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스쿠프 세꼭지 뉴스
한국 경제성장률 상향한 IMF
명품 매출 증가에 웃는 백화점
코로나에 노인 고용률↑ 근속년수↓

IMF는 올해 한국의 경제 회복 속도가 더 빨라질 것으로 내다봤다. [사진=뉴시스]
IMF는 올해 한국의 경제 회복 속도가 더 빨라질 것으로 내다봤다. [사진=뉴시스]


경제성장률 4.3% 
기대 반 우려 반


한국의 2021년 경제성장률이 4.3%에 이를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국제통화기금(IMF)은 7월 27일 발표한 ‘7월 세계경제전망 수정’ 보고서를 통해 한국의 경제성장률을 지난 4월 전망치인 3.6%보다 0.7%포인트 오른 4.3%로 상향조정했다. 세계 경제가 회복하는 추세인 데다, 국내 수출 호조·내수 회복 등으로 경기가 살아나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IMF는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지난 발표와 동일하게 6.0%로 유지했다. 

기획재정부는 IMF의 발표를 두고 “국가 간 경기회복 속도의 격차가 더욱 심화되는 가운데 우리 경제의 성장 전망을 상향조정한 건 매우 의미가 크다”며 “IMF 전망치는 우리 정부의 전망치(4.2%)를 상회할 뿐만 아니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3.8%) 등 주요기관 전망치 중 가장 높은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기재부에 따르면 올해 한국 경제성장률 조정폭 0.7%포인트는 선진국 평균(0.5%포인트)보다 높고, G7 국가 중에서도 3번째로 높다. 이번 IMF 보고서에 명시된 30개국 중 2021년과 2022년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모두 상향 조정된 나라는 한국을 포함해 7개에 그친다. IMF는 한국의 2022년 경제성장률은 3.4%일 것으로 내다봤다.

이 또한 4월 발표치(2.8%)보다 0.6%포인트 오른 수치다. 기재부는 “코로나 충격에 따른 역성장의 기저 영향을 제거한 2021~2022년 평균 성장률(1.7%)도 선진국(0.5%)을 크게 웃돈다”며 “지난해 코로나 충격을 최소화한 데 이어 올해는 주요 선진국보다 빠르게 회복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이번 IMF의 전망치는 7월 이후 발생한 코로나19 4차 대유행으로 인한 경제적인 충격은 반영하지 않은 결과다. 4단계 거리두기가 수도권에서 시행된 날(7월 12일) 이전의 경제 지표를 분석한 것으로 보인다. IMF가 제시한 4.3% 전망치를 곧이곧대로 받아들여선 안 된다는 반론이 나오는 이유다. 실제로 IMF는 ▲백신보급 지연 ▲미국 경기부양책 축소 가능성 ▲인플레이션 압력 등을 세계 경제의 위험요소라고 지적했다. 

심지영 더스쿠프 기자
jeeyeong.shim@thescoop.co.kr

해외 못 나가자
명품으로 플렉스


올 상반기 백화점 매출이 훌쩍 뛰었다. 코로나19 여파로 해외여행을 가지 못한 소비자들이 명품 사는 데 지갑을 열어서다. 지난 7월 27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상반기 주요 유통업체 매출 동향’ 자료에 따르면 올 상반기 유통업체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이하 동일 기준) 12.1% 증가했다. 오프라인 유통업체 전체 매출액은 8.6% 늘었는데, 백화점을 중심으로 매출이 늘었다. 

 

상반기 백화점 유명브랜드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45% 증가했다. [사진=뉴시스]
상반기 백화점 유명브랜드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45% 증가했다. [사진=뉴시스]

해외여행을 가지 못해 억눌린 소비심리가 분출하면서 상반기 백화점 매출은 26.2% 증가했다. 특히 유명브랜드(명품) 매출이 45.0% 성장하며 백화점 매출 성장을 이끌었다. 아동·스포츠(35.1%), 가정용품(28.8%) 등에서도 매출 호조세를 보였다.

대형마트와 편의점 매출도 각각 0.3%, 6.2% 증가했다. 대형마트는 식품(3.3%), 가전·문화(2.1%), 의류(1.8%) 등에서 매출이 회복됐고, 편의점은 근거리·소량구매 선호현상 덕분인지 가공·즉석을 포함한 식품군(9.2%) 매출이 늘었다. 반면 준대규모점포(SSM)는 일상용품(-21.3%), 생활잡화(-15.9 %) 등에서 부진한 실적을 기록하면서 매출이 10.0% 감소했다.

온라인 유통업체 매출은 오프라인(8.6%)보다 더 가파른 16.1% 성장했다. 음식배달 등 서비스·기타 매출은 40.4% 증가했고, 온라인 장보기가 보편화하면서 식품군 매출도 27.1% 늘었다. 

김미란 더스쿠프 기자
lamer@thescoop.co.kr

고령층 고용률 
높아지면 뭣하나


코로나19가 고령층(55~79세)의 일자리에 아이러니한 결과를 가져왔다. 고령인구의 고용률은 상승한 반면, 평균 근속기간은 줄었기 때문이다.

 

고령층의 고용률은 증가한 반면 평균 근속기간은 감소했다. [사진=뉴시스]
고령층의 고용률은 증가한 반면 평균 근속기간은 감소했다. [사진=뉴시스]

지난 7월 2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1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고령인구 중 55~64세 인구의 고용률은 67.1%로 전년 동월 대비 0.2%포인트 상승했다. 65~79세 인구의 고용률도 지난해 같은 달보다 2.0%포인트 높아진 42.4%를 기록했다.

고령인구의 고용률이 상승한 배경에는 정부의 공공일자리 사업이 있다. 정부는 지난해 2조8587억원을 투입해 고령인구를 위한 직접일자리를 제공했다. 이중 65세 이상을 대상으로 한 단기일자리만 77만5000개에 달했다. 신종 바이러스로 인한 고용시장의 한파를 한시적인 정부 지원책으로 돌파한 셈이다.  

반면 55~64세 인구의 평균 근속기간은 15년 2.1개월로 지난해 대비 4.9개월 짧아졌다. 이는 2016년 5월(14년 11개월) 이후 최저치다. 통계청 관계자는 “고령인구가 많이 속해있는 도·소매업종, 숙박·음식업종이 코로나 직격탄을 맞으면서 휴·폐업을 한 게 고령층의 근속기간이 짧아진 결정적 요인”이라고 진단했다. 

윤정희 더스쿠프 기자
heartbring@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