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대 부부 재무설계 下
재무설계의 핵심은 명확한 목표설정
대출 등 불필요한 지출부터 정리해야

재무 목표를 세우는 일은 중요하다. 명확한 목표가 있어야 돈을 모으기가 더 수월해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어떤 목표를 우선해야 할지 갈피를 잡지 못하는 이들이 적지 않은데, 알고 보면 원칙은 간단하다. 급한 것부터, 이자를 만들어내는 대출금부터 목표로 삼으면 된다. 더스쿠프(The SCOOP)와 한국경제교육원㈜이 한 부부의 재무 목표설계를 도왔다.

사업을 하는 게 아니라면 대출금은 빨리 갚을수록 이득이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사업을 하는 게 아니라면 대출금은 빨리 갚을수록 이득이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재무설계 2편 Review = 당첨된 분양권을 어떻게 할지를 두고 옥신각신한 양은수(가명·40)씨와 한은희(가명·39)씨 부부. 아내 한씨는 어떻게든 내 집 마련을 하고자 분주하게 뛰어다니지만 남편 양씨는 분양권을 팔고 그 돈으로 재테크를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누구의 말이 맞는 걸까. 일단 현재의 상황을 살펴보자. 분양권의 가격은 4억원이다. 부부는 현재 계약금 4000만원과 중도금 2억4000만원을 치렀고, 이 과정에서 전세 아파트(2억원)에서 나와 월세 아파트(계약금 7000만원)에 들어갔다. 아직 남은 1억2000만원 잔금을 지불해야 하는데, 대출 외에는 뾰족한 수가 없다. 이런 이유를 들며 남편은 “지금 집을 구하는 건 시기상조”라고 말했는데, 아내도 이 점에는 동의했다.

그렇다고 분양권을 팔아 주식에 투자하자는 남편의 말을 따르기도 쉽지 않다. 남편의 주식투자 실적이 신통치 않았기 때문이었다. 비상금과 지인에게 빌린 돈을 합쳐 3000만원을 털어 넣었지만 반년째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다. “조만간 오를 것”이라는 남편의 말만 믿기에도 무리가 있다.

두 사람의 의견은 각자 입장에서 일리가 있지만, 판단은 현재의 상황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필자는 2차 상담에서 아내의 손을 들어줬다. 40대에 접어든 부부에겐 공격적인 투자보다는 안전하게 돈을 불리는 게 더 낫다는 조언도 건넸다. 이 점을 남편도 수용했고, 두 사람은 앞으로 분양권 잔금을 낼 수 있는 준비를 하기로 결정했다.

■재무설계 최종편 = 그럼 이제 부부의 재무 상황을 되짚어보자. 부부의 월 소득은 700만원으로, 대기업에 다니는 남편이 혼자서 가계를 책임지고 있다. 지출은 정기지출 654만원, 비정기 지출 월평균 58만원, 금융성 상품 50만원 등 총 762만원이다. 부부는 월 62만원씩 적자를 보고 있다.

그렇기에 1·2차 상담에선 지출을 줄여 여유자금을 확보하는 데 집중했다. 두 사람은 생활비(45만원), 보험료(59만원), 자녀 교육비(40만원), 통신비(15만원) 등 159만원을 줄이는 데 성공했다. 3만원이었던 자녀 용돈은 부족하다고 판단해 10만원으로 7만원 늘렸다. 이를 모두 계산해 보면 부부는 62만원 적자에서 90만원 흑자를 만드는 데 성공한 셈이 된다.

하지만 문제가 있다. 상담 초기에 부부는 새 아파트 입주 시 가구 구매→자녀 교육비 마련→노후 준비→입주 후 대출 상환 순으로 재무 목표를 세운 바 있는데, 이를 모두 감당하기엔 여유자금이 많지 않았다. 다행히 지난 상담에서 보험료를 대폭 줄인 게 부부에게 큰 도움이 됐다(보험 해지 환급금 2235만원). 부부는 이 돈을 가구 구입비와 자녀 교육비에 쓰기로 결정했다. 해지 환급금 중 1000만원은 이사비용과 가전·가구 구입비용으로 쓰고, 나머지 1235만원은 반으로 나눠 두 자녀를 위해 저축할 생각이다.

상황이 변했으니 재무목표의 우선순위도 조정했다. 입주 시 잔금을 치르기 위해 부부는 어쩔 수 없이 대출을 해야 한다. 빚은 사업을 하는 특수한 경우가 아니면 빨리 갚는 게 좋으므로 부부는 대출금 상환을 1순위 목표로 두기로 했다. 노후 준비를 2순위로 정하고 3순위로 비상금 마련도 새로 추가했다. 목돈을 필요로 하는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기 위해서다.

이제 90만원을 어떻게 활용해야 할지 살펴보자. 부부는 지방은행에 비대면으로 적금 계좌를 개설하고 월 30만원씩 입금하기로 했다. 이 상품은 시중은행보다 이자가 높다는 장점이 있는데, 용도는 대출금 변제용으로 삼기로 했다. 적립식 펀드(30만원)도 만들었다. 해지 환급금 1235만원으론 두 자녀의 학원비부터 대학 등록금까지 충당하기 쉽지 않아서다.

부부는 원금의 21.5%까지 손실이 보존되는 ‘정책형 뉴딜펀드’에 가입했다. 안전성이 높다는 장점이 있지만, 20% 초과 수익이 발생할 경우 위험 부담을 한 정부(20%)와 기업(1.5%)에 부담 비중만큼 수익을 배분하는 조건이 있으므로 꼭 참고해야 한다.

다음으로 비상금 통장을 만들기 위해 인터넷은행에 월 10만원씩 납입하기로 했다. 인터넷은행의 장점은 높은 편의성이다. 본인인증만 되면 공인인증서 없이도 거래가 가능하다. 계좌번호 없이 카카오톡 등의 메신저를 통해 송금을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연금저축의 납입 금액을 기존 10만원에서 30만원으로 20만원 늘렸다.

부부의 재무상담이 모두 끝났다. 90만원의 여유자금은 대출 상환금 마련(비대면가입 적금 30만원), 자녀 교육비(적립식 펀드 30만원), 비상금 마련(인터넷은행 10만원), 노후 준비(연금저축 20만원 추가)에 잘 분배됐다.

그렇지만 아직 남편은 새 아파트로 이사하는 것을 완전히 이해하지 못한 듯하다. 남편은 “서울에 인접한 곳도 아니라서 집값이 언제 오를지 모르겠다”고 말했지만, 40대에 접어든 부부에겐 주식처럼 리스크가 큰 투자상품보단 안전한 저축상품이 더 필요하다. 이를 잘 고려해 부부가 앞으로도 재무 목표를 성실하게 준비하길 바란다.

서혁노 한국경제교육원㈜ 원장
shnok@hanmail.net | 더스쿠프 전문기자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