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대 부부 재무설계 中

재무설계사의 조언을 듣고 줄일 만큼 줄였다. 그런데도 여유자금은 37만원밖에 되지 않는다. 이러다간 두 자녀의 교육비를 동결하거나 최악의 경우 줄여야 할지도 모른다. 이럴 때 허리띠를 졸라매야 할까, 기존 금융상품을 재조정해야 할까. 더스쿠프(The SCOOP)와 한국경제교육원㈜이 가계가 허약한 40대 부부의 자산 체크를 도왔다.

자신의 자산이 얼마나 되는지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습관은 무척 중요하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자신의 자산이 얼마나 되는지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습관은 무척 중요하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이사 문제로 오랫동안 의견 다툼을 벌인 오상범(가명·46)씨와 한은지(가명·46)씨 부부. 재계약 때마다 매번 전셋값이 오르는 탓에 두 사람은 지난 10년간 4번이나 이사를 해야만 했다. 올해에도 6월에 이사를 할 예정이어서 부부는 스트레스가 극에 달해 있었다.

문제는 집 문제를 두고 부부가 서로 다른 생각을 하고 있다는 점이다. 아내 한씨는 빚을 내서라도 집을 매입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지금이라도 집을 사 둬야 나중에 집값이 올랐을 때 이득을 볼 수 있다는 게 아내의 생각이다. 또 계속 이사하는 게 한창 성장기인 두 자녀(10·8세)의 교육 환경에 좋지 않다는 점도 고려했다.

남편은 아이들을 생각하면 충분히 공감하지만 아직 집을 살 때가 아니라고 판단하고 있다. 머지않아 되레 집값이 떨어질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근거 없는 얘기는 아니다. 4~5년 후 수도권의 신도시 5곳(남양주·하남·인천·고양·부천)에 대규모 택지지구가 들어설 예정인데, 그렇게 되면 집값이 떨어질 가능성이 꽤 높아진다.

더구나 부부가 현재 8000만원의 대출금을 갚고 있다는 것도 남편이 집을 사길 주저하는 원인이다. 맞벌이라면 다행이겠지만 현재 오씨 가정은 아내가 코로나19로 일자리를 잃은 뒤로 남편의 수입에 대부분 의존하고 있다. 아내가 단기 아르바이트를 전전하고는 있지만 예전과 같은 수입은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의견을 통일하지 못한 부부는 재무상담을 통해 방법을 찾아보기로 하고 필자를 찾았다.

부부의 사연을 들은 필자는 가계부를 점검했고,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부부의 월 소득은 406만원으로, 중소기업을 다니는 남편이 356만원을 벌고 아내가 단기 아르바이트로 50만원을 번다. 지출은 정기지출 364만원, 비정기지출 월평균 30만원, 금융성상품 40만원 등 434만원에 달한다. 한달에 28만원씩 적자가 나는 셈이다.

부부는 간단한 지출 줄이기를 통해 적자를 최소화했다. 생활비 15만원(89만→74만원), 통신비 11만원(27만→16만원) 등 26만원을 절약해 적자를 28만원에서 2만원까지 줄이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부부에게 제대로 된 솔루션을 해주려면 적지 않은 자금이 필요한 상황이므로 이번 2차 상담에선 지출을 본격적으로 줄이는 것에 집중하기로 했다.

그러려면 먼저 부부가 집을 사야 할지 말지부터 결정해야 했다. 원하는 재무목표를 묻는 필자의 질문에 아내는 이사 비용 300만원을 마련하고 싶다고 답했고, 남편은 저축을 통해 시드머니를 만들길 원하는 등 서로의 목표가 전혀 달랐다.

냉정하게 얘기하면 부부에겐 집을 살 만한 여력이 없다. 전세금 3억2000만원과 예금(총 1050만원)에 부부가 빌린 대출금 8000만원을 빼면 부부의 순자산은 2억5050만원에 불과하다. 대출을 더 받는다면 집을 살 수도 있겠지만 그럴 경우 부부의 월소득(406만원)으론 원금은커녕 이자를 갚기도 벅찰 수 있다. 성장기인 두 자녀를 키우고 있는 부부의 지출은 앞으로 점점 더 늘어날 게 뻔하다.

더구나 부부의 노후를 준비하는 것도 생각해야 한다. 이런 이유로 필자는 집을 포기하라고 부부에게 조언했고, 주택청약을 통해 분양권을 얻는 것으로 최소한의 준비를 하자고 설득했다. 다행히 아내도 필자의 제안에 동의해 집 문제를 마무리지을 수 있었다.


자! 그러면 본격적으로 지출을 줄여보자. 먼저 부부의 용돈(총 50만원)을 살펴봤다. 직장생활을 하는 남편이 35만원을 쓰고 아내가 15만원을 쓰고 있는데, 남편 용돈의 상당량이 담뱃값으로 빠져나가고 있는 것을 확인했다.

아내가 자신의 의견을 따라준 것에 감동했는지 남편은 용돈을 줄여보자는 제안에 적극 동의했고, 앞으로 금연을 하기로 결정했다. 소소하지만 커피전문점에서 커피를 사 마시는 횟수도 줄여보기로 했다. 이렇게 남편 용돈 10만원을 줄여 용돈은 50만원에서 40만원으로 절약됐다.

다음은 부부의 보험료(69만원)인데, 몇 년 전 리모델링을 받아서인지 전반적으로 보기엔 크게 나무랄 곳이 없었다. 다만, 남편이 가입한 종신보험(20만원)이 눈에 걸렸다. 부부는 “나중에 연금상품처럼 활용할 수 있다”는 보험설계사의 말을 듣고 이 보험에 가입했다고 설명했는데, 종신보험은 어디까지나 ‘보험’이란 점을 잊어선 안 된다.

물론 상품에 따라선 납입금의 일부를 적립하는 식으로 돈을 저축할 수 있다. 이를 중도인출하거나 연금으로 전환하는 등 투자상품처럼 활용할 수도 있다. 하지만 보험은 어디까지나 만일의 사고에 대비하기 위한 상품이란 걸 명심해야 한다. 수익률이 제로에 가까운 보험으로 돈을 모으는 게 좋은 생각이 아니라는 얘기다. 차라리 보험을 해지하고 수익률이 더 높은 재테크를 찾는 게 더 효과적이다.

이런 이유로 부부는 종신보험을 해지하기로 했다. 한발 더 나아가 남편이 새로 가입한 건강보험의 암·뇌·심장 진단비를 40%로 줄이는 등 몇가지 조정을 통해 부부의 보험료를 69만원에서 40만원으로 총 29만원 줄였다. 그렇다고 걱정할 필요는 없다. 현장일이 잦은 남편의 회사에서 단체로 가입해 준 암보험과 정기보험이 종신보험의 빈자리를 메워줄 수 있어서다.

이렇게 2차 상담이 끝났다. 부부는 용돈 10만원, 보험료 29만원 등 39만원을 절약하는 데 성공했다. 이에 따라 2만원 적자였던 가계부도 37만원 흑자로 돌아섰다. 하지만 상황은 여전히 좋지만은 않다. 자녀 교육비와 내집 마련 비용, 노후 등 부부가 준비해야 할 게 산더미인데 여기에 쓸 수 있는 금액이 37만원에 불과해서다. 최악에 경우엔 몇년간 자녀 교육비(58만원)를 동결해야 하는 것도 각오해야 한다. 두 자녀를 무척 아끼는 부부에겐 슬픈 소식일 것이다.

그렇게 되지 않으려면 평소보다 재무 솔루션을 섬세하게 짤 필요가 있다. 필요하다면 적금과 청약저축, 연금저축 등 부부가 납입하던 기존 상품들도 최대한 활용할 생각이다. 그 과정은 3차 상담 때 소개하도록 하겠다.

서혁노 한국경제교육원㈜ 원장
shnok@hanmail.net | 더스쿠프 전문기자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