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스쿠프 세꼭지 뉴스
장밋빛 경기 전망, 우려도…
내릴 줄 모르는 아파트 가격
소비 줄었어도 경기 긍정적

정부가 올해 경제성장률을 4.2%로 전망했다.[사진=뉴시스]
정부가 올해 경제성장률을 4.2%로 전망했다.[사진=뉴시스]

4.2% 성장 막는  
무서운 위험 요인


정부가 6월 28일 ‘2021년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을 발표하면서 올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을 4.2%로 전망했다. 지난해 12월 예상한 3.2%보다 1.0%포인트 상향한 수치다. 현실이 된다면 2010년(6.8%) 이후 11년 만에 최대치다. 

최근 한국은행(4.0%)을 비롯해 한국금융연구원(4.1%), 자본시장연구원(4.3%), LG경제연구원(4.0%) 등도 경제 회복세를 반영해 일제히 4%대 성장률을 예측했다. 지난 3월엔 국제통화기금(IMF)이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을 기존 3.1%에서 3.6%로, 5월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기존 3.3%에서 3.8%로 조정한 바 있다. 한국 경제가 코로나19 위기에서 빠르게 벗어나 정상궤도를 향해 순항하고 있다는 게 국내외 경제전망기관들의 평가인 셈이다. 

실제 분위기도 긍정적이다. 우선 수출이 호조세다. 상반기 수출이 3000억 달러를 돌파하면서 올해 수출이 역대 최고치를 경신할 거라는 관측이 많다. 여기에 백신 보급 확대와 소비지원 정책으로 대면서비스 중심의 소비가 늘어나면 내수경기가 살아날 가능성도 높다. 4.2% 경제성장률 달성이 불가능하지 않을 거라는 얘기가 나오는 건 이 때문이다. 

그렇다고 우려가 없는 건 아니다. 최근 국내 확산 조짐을 보이는 델타 변이 바이러스, 국제유가 상승, 원자재 수급 불안, 금리 인상에 따른 인플레이션 우려 등 위험 요인이 여전히 수두룩하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테이퍼링(양적완화 축소), 미중 갈등, 부동산 시장 불안, 위험 수위의 가계부채도 리스크다. 

이억원 기획재정부 1차관은 “백신 접종 확대에 따른 소비 심리 회복, 반도체 슈퍼사이클, 주요국 경기 부양 대책 등이 경제 성장의 상승 요인”이라면서도 “하지만 코로나 재확산, 미중 무역 갈등, 글로벌 공급망 생산 차질 등은 경제 성장에 하방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정덕 더스쿠프 기자
juckys@thescoop.co.kr

서울 아파트 중간값 
사상 첫 10억원 훌쩍


서울의 아파트 중위매매가격(주택가격을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중간값)이 처음으로 10억원을 돌파했다. 서울 아파트의 절반 이상이 10억원을 넘는다는 건데, 그만큼 내집 마련이 더 어려워졌다는 얘기다. 

서울과 수도권을 비롯해 전국 아파트 중위매매가격까지 모두 신고가를 기록했다.[사진=뉴시스]
서울과 수도권을 비롯해 전국 아파트 중위매매가격까지 모두 신고가를 기록했다.[사진=뉴시스]

KB리브부동산에 따르면 6월 서울의 아파트 중위매매가격은 10억1417만원이었다. 서울 아파트 중위매매가격이 지난해 1월 9억원(9억1216만원)을 넘겼다는 걸 감안하면 1년 5개월 만에 1억여원이 더 오른 셈이다. 

같은 기간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11억4283만원이었는데, 강북(한강 이북 14개구) 지역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격은 처음으로 9억원을 넘겼다. 지난해 5월 7억원을 넘긴 뒤 1년여 만에 2억원이나 뛰어올랐다. KB국민은행이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8년 12월 이후 가장 높은 가격이다. 강남(한강 이남 11개구) 지역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격은 13억5371만원이었다.

수도권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도 사상 처음으로 7억원(7억1184만원)을 돌파했다. 전국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 역시 처음으로 5억원을 돌파했다.

덩달아 전세가격도 상승세를 탔다. 서울 아파트 평균 전세가격은 지난해 5월 4억8656만원에서 올해 6월 6억2678만원으로 28.8% 올랐다. 같은 기간 강북 지역은 3억9293만원에서 5억778만원으로 29.3%, 경기도는 2억6215만원에서 3억4938만원으로 33.27% 상승했다. 

김정덕 더스쿠프 기자
juckys@thescoop.co.kr

소비 꺾였지만…
경기 개선세 ‘지속’


5월 소매판매가 10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통계청이 6월 30일 발표한 ‘5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소비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는 1.8%(이하 전월 대비) 감소했다. 지난해 7월(-6.1%) 이후 10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었다. 승용차를 비롯한 내구재 판매는 1.0% 증가한 반면 준내구재(-8.8%ㆍ의복 등), 비내구재(-0.4%ㆍ음식료품 등) 판매가 줄어든 게 영향을 미쳤다. 

지난해 7월 이후 소매판매가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사진=뉴시스]
지난해 7월 이후 소매판매가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사진=뉴시스]

어운선 경제통계심의관은 “지난 3개월 연속 소매판매가 증가한 기저효과가 영향을 미쳤다”면서 “잦은 강우 등으로 의류 판매가 줄고 음식 수요도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업태별로는 슈퍼마켓 및 잡화점(-13.6%ㆍ이하 전년 동월 대비), 전문소매점(-3.7%) 판매가 감소한 반면 무점포소매(12.2%), 면세점(48.5%), 백화점(18.2%) 판매는 증가했다. 

하지만 경기개선 흐름은 지속할 전망이다.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 대비 0.2%포인트 올라가 4개월 연속 상승세다. 향후 경기 전망을 보여주는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도 0.4%포인트 상승해 12개월 연속 오름세를 띠었다.

어 심의관은 “글로벌 경기 회복과 수출 호조, 코로나19 백신 접종 확대 등으로 경기개선 흐름이 지속될 전망이다”면서 “하지만 변이 바이러스 확산, 차량용 반도체 수급 차질, 원자재 가격 상승 등 불안 요인도 많다”고 지적했다. 

이지원 더스쿠프 기자
jwle11@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