불매운동은 계속되고 있지만 홈플러스 측은 의미 있는 답을 하지 않고 있다. 관련 형사재판에서 무죄를 주장하고 있을 뿐이다.

▲ 홈플러스 불매운동의 불씨는 아직 꺼지지 않았다. [사진=뉴시스]

올 2월 1일. 도성환 홈플러스 사장과 홈플러스 임직원 6명이 불구속 기소됐다. 개인정보를 불법 판매한 혐의에서다. 홈플러스는 2011년말~2014년 7월 경품 응모를 통해 712만건의 소비자 개인정보를 수집했다. 이를 보험사에 148억원을 받고 팔았다. 회원카드 가입으로 수집한 1694만건의 개인정보로도 83억5000만원을 챙겼다. 총 2406만건을 개당 1980~2800원에 거래, 231억 이상의 부당이득을 올린 거다.

소비자들은 뿔이 났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에 소속된 10개 소비자단체를 중심으로 홈플러스 불매운동이 시작됐다. 이후 운동은 전국 지점 곳곳에서 펼쳐졌다. 그로부터 6개월이 지난 지금도 불매운동은 끝나지 않은 상태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홈페이지에는 ‘홈플러스 더 이상 이용하지 맙시다’는 문구의 링크가 여전히 걸려 있다.

소비자단체들이 홈플러스에 대국민 사과와 대책 마련, 피해보상 등을 줄기차게 요구했지만 홈플러스가 책임 있는 답변을 하지 않고 있어서다. 법적 소송도 진행 중이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지난 7월 7일 개인정보 유출 피해 소비자 684명에 대한 손해배상청구소송을 제기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도 6월 30일 1074명의 홈플러스 회원과 함께 홈플러스와 보험사를 상대로 손해배상청구소송을 제기했다.

불매운동이 사그라지지 않은 이유는 또 있다. 납품업체 갑질 논란이다. 홈플러스는 2013년 4월~2014년 2월 닭강정 납품업체 종업원을 전국 37개 매장에서 근무하게 했다. 인건비 전액은 납품업체가 부담하도록 했다. 이는 대규모 유통업법으로 금지돼 있다. 이에 따라 6월 14일 공정거래위원회는 홈플러스에 과징금 3억5700만원을 부과했다.

 

현재 홈플러스는 매각 절차가 진행 중이다. 매각이 완료되면 홈플러스의 각종 법률 책임은 인수업체에 양도된다. 그러나 매각주체 영국 테스코나 인수업체가 책임을 회피할 우려가 크다. 소비자단체협의회 관계자는 “홈플러스 인수 절차에서 소비자를 위한 해결책이 마련되길 바란다”며 “이를 위해 소송전에 더 적극적으로 대응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홈플러스 측은 불매운동에 의미 있는 대응을 하지 않고 있다. 지난 3월 도성환 사장은 주요 신선식품을 연중 할인 판매하겠다는 내용이 포함된 ‘4대 혁신안’을 발표했지만 ‘전형적인 소비자 기만 행위’라는 비판을 받았다. 경실련은 “개인정보 유출 대책 없이 시민의 관심을 할인 행사 등으로 쏠리게 하는 혁신을 운운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논란 직후 홈플러스의 홈페이지에는 ‘경품행사 건과 관련하여 고객님께 깊이 사과 드립니다’는 문구의 팝업창을 띄웠지만 그뿐이었다. 도성환 사장 등 임원진의 형사 재판은 진행 중인데 무죄를 주장하고 있다. 불매운동의 불씨는 꺼지지 않았지만 홈플러스는 여전히 끄떡없다. 불매운동의 불편한 현주소다.
박소현 더스쿠프 기자 psh056@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